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3 Download: 0

중·고등학교의 특별활동 운영실태 및 성과 결정요인 분석

Title
중·고등학교의 특별활동 운영실태 및 성과 결정요인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both the current situation of special activity and determinants for its performance
Authors
허경숙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Keywords
중고등학교특별활동운영실태결정요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의 과학과 기술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는 정치·경제·사회·문화면에서 눈부신 성장과 함께 사회생활의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 그러나 급변하는 상황에서 지식과 기술의 급속한 팽창에 대처해야 하는 학교교육의 역할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학교가 미래 사회의 주역인 청소년들에게 급변하는 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해야 함은 중요한 당면과제이다. 오늘날 학교교육은 입시 경쟁으로 인하여 지나치게 지식 중심으로 지향되고 있다. 지식 중심의 학교교육은 전인적이고 창조적인 인간으로서의 조화로운 성장을 저해하고 있다. 이제 학교교육은 학생 스스로가 가속적인 사회 변화에 적응하고 스스로가 문제 상황에 능동적이고 창조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바뀌어야 한다. 교육의 목적을 인간의 조화로운 발달에 둔다면 학교교육은 의도적이고 합리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학교교육 가운데 개성 및 창의성을 신장할 수 있는 특별활동의 중요성은 크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중·고등학교에서의 특별활동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에 대한 실태파악과 그것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다면 장애요인을 살피는 일은 매우 중요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의 특별활동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결과적으로 특별활동의 성과를 결정짓는 요인을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학교현장에서 부진했던 그동안의 특별활동이 활성화되고 좀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가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입각하여 특별활동에 대한 학생·교사들이 어떤 의견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질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연구의 표본은 서울 시내 소재 중·고등학교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의 분석방법으로 T검증(T-test)과 다중범위검증(Duncan test)을 실시하였다. 또한 특별활동 성과를 결정하는 유의미한 변수를 파악하기 위해 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특별활동 운영의 전반적 실태는 어떠한가? 2. 특별활동에 관한 필요성 및 중요성 인식, 관심과 참여 정도, 학교의 지원정도, 특별활동의 성과 등이 학생 및 교사의 특성과 학교의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특별활동의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첫째, 특별활동의 운영실태 중 내용으로는 예·체능에 관한 내용이 가장 많고 주당 약 3시간을 할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된 활동 요일은 토요일로 나타나 특별활동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하려는 목적을 살필 수 있다. 또한 학생이 특별활동을 실시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에 대한 부담은 크게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의 지원 정도, 교사의 지도 능력, 프로그램의 다양성에 대한 평가는 중간 이하의 대답을 하여 특별활동의 운영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특별활동 인식에 대한 결과로 필요성과 중요성 인식에 있어 교사의 성별, 근무 학교의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 결과는 특별활동 운영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특별활동 성과를 결정하는 변수는 중·고등학교인가의 가변수, 주당 특별활동 시간, 필요성 인식, 학교의 특별활동에의 지원 정도가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특히 활동시간이 많을수록 성과의 평가가 높음을 나타내 결국 단위학교에서 실시되는 특별활동 시간 투입과 성과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특별활동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높을수록, 학교의 지원이 많을수록 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서 특별활동의 활성화를 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할 수 있다. 우선 학생들에게 폭 넓은 특별활동 내용과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며, 교사들은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자질과 능력을 갖추어 적극적인 자세로 참여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단위학교에서는 입시위주의 교육을 지양하고 특별활동에 관한 시설 및 운영전반이 소극적인 지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으로 바뀌어야 한다.;In modern society, a shining growth of industry, culture, and economy to be followed by a rapid growth of science and technology leads to radical changes on social life. However, the roles of school education contain numerous problems due to the explosion of knowledge and technology caused by the rapid environmental changes. In particular, the primary goal of the school education is to cultivate the capability of young students to meet the new challenge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However, current school education aims at accumulating knowledges to survive severe competition for entrance of college. It mainly inhibits the creation of creative human capital. School education must be reformed to encourage students to adapt to accelerated social changes actively and creatively. In this respect, among school education special activity aimed at promot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reativity become significant. This study intends to illuminate current situation of special activity and analyzes the determinants for its performanc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rovide a basic research data to activate current special activity in a more desirable direction. To meet the research goal, surveys are used to investigate reactions of both students and teachers regarding special activity. The samples for the survey are students and teachers at middle-and high-schools in Seoul. The samples are analyzed by both T-test and Duncan test. This study also relies on a multiple test in order to examine significant determinants for the performance of special activity.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follows : 1. What is the overall situation of special activity? 2.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eachers, and schools, what is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both the needs and significance of special activity, the degree of interests and participation in special activity, the degree of assistance of the school, and the performance of special activity? 3. What are the determinants for the performance of special activity?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regarding the current situation of special activity, both art and physical activity is the largest component while the alloted time per week is about three hours. Special activity is taught on Saturday in order to minimize its burden. Students do not feel any burden for cost of special activity while their negative responses regarding the level of assistance of schools, capability of teachers, and the evaluation on the diversity of the program reveal several problems in the operation of special activity. Second, teachers demonstrat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s for the need and significance of special activity depending on their sexes and location of their schools. These difference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performance of special activity. Third, significant variables accounting for the performance of special activity are the dummy variable for middle or high schools, weekly hours of special activity, recognition of the need, and the degree of assistance of schools for special activity. In particular,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hours of special activity and its performance; its show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input for special activity and its output. The performance of special activity is also positively related with both the recognition of the need and degree of assistance of schools. Results of this study generate the following proposals to activate special activity. Wide and diverse contents and programs for special activity must be provided for students, and at the same time teachers must actively take part in special activity after obtaining specialized ability. Schools must modify the education mainly aimed at entrance of colleges and thus provide active assistance in facilities for and management of special activ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