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6 Download: 0

지체장애자의 사회적응요인에 대한 연구

Title
지체장애자의 사회적응요인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disabled person's social adaptation relevant factors : focus on stress relevant factors
Authors
梁賢珠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Keywords
지체장애자사회적응요인스트레스사회사업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사회에서 지체장애자의 문제는 신체 ·심리 ·사회적인 부적응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런 인식의 확산에 따라 지체장애자의 만성적 부적응으로 인해 유발되는 긴장과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사회인으로 보다 적절한 적응을 유도하기 위한 연구가 외국에서는 최근 활발해지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인간의 적응과정을 설명하는 Pollock의 스트레스 적응모형을 기초로 지체장애자들의 사회적 적응수준을 파악하고 이 적응수준과 스트레스 관련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목적은 지체장애자의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관련요인을 규명하여 지체장애자의 사회적 적응수준을 강화시키기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지체장애자의 스트레스 요인을 장애지각정도, 강인성, 사회적지지의 지각, 인구사회학적 특성등으로 독립변수로서 구성하였고 사회적 적응수준은 사회적 활동량으로 종속변수로 구성하였다. 이에 두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의 분석틀에 의해 실증적 검사를 한 것이다. 연구도구로는 스트레스 관련요인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장애지각척도(김정희고안), 강인성척도(HRHS; Pollock고안, 서문자 번안), 대인관계지지척도(ISEL.Cohen & Hoberman고안, 김정희번안), 개인적 특성으로 Pollock이 고안한 인구 사회학적 요인에 대한 문항을 한국적 상황에 맞게 본 연구자가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사회적 적응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사회적활동량사정표(서문자 작성)를 활용하였다. 이로써 연구대상자의 일반적특성을 묻는 문항을 포함하여 총 119문항으로 설문지가 구성되었다. 실증적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역의 5개 장애자기관을 중심으로 20세이상 70세까지의 지체장애자에게 설문조사하였고, 총104명의 조사결과가 자료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Pc+을 사용하여 Frequency, Pearson상관계수,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Multiful-Regression프로그램에 의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체장애자가 장애를 지각하는 정도는 사회적 적응수준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지체장애를 크게 문제로 인지할수록 사회적 적응수준은 낮았다. 2. 지체장애자의 강인성과 사회적지지 지각정도의 두 요인 모두 사회적 적응수준과 관련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강인한 성격이 사회적응을 촉진하며, 사회적지지 지각정도가 높을수록 적응수준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3.지체장애자의 인구사회학적 제 요인중 교육정도와 직업의 두 요인이 사회적 적응수준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교육정도가 높고, 직업이 있는 사람이, 사무직 근무자가 생산직 근무자보다 적응수준이 높았다. 4.지체장애자의 사회적 적응수준을 예측함에 있어 스트레스 관련요인의 기여적 순서를 분석한 결과 가장 기여도가 높은 요인을 장애지각정도였고, 사회적지지의 지각, 직업의 순으로 기여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수 있다. Pollock의 스트레스 적응모형에 근거한 지체장애자의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관련요인은 장애지각정도, 강인성, 사회적지지의 지각정도, 인구 사회학적요인중 교육정도와 직업임이 검증되었다. 또한 이런 관련요인들이 지체장애자의 사회적 적응문제에 대한 사회사업적 개입 및 개입프로그램 계획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이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실제상황에서 활용된 연구결과가 계속 나온다면 더욱 사회사업적 개입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The problem of physical handicapped people which has been increased in modern society are raising in the viewpoint r of brining about cronically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maladaptation. According to this cognition, the studies of relevant factors to lessen the strain and stress owing to the maladaptation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in the home and society and to help them adapt well as a social person have been vigorous. Therefore in this study among many handicap types especially, I will grasp the physically handicapped's social adaptation condition and analyze the factors which can foretell their social adaptation level through the stress relevant factors based on the Stress Model of Pollock's This analysis aims a t identifying the stress relevant factors which are influential to the social adaptation degree and at providing the basic social work program to fortify the social adaptation degree of the physically Disability through analyzing their relationship. This study makes us as a tool, the scale for the perceived effect of disability, health related hardiness scale(HRHS : designed by Pollock, and adapted by Mun- Ja Seo) & the perceived interpersonal support self evaluation list(ISEL designed by Cohen & Heberman, adapted by Joung-Hee Kim) to measure stress relevant factors and social activites assessment scale( designed by Mun- Ja Seo) to measure social adaptaion degree. The Questionnaire consist of one hundred nineteen including demographical items. The total sample, one hundred four was used to the data analysis. The object of this study are slected in handicapped agencie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analyzed by Frequency, Pearson's coefficients one- way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rough using SPSS / Pct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re was meaningful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and social adaptation. That is the more the disabled percept the physical disability, the less the social adaptation level. 2. Among the internal intervening factors, the hardiness &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re influential the social adaptation. So the higher their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hardiness, the higher their social adaptation degree. 3. Amoning the ext. conditioning factors, demographical factors of the physical disbilitie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 degree, Job and Sicial adaptation. And the disabled having the job and engaging the white color, are higher in the social adaptation degree than do not so. 4. Predicting the social adaptation degree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among the stress relevant factors,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social support, Job were the most contributory factors in that order. The over-all results show conclusions as following. Analysis the physical disable people's social adaptation and stress relevant factor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the social adaptation degree, the perception the social adaptation degree,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degree, handiness &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demographical factors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 that these relevant factors are very important bisis data to procide concrete program for the social adaptation of disabled person in social work intervention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I represert the social work approach about the diabled person's social adapt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