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8 Download: 0

일부 노인의 건강행동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Title
일부 노인의 건강행동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Health Behavior upon Health Status in Some Old People
Authors
김정원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교육학과
Keywords
노인건강행동건강상태Old People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Elderly problem from being aging society, especially health related problem of the elderly is very serious in many parts of this country. The reason is that most of geriatric disease are chronic and debilitating. The cause of chronic and debilitating disease are bad lifestyle and wrong health habit. Health is affected by a result of interaction of environment and human being. Because of difference of lifestyle between a city and a farm village, health behavior and health status of urban elderly and rural elderly may be dissimilar.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health behavior and health statu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effect on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The subfects for this study, 488 persons aged 60 and over who live in Seoul or Cheonbuk Province. The preliminary survey was carried out from Aug. 19, to Aug. 22, 1996. With complement of questions, main survey was carried out from Sep. 29, to Oco. 10, 1996. The data was analysed by using in SPSS/PC+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1) In the individual characteritics of the respondents, Seoulites aged 80 and over were 24.7%, the average age was 73.14 years old and rural residents aged 60-69 were 63.7%, the average age was 68.90 years old. In Seoul, 142 men and 101 women were respondents. In Cheonbuk Province, 101 men and 144 women were answered. In Seoul, those who graduated form elementary school were 35.4%, in farming region, illiteracy persons were 44.9%. In Seoul, 47.7% of respondents had spouse and in farming village, 66.1% of respondents had spouse. 39.0% of respondents who's imcome type was independent were Seoulite, and 66.1% of respondents who's income type was independent were rural residents. Employed persons in Seoul and in rural region were 16.9% and 62.0%. 2. Health Behavior 1) For the health behavior total score, the difference by reg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score of individual item was differen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2) For the Seoulites, younger person(p<0.01), the female(p<0.001) showed better health behavior and for the farming village residents, younger person(p<0.01), the female(p<0.01), independent income type(p<0.05), employed person(p<0.05) showed better health behavior. 3. Health Status 1) For the self-rated health status total score, the difference by reg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ndividual item score was differen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DL and IADL total score, the difference by reg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ndividual item score was differen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2) For the Seoulites, woman(p<0.05), lower education(p<0.001), independent income type(p<0.05) showed higher score in self-rated health status. For rural residents, woman(p<0.05), lower education(p<0.01), independent income type(p<0.001) showed higher score in self-rated health status. For the Seoul residents, younger person(p<0.001), employed(p<0.05) showed higher score in ADL and IADL, and for the farm area residents, younger person(p<0.001), higher education(p<0.01), having spouse(p<0.001), family type(p<0.01) showed higher score in ADL and IADL. 3) For the Seoulites, drinking(p<0.05), breakfast(p<0.05), exercise(p<0.05) and for the rural residents, drinking(p<0.05), deep sleeping(p<0.05), exercise(p<0.01), washing hands before meal(p<0.01) showed higher score in self-rated health status. For the Seoulites, deep sleeping(p<0.05), exercise(p<0.05) and for the farm village residents, fruit(p<0.05), deep sleeping(p<0.05), exercise(p<0.001)showed higher score in ADL and IADL. 4) From the result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 mostly affecting self-rated health status of Seoulites revealed education(R^(2)=0.068) as first place, drinking(R^(2)=0.026) and lastly breakfast(R^(2)=0.016). And the factor most affecting to self-rated health status of rural residents was income type(R^(2)=0.050) as first place, washing hands before the meal(R^(2)=0.025) and lastly education (R^(2)=0.019). The factor mostly affecting to ADL and IADL of Seoulites revealed in order of age, exercise, deep sleeping and total R^(2) of these is 0.136. And the factor mostly affecting to ADL and IADL of rural residents revealed in order of age, exercise, income type, fruit and total R^(2) of these is 0.286.;고령화사회의 도래로 인한 노인문제 중에서도 특히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문제는 여러 부분에서 매우 심각하게 제기되어지고 있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노인 질환이 만성 퇴행성 질환이며 이는 개인의 잘못된 생활습관과 건강의식에서 비롯된 문제로써 그 해결을 위해서는 생활양식을 개선하고 올바른 건강행동을 실천하는 건강태도의 변화만이 효과적이며 중요하다. 건강은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 결과에 따라 영향을 받는것으로 도시와 농촌은 생활환경의 차이만큼이나 생활양식이 다르기 때문에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건강행동 및 건강상태는 같을 수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1996년 9월 29일부터 10월 10일 사이에 서울과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가택노인 500명을 대상으로 1대 1 직접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이 중 응답이 부실한것을 제외한 488명의 응답을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그들의 지역적 차이에 의한 건강행동 및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여 지역사회의 특성에 부합하는 노인보건 프로그램 개발과 보건봉사, 노인건강의 유지·증진을 위한 보건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조사된 자료를 백분율, 산술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등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 남자노인 142명과 여자노인 101명으로 구성된 서울노인의 경우 연령, 교육수준, 배우자 생존여부, 가족형태, 수입원 유형, 취업여부는 각각 80세 이상의 고령노인이 24.7%로 가장 많았고 평균연령 73.14세, 초등학교 35.4%, 배우자가 생존해있는 노인 47.7%, 배우자 없이 가족과 동거하는 노인 36.2%, 자립형 수입원 39.0%, 취업노인 16.9%였다. 남자노인 101명과 여자노인 144명으로 구성된 농촌노인의 경우 연령, 교육수준, 배우자 생존여부, 가족형태, 수입원 유형, 취업여부는 각각 60-69세가 63.7%로 가장 많았고 평균연령 68.90세, 무학 44.9%, 배우자가 생존해 있는 경우 66.1%, 부부만 사는 노인 50.2%, 자립형 수입원 66.1%, 취업상태 62.0%였다. 2. 건강행동 1) 지역별로 건강행동 수준의 평균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개별문항에서는 음주(p<0.05), 과일 섭취(p<0.01), 규칙적인 식사(p<0.001), 수면시간(p<0.01), 숙면(p<0.001), 내의 갈아입기(p<0.001), 혈압 측정(p<0.05), 영양제나 보약 복용 (p<0.05) 문항에서 지역별로 건강행동의 차이가 있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행동은 서울노인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p<0.01), 여성 (p<0.001)일때, 농촌노인의 경우에는 연령이 낮을수록(p<0.01), 여성일때(p<0.01), 수입원 유형이 자립형일때(p<0.05), 취업노인일때(p<0.05) 건강행동을 잘 이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건강상태 1) 자가평가 건강상태의 평균점은 지역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어 농촌이 서울보다 점수가 높았고(p<0.05), 개별문항에서 서울노인은 지난해와 비교한 건강상태 (p<0.001)가, 농촌노인은 전반적인 건강상태(p<0.001) 및 동년배와 비교한 건강상태(p<0.001)가 서울의 노인 보다 좋았다. ADL과 IADL은 평균점에 있어서는 지역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항목별로는 밖에 나가기(p<0.01), 투약 및 약품 관리(p<0.001), 금전관리(p<0.001)에서 서울노인이 농촌노인보다 어려움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가평가 건강상태에서 서울노인은 여성(p<0.05), 교육수준이 낮을수록(p<0,001), 수입원 유형이 자립형일때(p<0.05), 농촌노인은 여성 (p<0.05), 교육수준이 낮을수록(p<0.01), 수입원 유형이 자립형일때(p<0.001) 더 건강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ADL IADL은 서울노인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p<0.001), 취업노인일때(p<0.05), 농촌노인의 경우에는 연령이 낮을수록(p<0.001), 교육수준이 높을수록(p<0.01), 배우자가 있을때(p<0.001), 가족형태에 따라(p<0.01), 수입원 유형이 자립형일때(p<0.001), 취업노인일 경우에 (P<0.001) 어려움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건강행동에 따른 자가평가 건강상태는 서울노인에서 음주(p<0.05), 아침식사 (p<0.05), 운동(p<0.05), 농촌의 경우 음주(p<0.05), 숙면 (p<0.05), 운동(p<0.01), 식사전 손씻기(p<0.01)를 잘 이행할 때 더 건강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 행동에 따른 ADL 및 IADL은 서울노인에서 숙면(p<0.05), 운동(p<0.05)을 할때, 농촌노인에서는 과일섭취(p<0,05), 숙면(p<0.05), 운동(p<0.001) 등을 행할때 어려움을 덜 호소하였다. 4)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서울노인의 자가평가 건강상태를 설명할 수 있는 요인으로 선정된 변수는 교육수준 6.8%, 음주 2.6%, 아침식사 1.6%의 순으로 나타났고, 전체 설명력은 11.1%였다. 서울노인의 ADL 및 IAD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운동, 숙면으로 그 설명력은 9.7%, 5.0%, 1.5%이었고, 전체 설명력은 13.6%였다. 농촌노인의 자가평가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입원 유형, 식전 손씻기, 교육수준으로 각각 5.0%, 2.5%, 1.9%의 순이었고, 전체 설명력은 9.5%이었으며, 농촌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ADL)및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 (IAD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운동, 수입원 유형, 과일섭취로 각각 20.6%, 5.0%, 1.7%, 1.3%의 설명력을 가지며, 전체 설명력은 28.6%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