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6 Download: 0

Fusarium moniliforme의 원형질체 융합

Title
Fusarium moniliforme의 원형질체 융합
Other Titles
PROTOPLAST FUSION OF Fusarium moniliforme
Authors
이현숙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생물학과
Keywords
Fusariummoniliforme원형질체융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orer to develop the protoplast fusion method of F. moniliforme, auxo-trophic mutants after the treatment of notrosoguanidine were isolated and the optimun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and regeneration of protoplast were established. And then, the enzyme activities and gibberelin formation of fusants were investigated. The maximum protoplast formation was obtained from 24hr cultured mycelia by using the mixture enzyme of driselase and zymolase 5000 or that of dri-selase and chitinase in 0.6M KCl as osmotic stabilizer. The protoplast produced at different digestion time showed heterogeneity in size and vac- uole content. The maximum frequency of protoplast regeneration was obtained in 0.8M sucrose stabilized agar medium at pH 5.0. The regeneration of protoplast was formed in two different ways in liquid medium. First, the protoplast itself germinated to give a hyphal tube. Second, the protoplast formed yeast-like chain and finally produced a hyphal tube. The fusion frequencies between auxotrophic protoplasts were 2.0 × l0^(-4) - 3.6×10^(-5). Some of selected fusants showed the enhanced enzyme activities and gibberellin formation.;불완전 진균인 Fusarium Moniliforme의 원형질체 융합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nitrosoguanidine에 의해 영양요구성 돌연변이균주를 분리하고, 원형질체 형성 및 재생의 최적조건과 원형질체 융합을 통해 얻은 융합체의 효소활성과 gibberellin생성을 조사하였다. 원형질체 형성은 24시간 배양한 균사체에서 최대치를 나타냈으며, 세포벽 분해효소는 driselase 단독사용보다는 zymolase 5000, chitinase를 혼합사용했을 때 보다 효과적이었고, 삼투압 안정제로는 0.6M KCl 이 가장 좋았다. 효소반응 시간에 따라 형성된 원형질체는 크기와 액포 함유량에 있어 불균일성을 나타내었다. 원형질체의 재생율은 0.8M sucrose가 첨가된 pH 5.0의 배지에서 가장 높았다. 액체배지에서 재생시킬 경우 원형질체가 세포벽을 형성하여 점차로 두꺼워지면서 그것으로부터 직접 균사체를 내는 재생형태와 원형질체들이 사슬형태를 이룬 후 이러한 출아로부터 균사체가 형성되는 두가지의 재생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영양요구성 돌연변이균주간의 원형질체 융합율은 2.0×10^(-4)-3.6×10^(-5)이었으며 원형질체 융합을 통해 선별한 융합체중 몇 주는 야생형 균주나 모균주에 비해 효소활성 및 gibberellin생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