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7 Download: 0

장학사의 과업활동에 관한 연구

Title
장학사의 과업활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UPERVISORS' ACTIVITIES IN THEIR TASKS
Authors
김동숙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Keywords
장학사과업활동SUPERVISORS' ACTIVITIES교육행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 장학에서 나타나는 장학사의 과업 활동의 정도를 조사해 봄으로써, 장학 활동의 실제를 알아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국내외의 참고 문헌을 통하여 장학에 대한 개념과 장학의 과업들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서술하였다. 이론적 배경에 따라 장학사의 과업 활동을 학교 관리, 교육 과정 개선, 교수-학습 지도, 학생 생활 지도, 현직 교육, 학교 풍토 조성 등을 위한 6가지 영역으로 나누었고, 이들 각각의 영역에서 나타나는 장학사의 과업 활동을 구체화하여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변인으로는 장학 대상자인 교사들이 소속되어 있는 학교의 설립별, 지역별 변인이 고려되었다. 조사 연구는 서울과 지방에 위치하는 공사립 중등학교의 일반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표집된 자료는 변인별로 평균점을 산출하여 점수차를 비교하였고, T 검증을 통해 5% 수준에서의 유의도를 살펴보았다. 조사 연구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교 장학을 할 때에 장학사들의 과업 활동은 주로 학교 관리를 위한 영역에 집중되어 일어나고 있다. 전 분야에서, 장학사들은 사립 학교보다 공립 학교에 있어서, 학교 관리에 관련된 과업 활동을 더 많이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서울보다 지방에 있는 학교에서 장학사들의 활동이 조금 더 보여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의 문서 관리를 위한 장학사들의 활동은 전체 학교에 있어서 상당히 전개되고 있다. 2. 장학사들이 학교 장학 활동을 할 때에, 교육 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과업 활동은 그런대로 하고 있다. 이 영역에서의 모든 과업 활동은 사립 학교보다 공립 학교에 있어서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지역별로는, 장학사가 교육 과정의 학과간 통합성을 위한 확인을 하는 활동을 제외하고는, 모든 부분에서 두드러진 활동의 차이가 없었다. 3. 학교 장학을 할 때에, 교수-학습 지도를 위한 장학사의 과업 활동은 그다지 보이고 있지 않다. 그러나, 교수 방법에 대한 잘못을 지적하고 개선 방안에 대해 조언하는 장학사들의 활동은, 다른 분야에 비하여 조금 더 전개되고 있다. 교수 방법에 대한 조언 활동은 공·사립별, 서울·지방별 학교에 있어서 각각 활동의 차이가 두드러 졌으나, 기타의 과업 활동은 모두 비슷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4. 학교 장학에서, 학생 생활 지도를 위한 장학사들의 과업 활동은 그다지 보여지고 있지 않아, 다른 과업 영역에 비하여, 이 영역에 대한 활동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출석 지도에 대해 점검하는 과업에는 전체적으로 비슷한 정도의 활동을 보였으나, 다른 부분의 활동에서는, 공립 학교보다는 사립 학교에 있어서, 지방보다는 서울에 있는 학교에 있어서, 각각 장학사의 활동이 더욱 적게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5. 학교 장학에서, 현직 교육을 위한 장학사의 과업 활동, 또한 그다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나, 활동의 차이에 있어서 모든 부문에서의 활동이 사립보다 공립 학교에서 조금 더 나타나고 있어 비교해 볼 만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지역별로는 대체로 비슷한 정도의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부문별로 볼 때, 교사들의 교육관이나 국가 시책을 위한 연수 기회를 마련하는 활동과 교장·교감 등 교내 인사를 활용하여 재교육을 하도록 하는 활동은 비교적 이루어지고 있으나, 교육 과정을 위한 연수나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외부의 교육 전문가를 초빙하여 현직 교육을 하도록 주선하는 활동은 다소 적게 하고 있다. 6. 학교 장학에서 학교 풍토 조성을 위한 장학사들의 과업 활동은 전체적으로 볼 때, 그다지 하고 있지 않다, 공립 학교보다 사립 학교에 있어서, 이 영역에서의 활동이 더욱 적게 전개되고 있어 비교해 볼 만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지역별로는 서울과 지방에서 거의 비슷한 정도의 활동을 보이고 있다. 활동 부문별로는, 학교 조직의 목표를 인식시키는 활동과 상부로부터의 정보를 전달해 주는 활동은 비교적 이루어지고 있으나, 반대로 교사들의 의견을 상부에 전달해 주는 일은 적게 하고 있다. 또한 장학사들의 학교 방문이 교사들에게 심리적으로 부담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학사와 교사와의 관계가 그다지 평등하게 유지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여, 개방된 학교 풍토를 조성하려는 장학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6가지 전체 영역에서 볼 때, 장학사들의 활동은 대체로 학교 관리를 위한 영역에 집중적으로 전개되고 있고,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과업 활동이나 교수-학습 지도를 위한 과업 활동, 학생 생활 지도 활동,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현직 교육, 개방된 학교 풍토를 조성하려는 활동 등은 그다지 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설립별로 볼 때, 학교보다는 공립 학교에서 장학사들의 활동이 조금 더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지방보다 서울에 있는 학교에 있어서 장학사들의 활동이 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One of the educational goals is to obtain the students' growth and development. And this goal can be achieved by teachers working this goal can be achieved by teachers working in schools. Supervision is considered as the way to level up to the teachers' qualities for the efficiency of schooling. Sepervision, supporting and assisting for promotion of the schooling, has been defined and emphasized in many ways according to the scholars with the change of time. But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supervision defined as "the special and technical activities of guidance, advice, control, information giving and resource service provided for improving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However, it seems that under present circumstances such a supervision is not realized, but the function of the present supervision is mainly directing and checking school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supervisors' activities in degree in school visiting. The investigator devised a 35-item questionnaire covering activities for supervisor's tasks such as school management, curriculum improvement, teaching-learning guide, student discipline, teacher trainning and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improvement. 300 teachers in Seoul and 300 teachers in rural were randomly sampled from secondary school differenciated in terms of divis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chools from which a response rate of 83.7% was obtained. The respondants were required t o indicate the degree of supervisors' activities on a five-point scale from never doing(scale score 1) to doing very well (scale score 5), the mean was computed for each item and the T test was utiliz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in Seoul and in rural, between teachers in public school and in private school for each of 35 item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Level was set at. 05 for these analysis. The comparisons of the responses revealed differences as well as similarities between teachers differntiated. However, supervisory activities mostly differed more in degree than they did in opposite directions between teachers differentiated. The results of the responses between teachers differentiated were a s follows: A. School Management : The whole teachers tended to think that supervisors showed many, activities in this task, especially in checking school ducuments. And this trand was clear more in publics schools than in private schools, more in rural schools than in Seoul schools. B. Curriculum Improvement : Supervisors' activities in this task had not been revealed so much, it was less in private schools than in public schools. Teachers' opinions between in Seoul and in rural were similiar. C. Teaching-Learning Guide : The teacher's opinions were wholly inclined to think that supervisors had not given so many activities for performing this task. But the checking and advising activity for teaching method of teachers was performed well comparatively. D. Student Discipline : All the teachers showed quite similar opinions in terms of the supervisors' activities in this task area. They thought supervisors had not tried to do this task SO much. E. Teachers Training : While public school teachers tended to feel that the supervisors were doing this task to some extend, but private school teachers did not feel similiar with them. Between the teachers' opinions in Seoul and in rural the outstanding difference was not in degree. F.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Improvement : The supervisors" efforts to do this task showed little in all schools. Only the opinions about the supervisors' activities in this task also differed in degree between teachers differentiated. The teachers' opinions above-shown about the supervisors' activities represented that the present supervision had not contributed much to promote the teachers' specialization. Therefore, the couter-measures for the efficiecy of supervisal practice should be conside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