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혜경-
dc.creator신혜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8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3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6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325-
dc.description.abstract다가오는 정보화 사회의 양적 팽창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의 함양과, 이로 인한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의 과학화가 요청됨에 따라 교육 현장에 컴퓨터가 도입되고 이를 교수-학습 매체로 활용하는 새로운 교육 방법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문교부에서는 1970년 초 컴퓨터 관련 교육 방침을 설정하고 "학교 컴퓨터 교육 강화 방안"과 함께 초, 중, 고등 학교에 컴퓨터를 보급,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컴퓨터 교육이 활발하지 못한 실정인데, 그 이유로는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부족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은 복잡하고 정교한 프로그래밍의 과정을 필요로 하므로 많은 시간과 기술을 요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술과 지식이 없이도 쉽게 개발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작도구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문헌 고찰을 하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저작도구를 활용, 개발하고 있는 기관 및 기업체를 대상으로 제작 도구의 활용 실태를 조사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국내의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기관들 중에서 저작 도구를 활용하였거나 현재 활용, 개발하고 있는 15기관을 선정한 후 이들 기관에서 저작도구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75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이중 65부가 회수되었다. 연구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내에서 알고 있는 저작도구는 지명율 64.6%로 WISE(WICAT Interactive System for Education)를 가장 많이 알고 있었고, 또한 직접 활용해 본 저작도구도 지명율 61.5%로 WISE가 가장 많았다. 2. 제작도구는 자체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는 기관이 15기관 중 7기관(46.7%)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기존 저작도구를 구입, 임대, 온라인 시스템을 통하여 활용하는 순으로 나타났다. 3. 저작도구의 활용 목적은 양질의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서가 순위도 6.03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시간 단축, 다량의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개발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저작도구의 활용 분야는 컴퓨터 보조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지명율 89,2%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저작도구를 활용할 때는 마우스, 프린터, 스캐너, 오디오 장치 등의 주변장치를 90% 이상이 연결하여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저작도구 활용시의 효과는 개발을 위한 수정과 편집이 편리하며, 개발 시간을 단축시켜 준다는 점에서 각각 지명율 87.7%로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한글화되어 있지 않아 처리가 어렵다는 것이 지명율 63.1%로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6. 앞으로 저작도구 활용을 확장할 것인가의 여부는 할 것이다와 하지 않을 것이다가 65명 중 23명(35.4%)으로 각각 나타났고, 타 기관에 추천할 만한가의 여부도 추천할 만하다와 그렇지 않다가 65명 중 26명(40%)으로 그 찬. 반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7. 저작도구 기능에 관한 만족도 조사 결과는 3 61로 전체적으로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고. 각 기능별 즉 교수 설계 개발을 위한 보조 기능(3.77), 코스웨어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보조 기능(3.78), 시스템 확장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3.26), 사용의 용이성 및 소요 경비(3.63)에 대해서도 모두가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저작도구는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생산성과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므로, 교수-학습 이론을 충분히 반영한 효과적인 저작도구를 개발할 수 있도록 더욱 더 많은 연구와 끊임없는 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2. 현재 컴퓨터 교육 방안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가 각 급 학교에 보급되고 있으므로, 퍼스널 컴퓨터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각 기종 간 서로 호환이 가능한 저작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3. 저작도구는 학습 보조 프로그램 개발 외에, 컴퓨터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 할 수 있도록 인사관리, 봉급 계산 등의 일반 업무 처리 및 LAN을 통한 데이타 처리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어져야 한다. 4. 한글화 처리가 가장 미비한 문제점을 시급히 해결해야 하며, 누구나 저작 도구를 쉽게 배우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저작도구의 도움과 메뉴얼도 함께 한글화 되어져야 한다. 5. 사용자가 자신의 목적에 따라 쉽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저작시스템 및 저작도구의 가격과 그 사용료가 보다 저렴해져야 한다. 6. 앞으로 멀티미디어 지원 시스템이 개발되어지는 추세에 부응하여, 저작도구도 멀티미디어의 지원이 가능해야 한다. 즉 앞으로의 저작도구에서는 음성, 동적 영상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더 나아가 하이퍼텍스트의 개념을 수용할 수 있어 정보나 그래픽 자료를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서 코스웨어 제작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이 해결된다면, 양질의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더욱 효과적인 저작도구를 선택,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As changing information society, now education method has appeared to use teaching and study method by introduced computer at educational spot. By this situation, it is supplied and used at elementary, meddile and high school with "The school computer education intensification plan" by created education principl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from early 1970's. But differently to be expected, computer instruction has been not to be active. It is pointed out the problem that the important reason of this situation is the shortage of the instructional software. Therefore it has been needed tools to develop instructional software without technology and knowledge of the computer program.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1) to study theoretical background of authoring tools, (2) to investigate it's present application condition in domestic institutions and companies using and developing authoring tools. Target research group is domestic instructional software development institutions, 15 institutions that used and present use, develop authoring tools are selected, and questionnaire have been sent to 75 experient person to use authoring tools in that institution. Out of 75, 65 persons gave feedback to the questionnair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most known and used authoring tool within the country is WISE. 2. It was appeared that they have use authoring tool by buying or existing authoring tool, applying it through on-line system, developing it themselves. 3. Authoring tool has been used to develop many instructional software of good quality in a short time. 4. It was appeared that authoring tool has been most used to develop computer based education program. And using authoring tool, they interface external device: i.e. Mouse, Print. Scanner, Audio system etc. 5. It was appeared that in the use of authoring tool it is most effective to be easy to revision and edit for development and to reduce development time. Whereas the most important problem is that authoring tool is not Korean alphabet. 6. On whether they expend authoring tool and they w ill recommand to other institutions in the future, it resulted the equal response. 7. It was appeared that they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authoring tool. Especially they are satisfied Kith each funtion like aid function for instructional design development, program based function for courseware development, interface function f o r system expansion, the ease of use, required cost. On the base of this result, I will propose as follows: 1. Because authoring tool has direct relation with the productivity of the instructional software. further study and continuing technology development should be achieved in order to develop effective authoring tool reflection teaching and study theory enough. 2. Because currently personal computer is spreaded to each school level by computer education plan, low priced authoring tool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use easily in personal computer, be portable, be bought and used easily by each person's need. 3. Besides study aid program development, authoring tool should be used in the more variable field from personnal management to general bussines dealing like pay count and data process through LAN in order to exhibit maximum ability of the computer. 4. Korean alphabetization process should be solved urgently help and manual of authoring tool also should be korean alphabetizated in order to easily study and use authoring tool by every one. 5. The price and cost of use of the authoring system and authoring tool should cheaper for user to use easily by his purpose. 6. According to the tendency to be develop multi media system in the future, authoring tool also should be able to support multi media. That is, future authoring tool should be able to use voice, animation screen. And furthermore by admitting the concept of Hyper text it should be able to use commonly information and graphic material. Therefore it can be improved greatly productivity of the courseware production. If solved these problems, we can select and use more effective authoring tool in the development of the good quality instruction softwa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4 C.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4 D. 용어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8 A. CBE 시스템의 개요 = 8 1. CBE의 개념 및 특성 = 8 2. CBE와 저작도구 = 12 B. 저작도구의 개념과 특성 = 16 1. 저작도구의 발전배경 = 16 2. 저작도구의 개념과 유형 = 19 3. 저작도구의 구성요소와 기능 = 35 Ⅲ. 저작도구의 활용 = 50 A. 국내외에서 활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저작도구의 예 = 50 B. 국내에서의 저작도구 활용 = 87 Ⅳ. 우리나라 저작도구의 활용 실태 조사 결과 분석 = 93 A.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93 B. 연구의 결과 및 해석 = 94 Ⅴ. 결론 및 제언 = 108 참고문헌 = 112 부록 = 117 ABSTRACT = 12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386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교육용-
dc.subject소프트웨어-
dc.subject개발-
dc.subject저작도구-
dc.title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의 저작도구의 활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UTHORING TOOL'S APPLICATION IN INSTRUCTIONAL SOFTWARE DEVELOPMENT-
dc.format.pagex, 13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공학분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