View : 854 Download: 0

청소년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Title
청소년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Authors
전은경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Keywords
청소년소비자교육프로그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sumer education needs of the adolescents for developing consumer education program. Because this study is intended to answer the question of variations in needs among the educational content categories, it would provide practitioners and program developers with information about how consumer needs are likely to change in accordance with educational content categories. It may also help researchers to understand differences in comsumer education need among high school adolescent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1. What are the levels of consumer education needs on each content category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is the rank order of the needs of contents. 2.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current educational content categories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and education needs of the adolescents. 3. What is the relationship of the sample characteristics with the education needs of the adolescents. 4.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erism and the education needs of the adolescents. To surve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by means of interview with 400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Cases whose responses to questions about the education needs and consumerism here incomplete were excluded, resulting in 365 questionnaires. The sample was collected from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ile, Mean, T-test, F-test, ANOVA and Duncan's Multiple Test through the SAS PC program system package(version 6.03). The major findings and suggestions of this are as follows: 1. Each level of consumer education need on each content category perceived by adolescents is generally high. Especially the content categories which are relatively high in rank order are 'Environmental Issue', 'Saving and Investment', 'Consumers Credit', 'Food', 'House', 'Education', 'Consumers health', 'Consumption Value', 'Use of Resources', 'Purchasing Strategy and Consumer Protection', etc. If new curricula or programs are improved based on the rank order, they can be useful means for consumer education, 2. Comparing each level of consumer education need with current content category in high school curriculum , the content categories which are relatively high in rank order are 'Environmental Issue', 'Food', 'Consumers Health', 'Consumption Value' and 'Saving and Investment', etc. 3.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eed levels perceived by each adolescent and social status of the family. However, there are not differences between educational need and characteristics such as sex, department(academic/vocational), the amount of disposal pocket money, father's occupation. It is required of consumer education to mak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4. The consumerism of adolescents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group of low point. It is also highly correlated with the need for consumer education. That is, the group whose consumerism attitude are high are also high in the need for consumer education.;급격히 변화하는 경제환경과 소비생활 환경의 변화에 따라 미래의 삶을 준비하고, 대처하는 능력을 개발시키기 위한, 즉 전인교육의 맥락에서 청소년을 생활인으로서 교육하는 소비자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소비자 교육내용 선정에 있어 기존 연구의 학교교육 내용영역과 함께 현재 소비자단체에서 실시되고 있는 소비자교육내용체계를 분석, 종합하여 실질적으로 청소년들이 생활인으로서 요구되는 적합한 소비자 교육내용의 주제를 체계화하고, 각 내용영역별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소비자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는 선행연구의 교과분석 내용과 비교하여 청소년들에게 어떠한 소비자교육 내용을 강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체계적인 학교교육에서 적용하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현재 일반 청소년을 대상으로한 사회교육이 거의 전무한 실정에서 각 단체와 기관에 일반화하여 여러 상황에서 교육시킬 수 있는 요구분석의 기초적인 틀과 시안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몇 가지의 연구문제가 제기되었는데, 그것은 청소년의 소비자교육 내용영역별 소비자교육요구도 및 교육요구순위는 어떠한가, 그리고 청소년 소비자교육요구도와 비교하여 현행 고등학교 교과내용에서 본 청소년 소비자교육의 내용체계 및 실태는 어떠하며, 또한 청소년 소비자가 지닌 일반적 특성(성별, 계열, 월평균 자유재량 소비액, 아버지의 직업, 가족의 사회적 지위)과 청소년 소비자주의 태도에 따라 청소년의 소비자교육요구도 및 요구 순위는 어떻게 달라지는가 하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현행 고등학교의 내용영역과 소비자단체의 소비자교육프로그램 내용영역들을 통합하여 측정도구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정정하기 위하여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조사의 연구대상은 무작위 표본추출방법에 의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고등학교를 인문계와 실업계로 분류한 뒤, 강남, 강서, 강북의 세 지역내 남녀 두 학교씩 총 여섯 학교를 선정, 각 학교 1, 2 학년 4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에 근거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는 SAS PC Program(Version 6.03)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분산분석, t-test, F-test, 그리고 Duncan's Multiple Test 등의 통계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연구문제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교육내용영역별로 소비자교육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14개 영역 모두 높은 요구도를 보여 주고 있었다. 본 연구의 척도가 1.00에서 5.00까지의 범위를 갖고 있음을 볼 때, 특히 평균 3.57 이상의 높은 요구도를 보인 주제영역들을 순위별로 정리해 보면, '환경문제', '가계재정'영역의 하위영역인 '저축과 투자', '소비자신용', '구매법과 자원의 관리 및 보존'의 하위영역인 '식품', '주택', '교육', '소비자보건' 그리고 '소비에 관한 가치관', '자원의 활용', '법과 소비자보호' 등이다. 이상의 영역들을 중심으로 하여 새 교과과정을 편성하거나 교육프로그램을 선정할 때, 교육내용을 보완·강화한다면 청소년들에게 유용한 소비자교육의 효과를 거두리라고 본다. 둘째, 소비자교육요구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소비자교육내용을 비교하여 보면, 가장 높은 요구도를 보인 '환경문제'영역, '구매법과 자원의 관리 및 보존'의 하위영역인 '식품', '소비에 관한 가치관' 영역, '구매법과 자원의 관리 및 보존'의 하위영역인 '교육', '소비자보건', '가계재정'의 하위영역인 '저축과 투자' 등의 순서를 나타냈다. 따라서 기존의 고등학교 과목에서 요구도가 높은 내용영역을 강화시키거나 새로운 교육과정 혹은 프로그램 개발시 추가시켜야 할 내용영역 선정에 적극 활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교육체계가 이루어 질 것이다. 셋째, 소비자특성에 따른 전체적인 소비자교육요구는 가족의 사회적 지위에 따라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 주었다. 그리고 성별, 계열, 월평균 자유재량 소비액, 아버지의 직업에 따라서 약간씩의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각각의 세부적인 내용영역별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는 영역들이 있었다. 그러므로 아버지의 학력과 소득수준을 합해 산출한 가족의 사회적 지위에 따라서 그들 각각의 요구도를 반영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소비자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청소년소비자 집단의 소비자주의 태도는 태도점수가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이 요구도 평균이 상대적으로 높아 이들 소비자주의 태도는 소비자교육 요구도에 아주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각 내용영역에서 집단간에 가장 많은 차이를 보이는 변수는 '자원의 활용'영역과 '환경문제'영역이었고, 그밖에 '일반경제지식', '소비자의 권리와 책임', 그리고 '구매법과 자원의 관리 및 보존'의 하위영역인 '주택'과 '교육'영역 등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학교 및 사회교육 차원에서 소비자주의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교육시켜야 한다. 또한 소비자주의에 대한 교육내용이 연령에 적절한 수준으로 반영된다면, 소비자 교육효과면에서 지대한 공헌을 하리라고 사료된다. 그리고 소비자주의에 따라 각 집단간 요구도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소비자주의 태도점수에 따라 각각의 수준에 적합한 내용영역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청소년 소비자교육을 위한 교과목내용과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선정시 우선시되는 교육요구를 반영하고, 이를 실효화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소비자학자, 한국소비자보호원, 관련교과 담당교사, 교육부 관계자 및 관련 학자들을 중심으로 한 청소년 소비자교육 편성책 마련과 육성에 힘써야 할 것이다. 끝으로 소비자교육에 대한 요구를 측정하는 도구가 고등학교 수준에서 타당성을 갖기 위하여 연구도구의 지속적인 보완과 개발작업이 요청된다고 사료되는 바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