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6 Download: 0

스트레칭 훈련이 가자미근의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스트레칭 훈련이 가자미근의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Stretching Techniques on the Flexibility of Soleus Muscle
Authors
백혜정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과
Keywords
스트레칭훈련가자미근유연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단일 관절을 지나는 근의 유연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가장 효율적인 스트레칭 방법을 알아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18세-28세(21.39±2.09)인 발목에 상해를 입은 적이 없고, 발목의 유연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특별히 운동을 하지 않는 건강한 여성 36명으로 하였다. 이들은 통제 그룹 11명, SS그룹 9명, CR그룹 8명, CRAC 그룹 8명으로, 사전 검사로 가자미근의 유연성을 대변할 수 있는 발목의 배측 굴곡 각도를 측정함으로써 각 그룹의 평균 차이를 최소화하였다. 스트레칭 훈련은 양쪽 다리 모두 6주 동안 하루에 2회씩, 주3회 실시하여 총 36회 수행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함으로서 다시 발목의 배측 굴곡 각도를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은 양쪽 발목의 각도를 더하여 실시하였으며, 주사용 다리와 비 주사용 다리에 대하여 따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의 차이와 스트레칭 방법 간의 일원변량분석 결과 발목 배측 굴곡 각도의 차이와 스트레칭 방법간의 상호작용이 유의했으며, 사후 검증 결과 SS, CR, CRAC그룹 모두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각각의 스트레칭 방법의 평균차를 비교해 본 결과 CRAC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CRAC 방법은 SS 방법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CR 방법과 SS 방법은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이러한 스트레칭 효과는 주 사용 다리·비 주 사용 다리에 관계없이 동일한 스트레칭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increasing the flexibility of a single joint muscle. Subjects were 36 females from the E womans university population, aged between 18-28(21.39±2.09)years, who were in good health without any ankle injury or disorders. The subjects were volunteer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divided into 4 groups: control group, SS(Static Stretching) group, CR(Contract-Relax) group, and CRAC(Contract-Relax-Antagonist Contract) group. Pretest mean of the ankle dorsiflextion degree was minimized among groups by distributing the subjects in the order of their degrees. Posttest was measured on 6th week(2 times per day, 3 times per week, total 36 times) after flexibility training. 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were used to see if there was stretching effect gained from two legs, dominant leg/non dominant leg, and major/non major. Indivisual pre & post measurments ranged from -6˚ to +27˚, inclusively. It was interesting to note one subject experienced negative gain between pre- & post-test in the SS condition. Negative gaining did not occur in the CR & CRAC conditions. One-way 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average gains in the range of motion.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means, a post-hoc analysis was applied to the mean difference. The results of analysi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gains of ankle dorsiflexion among all of the three stretching methods. Greater gains in the range of motion of CRAC method was compared with other methods, but neither groups found a difference between CR and SS metho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ominant & non dominant le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