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4 Download: 0

자연의 신고전주의적 표현에 관한 연구

Title
자연의 신고전주의적 표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o-Classic Expression of Nature : On the Basis of work-manufacturing
Authors
김성희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섬유예술학과
Keywords
자연신고전주의표현작품제작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류의 문화생활과 더불어 발전해 온 타피스트리는 현대에 이르러 섬유예술로서의 독자적인 조형성을 갖추게 되었다. 이러한 타피스트리는 한때 회화의 대체물로 전락하여 「회화의 형식만을 취한 모방작업」이라는 선언속에서 18세기 예술사조에 나타났던 신고전주의와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18세기 중엽부터 시작된 산업혁명으로 양적인 풍요는 가져왔으나 질적인 저하를 가져오게 됨으로서 William Morris는 중세로 복귀하기 위한 운동을 전개하여 단순하고 명료한 고전양식으로 되돌아갈 것을 주장했다. 이러한 사상을 기반으로하여 여러 디자인 운동이 일어났으며 예술과 기술의 통합을 이념으로한 Bauhaus가 탄생되었다. 이 Bauhaus시대부터 섬유가 예술의 한 재료로서 인정받기 시작하였으며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창조하려는 예술가들은 각 시대의 흐름에 따라 독특한 표현양식으로 자신들의 내면세계를 표현하였다. 그 가운데 전통적 양식의 타피스트리는 현대건물의 내부에서 시각적 촉각예술로서 인간의 감성을 고양시키며 보다 쾌적한 환경을 조성시키고 있다. "실을 사용하는 화가"로 표현되어지는 현대 타피스트리 작가들은 그들이 지향하는 자율적인 창조를 통하여 그 영역을 저변확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같은 섬유예술의 발달과 새로운 조형의식을 인식함으로써 전통을 수용한 신고전주의적 타피스트리의 표현과 정을 통해 자연 풍경의 외관과 그것에서 얻어지는 내면의 심상을 결합하여 독창적인 조형세계를 추구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는 신고전주의의 특성을 통하여 타피스트리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대상의 변형개념과 과정을 형태와 색체표현을 통해 나타나는 이미지의 구체화로 연구하여 실제작품제작의 기반이 되도록 하였으며, 결론적으로 전통적인 기법의 적용과 변환을 통하여 타피스트리의 본질을 파악하여 보다 자유로운 표현 영역을 확립하고자 한다.;The tapestry that has developed from the early rise of mankind, getting around the contemporary, has become to secure its original formativity as the fiber art. In this tapestry appeared a similia tendency with that of the neo-classicism which appeared as an 'ism' in art circles in eighteenth century proclaiming 'imitation borrowed only the form of painting' when falled down as a substitute of painting. When the Industrial Revolution which began from the Riddle period, of the eighteenth century brought material abundancy but deterioration in quality, William Morris developed a movement for a return to the Middle age, advocating a recall of the simple and plain classical mode. Based on this thought, various design movements have come to rise, and at last, Baugaus was borne to an unification of art and technique. From the time of Bauhaus, fiber began to be acknowledged as a material of art, and artists who were anxious to create newer things ceaselessly have expressed in it their inner-worlds with original expressional modes according to each tendency of the times. Among them, the tapestry of traditional mode exalts the emotion of man as a visual and tactile art in the inner part of comtemporary buildings and forms the more delightful environments. Modern tapestry artists who are expressed as "artists employing thread" are increasing their domains through a way of creation free to th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cused on an exploration into an original formative world that may be secured by a combination between the outer images from natural landscapes and innver images also from the same objects when making a full use of the expressional process in tapestry of the neo-classical which adopted the traditions by recognizing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fiber art and the newer formative consciousness. And, as the required theoretical basis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neo-classicism and the relationship of it with tapestry were observed; and, the concepts and processes of metamorphosis of objects were studied through a process of embodiment of the images which appear in formal and color expressions, for the base of the actual work manufacturing.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tapestry, through overall application and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techniques, conclusively, would surel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domains of the more liberal expr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