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4 Download: 0

중ㆍ고등학교의 인성교육 현황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분석

Title
중ㆍ고등학교의 인성교육 현황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eacher's Opinion on Personal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in Middle and High School
Authors
박미원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Keywords
고등학교인성교육교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인성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여 봄으로써 앞으로 중·고등학교에서의 인성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인성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75개의 중학교와 75개의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각 유형의 학교에서 교사 2명씩을 정하여 전체 231명의 교사에게 인성교육의 현황에 대해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인성교육의 현황 파악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 유형과 배경변인에 따라 인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사들은 학교 유형과 배경변인에 따라 인성교육의 운영, 방법, 내용 등에 대한 의견이 어떻게 다른가? 셋째, 교사들은 학교 유형과 배경변인에 따라 인성교육의 장애요인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에 차이가 있는가? 조사 내용에 대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인성교육에 관한 관심도에 있어서 학교간, 성별간 의견의 차이를 보였으나 교직경력에 따라서는 관심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인성 교육의 필요성과 조속한 시일내 인성교육을 실시하는 것에 대한 것과 인성교육이 전인교육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의견에는 학교별 차이가 없었다. 적극적으로 인성교육을 실시할 때 효과적 성취를 거둘 수 있는지에 대한 것과 학생들의 인성교육 필요성에 대한 공감도에는 학교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경력에 따라서는 인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공감도에 대한 인식만이 통계적인 의견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인성교육 운영에 프로그램 운영이 인성교육의 발전성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인성교육의 운영은 중학교가 잘되고 있다고 중학교 교사들이 생각하고 있었으며, 지도교사의 능력에 대해서는 고등학교 교사들이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셋째, 인성교육을 시작하기에 적당한 시기, 인성교육을 하는 방법, 인성교육을 담당할 적임자 등에 대하여 학교유형, 교직경력, 성별에 따라 의견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넷째, 인성교육의 내용과 인간본성에 대한 의견에서는 학교 유형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인성교육을 위한 추천행사나 인성에 영향을 주는 도서에 처한 의견에는 학교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교직경력에 따라서는 인간본성, 교육내용, 영향을 주는 도서에 대한 의견에 차이를 보였고, 교사들의 종교에 따라서는 인간본성, 추천하는 행사 등에서 의견의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교육의 장애요인에 대해서는 학교 유형, 교직경력과 같은 집단간 의견의 차이가 없었으며, 특히 교사들은 인성교육 장애요인으로 입시위주의 교육 풍토를 1순위로 지적하였다. 여섯째, 인성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해서는 행정가의 노력으로 인성교육이 활성화 될 수 있는지의 여부와 별도의 교육과정 편성, 인성교육을 위한 운영비 지급에 대해서 의견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할 때,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위한 인성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교육계 전반의 의식 개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효과적인 인성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인성지도를 위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전담 부서를 두는 등의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current status of teaching subject of humanity i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furnish basic related basic data. Teachers' opinion on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 subject of humanit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ers showed difference in terms of their level of interest in teaching Subject of humanity according to the schools they belonged and their sex but there was no difference on the basis of their length of care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opinion of teachers to the question such as need for teaching subject of humanity, need for implementing such program at early opportunity and extent of impact of such teaching to overall curricula at school. Bu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response of teachers regarding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in achievement of goals of teaching subject of humanity and in terms of sense of consesus of students on the need of teaching subject of humanity when such subject is taught at schools vigorously. Depending on length to teaching career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in level of consensus of students on the need for humanity subject. Second, regarding level of oper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sponse to questions on level of advancement in teaching subject of humanity and providing variety of programs. But in terms of operation middle schools was better but to questions on the competence of responsible teachers high school teachers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s. Third, there was difference in responses depending on nature of schools, lenght of teaching career and sex of responding teachers to the question on best time for starting teaching subject of humanity, method and most suitable persons to do it. Four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sponse to question regarding content of subject for humanity and on the human nature depending on schools the responding teachers belonged. Depending on length of teaching career of responding teachers there was difference in their response to the questions regarding human nature, content of teaching and literature affecting such teaching as well as difference in response to questions regarding human nature and recommended events depending on religions of responding teachers. Fifth, regarding questions on obstructive elements in teaching there was no difference in opinion between responding groups. In particular most of responding teachers pointed out education centered on preparing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s No. 1 obstructive element for teaching humanity to student. Sixth on the question measures for revitalizing teaching subject of humanity responding teacher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their responses on whether or not teaching subject of humanity can be revitalized through their effort as administrator, or through instituting separate curriculum for the humanity education or disbursement of operating fund for such education. On the basis of above-mentioned study a conclusion can be drawn that it is affirmed there is a need of overall reform of consciousness in the education sector for revitalization of teaching subject of humanity. To realize effectiveness in education in humanity subject diverse programs for teaching the subject should be developed and function dedicated to such program etc. should be institu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