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5 Download: 0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소설 제재 변화에 대한 연구

Title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소설 제재 변화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on changing the subjects of the novels in the highschool textbook of the literature
Authors
유영란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Keywords
고등학교국어교과서소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educational process of a nation should include the plan,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for education from which the processes are established for the results of the education. the textbooks are the very guide for the educational process. As is the case of our nation that lacks the auxiliarly textbooks, the dependence for the textbooks are absolute, so the choice of the subject for textbooks are very critical for the achievements of the entire educational processes. The literature class, not only for the understanding and the feeling but also for the development for the human nature, may have the moral values, especially the novels, by the mature, are always loved by both students and teachers. But the reality is that we are getting away from the novels after the education. This maybe due to the fact that the novels in the textbook are selected for the gaining the grade, not selected for giving the reader the sympathy, the feelings, and the fun. Regarding above reality,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problems of the selecting novels for the highschool textbook of korean language, and then propose some points for the solution. Follows are the issues discussed from this study. First, the educational process which was established right after the Independence and revised six times to date. was influenced by the political situations so the ministry of the education have the all the power for the entire process. To this matter, the processes are manneristically and theoretically changed regardless of the reality. Second, the importance of the literatures are stressed increasingly. In the fifth revision, the declining importance for the novels made the only a piece of works, was included in the textbook. But in the sixth, for the stress point was changed to the linguistic function, many of the works were included without a coherent policy. Third, the arrangement and grouping of the works were changed unsystematically in the regards of the subjects, the style, the genre and the areas. In this scheme, an inconstant categorized arrangements of the small group with the large group were discovered that reflects the lacks of the standard for the arranging the subjects for the grade. Fourth, the analysis of the works and the authors revealed a preponderance for a specific author and a specific periods. For the overlappings founded in the Korean language and the literature, the various others are neglected or missed for the students. Considering above facts, the highschool textbooks of the literature seems to miss the points of the real ability and interests of the students and the coherency of the following grade, but merely made from the specialists point of view of theory of the literature. For that reason I will propose the belows for the purpose of the solving the problems of the selecting the works for the textbooks. First, the realty principle for the educational fields should be established. We may change the point of views to the acture fields, from the establishing the plan, the teachers from schools be participate in and other real problems are considered. Second, in disregards of the revision of the educational plan, the lists of the works that all the literature educations. Third, the relation between the Korean language and the literature should be considered the coherency and the consistency without the overlappings. The selection of the works must be parallel with the cognitive developments of the students from the elementary school to the highschool. Fourth, for the efficiency of the literature class, the teachers should be qualified for the role of the guide of the literature and continuously repented in the qualification schedules. Fifth, the evolution of the given conditions of the education is urgent for put the appreciation-oriented class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at meets the educational goals, into practice.;교육과정은 한 나라의 교육계획과 내용 방법 및 평가 등을 수립하여 그 지침에 의해 교육적 성과를 구현하는 것이고 그 지침서가 되는 것이 교과서이다. 우리 나라와 같이 다양한 부교재 개발이 미흡한 경우는 교과서에 대한 의존은 절대적이었고, 이에 따라 교과서에 수록되는 제제는 교육의 목표 성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문학은 작품을 통한 이해와 감상뿐만 아니라 인간형성이라는 도덕적 가치를 지닌 교과로 특히 소설은 장르의 특성상 학생과 교사가 모두 선호하는 분야이다. 그러함에도 학습자들이 학교 교육이 끝나면 점점 소설과 거리가 멀어지게 되는 것은 여러 가지 변화하는 사회적인 이유도 있겠지만 교과서에서 접한 소설 제재가 감동과 정서와 재미를 주기 보다는 점수따기용으로 다루어져온 현실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중심으로 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소설 제재 변화에 대해 살펴 소설 교육의 문제점을 찾고, 문제해결을 위한 몇가지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해방 이후 현행 6차 교육과정기에 이르기까지 정치적 상황에 많은 영향을 받아 개정을 거듭하면서 교육과정 권한이 교육부에 집중되어 있어 형식적이고 이론적인 교육과정으로 교육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했다. 둘째, 교육과정 시기별로 어떤 교육관을 갖던지 문학 교육은 계속 강화 되어왔으며, 5차 시기 문학영역의 감소로 소설이 <삼대> 한 편만 수록되었다가 언어 사용 기능 신장인 동일한 교육관을 지닌 6차에 와서는 다시 증가하여 문학에 관한 일관성이 없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교과서 소설 제재 배열은 제재별, 주제별, 장르별, 영역별로 변화를 거듭해 왔는데 대단원의 목표에 소단원의 작품이 적합하지 못한 것이 발견되었으며, 제재의 학년 이동 배열에 기준이 없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교육과정 전 시기를 통해 소설 제재를 분석한 결과 특정 작품과 작자, 시대적 편중이 아직까지 심하게 나타났으며, 국어와 문학 교과서간의 소설 작품의 중복 수록으로 제재의 연계성이 무시되어 학습자의 다양한 작품 감상의 기회가 줄어들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고등학교 소설 제재는 문학 전문가들의 문학 이론을 토대로 하여 문학사적 평가에 의존한 선정으로 실제 학습자의 발달 수준과 흥미, 중학교와의 연계 등은 실제 고려되지 않았다고 보아진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제재 선택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소설 수업이 되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문학교육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교육 현장 차원의 실천적 교육과정 정립이 필요하다. 이에 교육 현장의 실태에 맞게 만들어 가는 교육 과정으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교육과정 계획에서부터 현직교사의 참여나 교육현장에서의 실태가 여러 경로를 통해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이 수차례 바뀌어도 교과서 소설에 큰 변화가 없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고등학교 학생들이 읽을 수 있는 소설 작품 목록 선정에 대한 연구가 문학교육 교재론 차원에서 이루어져야한다. 셋째, 국어 교과서와 문학 교과서의 제재 선정에 연계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며 가능한 초, 중, 고의 문학 영역 학습에도 학습자들의 인지 발달 단계를 고려한 제재 선정이 되도록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효율적인 문학 수업을 위해 문학 교사로서의 역할과 질적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문학과 교육학 차원에서 지속적인 재충전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육목표에 적합한 감상 중심 수업과 학습 활동에서 제시한 토론 학습을 실천할 교육 여건의 개선이 시급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