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
- 한국의 言論倫理에 관한 이론적 소고
- Other Titles
- Study on fournalistic Ethics of Korea : Ethic Code Analysis and Journalist's Professinal Ethics
- Authors
- 安京娥
- Issue Date
- 1991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Keywords
- 언론윤리; 언론윤리강령; 언론인; 직업윤리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bstract
- This study has its interest in ethical problems of journalism can be dicussed seriously at present korean journalistic circumstances that responsibility based on freedom has become possible according to self-regulation was expended since the 6th government.
This study examine ethical problems of korean journalism focusing on journalist's personal ethics and mass communicational ethics, differing from other studies which examined ethic organization or case studies on ethical violations.
On this purpose, two different resarch methods were designed : Content analysis and Survey reserch.
Content analisys was conducted to examine real workability of ethic code for journalist's professional behavior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value and behavioral norms , concreteness of expression, and reality of content.
The sampling units of content analysis are Korean newspaper ethic code, Hankyeore newspaper ethic code, Dongah reporter's ethic code, KBS broadcasting code, MBC broadcasting code.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as follows :
The issue of news value were more than behavioral norms, and ethic codes applicated in the stage of pointing defining of manufacture of news showed most frequently. In analysis of expression's concreteness, most of them showed low degree, but in content's reality, showed high degree of reality. Compared to national ethic code , organizational ethic code showed much higher concreteness of expression and reality of content.
Survey reserch was conducted to examine closely internal structure of Korean journalism ethics according to verifying the theoretical relationship among journalist's personal view of ethics and journalism and professional ethic consciousness and professional ethics orientation as a mass communicational member, and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ethic code and lenth of service.
The survey population was 4 news organizations with own ethic code and 4 news organizations without own ethic code in Seoul selected as a purposive sample. The sampling unit was reporters of politics, economics, capital & local, cultural staff of editorial office. By quota matrix selected from each office & stations according to sample proportion, Total of 200 journalists were sample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1991 October 2 to 11.
The result of survey research are as follows :
1. Regardless of journalist's ethical type, both highly deontologic and teleological ethical oriented journalists showed more of social responsibilitism of journalism than liberalism.
2. The higher journalist's professional ethic consciousness was,the higher professional ethic orientation. Especially, vocational consciousness and social-responsibilitic consciousness showed to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affecting professional ethic orientation
3. Journalists working under own organizational ethic code showed higher degree of professional ethic orientation than those working without own organizational ethic code. Therefore organizational ethic code has greate effect on journalist's professional ethic orientation, especially on the attitude toward ethic code and professional ethic behavior.
4. Lenth of service affected to the professional ethic consciosness. Journalists have short lenth of service showed high degree of professional ethic consciosness than those have long lenth of service.;본 연구는 6.29선언 이후 언론활동의 자율성이 크게 신장됨에 따라 자유에 근거한 책임이 가능해진 현 우리나라 언론 상황에서 비로서 언론윤리 문제가 진정한 논의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에따라 언론 윤리에 대한 기존의 우리 연구가 윤리 심의 기구나 윤리위반 사례 중심이었던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언론 윤리에 대해 언론활동의 주체인 언론인들의 개인적 윤리성과 언론조직 구성원적 직업윤리에 논의의 촛점을 두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내용 분석과 설문조사가 설계되었다.
내용 분석은 우리나라 언론윤리의 외적체계인 언론윤리강령들이 중시하는 가치및 행동규범, 표현의 구체성, 내용의 현실성 등을 분석하여 언론인의 실제 직무활동에 대한 적용력을 평가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전국 차원의 강령인 한국 신문윤리강령과 조직차원의 강령인 한겨레신문윤리강령, 동아일보기자강령, KBS방송강령, MBC방송강령 등을 분석대상으로 한 내용분석 결과, 언론윤리강령의 주제 유형은 행동지향적이기 보다 보도가치 지향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뉴스제작단계중 기사의 논조구성단계에 적용되는 규정이 가장 많았다. 한편, 강령의 표현은 비교적 낮은 수준의 구체성을 보여준 반면, 강령의 내용은 대체로 높은 수준의 현실성을 나타냈는데, 조직차원의 강령이 전국차원의 강령보다 훨씬 높은 표현의 구체성 및 내용의 현실성을 보여 주었다.
설문조사는 언론인들의 개인적 윤리관 및 언론관과 조직구성원적 직업윤리의식 및 직업윤리지향성 등의 이론적 관계를 검증하고 조직차원의 언론윤리강령이 실제 언론인의 직업윤리에 미치는 영향등을 밝히고자 실행되었다.
설문조사대상자는 서울 소재 언론사 가운데 자사 강령이 있는 4개 언론사와 비교집단인 4개 언론사를 의도적 표집한 후, 각 언론사의 정치·경제·사회·문화부 소속 기자들중에서 언론사별 할당비율에 따라 총 200명이 표집되었다. 조사는 1991년 10월 2일부터 11일까지 실시되었다.
설문조사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론인들의 윤리관 유형과 관계없이 목적론적 윤리지향이 높은 언론인과 의무론적 윤리지향이 높은 언론인 모두 자유주의 언론관보다 사회 책임언론관이 높은 것으로 밝혀 졌다.
둘째, 언론인들의 직업윤리의식의 정도가 높을수록 직업윤리지향성이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가장 설명력이 큰 종속변인은 언론윤리에 대한 태도이고, 소명의식·사회책임의식이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세째, 自社 언론윤리강령이 있는 언론인들이 그렇지 않은 언론인들보다 높은 직업윤리지향성을 나타내 조직차원의 언론윤리강령은 언론인들의 직업윤리지향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 졌는데, 특히 언론윤리에 대한 태도와 실제 직업윤리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네째, 6공화국 이후 언론계에 진출한 근무년수가 적은 언론인들은 근무년수가 많은 언론인들보다 더 높은 수준의 직업윤리의식을 나타내, 근무년수는 행동보다 의식차원의 직업윤리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