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0 Download: 0

학원수강과 학습동기가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원수강과 학습동기가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nfluence of attending private institude and learning motiv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Authors
김영미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Keywords
학원수강학습동기아동학업성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That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intrinsic satisfaction, task challenge, self-regulatory efficacy in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type,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period,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time,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variables and learning motivation variables on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The subjects were 267 students in grade 5, and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the test results of intrinsic satisfaction, task challeng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he survey result of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type,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period,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time etc. and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Th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s,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of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variable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r= .21 ∼ .23). There also appeared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ll of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r= .20 ∼ .40). But there wer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period and self-regulatory efficacy. 2. The difference of learning motivation that is, intrinsic satisfaction, task challenge, self-regulatory efficacy in the three sub-factors of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There weren't significant difference of learning motivation in the three groups of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type and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time.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motivation between 4 periods or over group and 2 period or under group. In other words, the loger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period, the more challenge for task. 3. Influence of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variables and learning motivation variables on academic achievement. All of factor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except intrinsic satisfaction,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times which predicted learning achievement. All things considered results of multiful regression analysis, learning motivation variables was more potent variables than attending a private institute variables.;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학원수강과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학원수강 계열, 학원수강 기간, 학원수강 시간에 따른 내적만족, 과제도전, 자기조절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학원수강 기간, 학원수강 시간, 내적만족, 과제도전, 자기조절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아래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1. 학원수강 기간, 학원수강 시간의 학원수강 변인과 내적만족, 과제도전, 자기조절효능감의 학습동기 변인, 그리고 학업성취간의 상관을 알아본다. 2. 학원수강 계열, 학원수강 기간, 학원수강 시간에 따른 학습동기의 차이를 알아본다. 3. 학원수강 기간, 학원수강 시간의 학원수강 변인과 내적만족, 과제도전, 자기조절효능감의 학습동기 변인이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정도를 알아본다. 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지역 초등학교 5학년 267명을 대상으로 유희정(1997)이 번안한 Duda와 Nicholls(1992)의 학교에서의 내적만족(intrinsic satisfaction) 척도, 김아영(1997)의 한국형 학구적 실패 내성 척도 중 과제 수준 선호 척도, 그리고 김아영(1997)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척도중 자기조절효능감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와 학원수강에 관한 질문지를 완성하게 했다. 학업성취도는97년 9월 9일 교육부 산하 국립교육평가원에서 실시한 전국 학업성취도 평가결과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원수강, 학습동기, 학업성취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원수강 변인과 학습동기 변인 즉 학원수강 기간, 학원수강시간, 내적만족, 과제도전, 자기조절효능감 모두 학업성취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학원수강 변인과 학습동기 변인 간에는 학원수강 기간과 자기조절효능감 간에만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2. 학원수강 계열, 학원수강 기간, 학원수강 시간에 따른 과제도전, 내적만족, 자기조절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변량 분석 결과, 학원수강 계열과 학원수강 시간에서는 모든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학원수강 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즉 학원수강 기간이 길수록 자기조절효능감이 높고 과제에 더 도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 학원수강과 학습동기가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학원수강 기간, 과제도전, 자기조절효능감이 학업성취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과제에 도전적이고 자기조절효능감이 높고 학원수강 기간이 길수록 학업성취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원수강 변인보다는 학습동기 변인이 학업성취를 더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학원수강과 학습동기는 아동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나 학원수강은 일반적으로 생각되고 있는 것만큼 아동의 학업성취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