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7 Download: 0

CAI活用 및 學生, 敎師의 認知度에 관한 實態 調査 硏究

Title
CAI活用 및 學生, 敎師의 認知度에 관한 實態 調査 硏究
Other Titles
(A) serve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degree of stud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cai : mainly around the high schools in seoul
Authors
김정연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Keywords
CAI활용학생교사인지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s the 5.31 Education Revolution has been promoted, certain man power capable of adapting itself to the changes of times like inform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has been emphasized. So each individualized instruction and expansion of learning in accordance with the ability and personality of the student are being required. Based on this requirement,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degree of stud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CAI. For this study, 128 students and 128 teachers selected through a stratified sampling as a subject in three weeks from May 27 to June 15, 1996 were given a questionnaire and their answers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urrent class teaching is being done primarily through giving a lecture. Most students and teachers think that kind of teaching is not quite desirable. And it is revealed that they recognize the necessity of individualized lesson. Second, although the courseware has been developed and popularized in the aspect of policy, actual application of it in the educational scene has not been satisfactory. Third, many students and teachers think the reason of incomplete application of CAI is the lack of publicity work on the importance of CAI and people's recognition. And expectations for the effects of applying CAI were high both from students and teachers. Fourth, the degree of recognition was low both from students and teachers. But teachers' recognition was rather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Fifth, students and teachers think application of CAI is instructive for both student and teacher. Sixth, both students and teachers think positively about CAI. Particularly, private school students than national or public school ones, girls than boys, and those with computer education experience than those without have a more positive view about CAI, and this is the same in the case of teachers and when compared with students. And the author of this study has some propositions as follows to make use of CAI more efficiently; First, to promote the application of CAI, qualitative improvement of computer environment is demanded as well as quantitative spread of computer. Second, to extend the application, durable and relevant teacher training should be established. Third, by settling down quality guarantee and certification activities, we must concern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courseware as well as its development for CAI. Fourth, in developing courseware, school staffs' participation and general business like public subscription for making CAI general must be induced. Fifth, teachers should make an effort to make most of the existing data to apply CAI actively in the class. When these various efforts come into reality, we can realize the real aim of education through individualized instruction and learning, and furthermore success of educational revolution can be expected.;우리 나라에서 컴퓨터 교육이 시작된 것은 1970년대 초 였으나, 본격적인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것은 1983년부터 였다. 이후 제 5차 교육 과정에서는 컴퓨터에 대한 내용이 정규 교육 과정에 포함되기에 이르렀고, 결국 제 6차 교육 과정에서는 독립된 교과로서 인정받게 되었다. 더 나아가 5. 31 교육 개혁이 추진되면서 정보화·세계화라는 시대적 변화에 적응해 나갈 수 있는 인력의 양성이 강조되게 되었다. 이를 위해 학생 개개인의 능력과 개성에 맞는 개별화 교수 학습의·확대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우리 교육 여건 하에서의 개별화 교수·학습의 실현은 어려우며, 교실 수업의 결함을 보충하고 교육적 요구인 개별화 수업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교육에서의 적극적인 컴퓨터의 활용이 요구된다. CAI에 대한 관심은 교육 개혁 이전인 1987년 12월부터 시작되었다(오진석, 1996). 이에 1992년에 전국 초·중·고를 대상으로 한 학교 교육에서의 CAI의 활용 실태조사(백영균, 1992)가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CAI의 활용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가장 시급한 일이 프로그램의 개발과 컴퓨터의 보급, 그리고 교원 연수의 증대가 시급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이후 학교 현장에서의 적극적인 CAI의 활용을 위해 공모전 및 한국 교육 개발원(KEDI)과 시·도 교육청 주관으로 많은 코스웨어가 개발되었으며(본문, p43 <표5-9>) 코스웨어 개발을 위한 교원 연수 비율도 전 교원의 52%에 이르게 되었다. 또한 컴퓨터 보급율도 상당량에 이르고 있다(본문, p61 <표5-34.). 예산도 이 분야에 적지 않게 투입되었으며, 앞으로도 많은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렇다면 교육 개혁 이후 CAI의 활용이 다시 한번 강조되고 있는 이러한 시점에서 과연 지금까지의 연구와 노력 및 투자가 어느 정도의 결실을 보았는지를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에서, 학생과 그들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CAI에 대한 인지도 및 그 활용 실태를 조사해 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 시내의 인문계 고등학교의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1996년 5월 27일 부터 6월 15일 까지 3주 동안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활용 실태 조사를 위해 전국의 초·중·고 컴퓨터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실시한 학교 교육에서의 CAI의 활용 실태 조사(백영균, 1992)의 분석 내용을 기초로 작성하였고 인지도 조사 문항은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컴퓨터의 교육적 수음도 실태 조사(마미경, 1991)를 위해 작성했던 설문의 내용을 본 연구의 취지에 맞게 수정·보완 하였다. 또한 설문지는 연구의 목적에 맞게 조사 연구 전문가 2인의 수정과 검증을 거쳤으며, 양천구 내의 2개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 50명과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생용과 교사용 설문지 모두 37개의 문항(일반적 자료 처리를 위한 6개 문항, 연구 내용과 관련된 31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측정 도구인 설문지의 안정성 계수인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각 하위 요인 별로 학생용 설문지가 .89에서 .98로 평균 .95였고, 교사용 설문지가 .88에서 .99로 평균 .95였다. Cronbach α에 의한 내용 합치도 계수는 각 하위 요인 별로 학생용 설문지가 .81에서 .97로 평균 .89였고, 교사용 설문지가 .80에서 .95로 평균 .89였다(본문 p31 <표4-6>). 조사 대상 학교는 서울특별시 9개 학군의 인문계 고등학교 184개교(국립 1, 공립 54, 사립 129(1995년 현재))중 국·공립, 사립, 남학교, 여학교를 적절히 고려하여 분석 대상 학교를 층화 표출(stratified sampling) 하였다. 그 결과 공립 12개교(남학교 4, 여학교 4, 공학 4)와 사립 12개교(남학교 4, 여 학교 4, 공학 4)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각 학교의 협조를 얻어 문과 2학년 학생 4명과 교사 4명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했으며, 공학의 경우는 남학생 4, 여 학생 4, 교사 8명에게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직접 방문으로 실시하였으므로 설문지의 회수율이 매우 높았다. 즉,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의 회수율은 학생용과 교사용 모두 100%로 최종 분석은 총 256사례이다(본문, p28 <표4-1>).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수업 방식은 강의식 수업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었다. 이에 대해 학생, 교사 모두 강의식 수업이 바람직하지 못하며, 학생 주도적인 수업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 교사 모두 개별화 수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AI의 활용 실태를 보면 교육부가 제시하고 있는 CAI의 학교 보급율과 본 연구에서 조사된 결과 사이에 큰 차이가 있었다(서울교육, 1995 ; 주요국의 학교 컴퓨터 교육 현황, 1995). 교육부가 발표한 CAI 개발·보급 편수는 1995년 말 현재 1,014편(공모전과 KEDI 및 시·도 교육청 주관 개발)으로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데 반하여 학생,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CAI 코스웨어의 학교 보유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를 통해 정책적 측면에서 코스웨어의 개발과 보급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학교 현장에서의 활용은 미비하며, 심지어는 CAI 수업 적용의 주체인 교사가 코스웨어의 보유 여부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셋께, CAI의 활용이 미비한 원인에 대해 학생·교사 모두 CAI 활용의 중요성에 대한 홍보 및 인식의 부족으로 보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앞으로 지금까지 주력해온 CAI 개발·보급 뿐 아니라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CAI 활용의 중요성에 대한 홍보를 적극적으로 해야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CAI 활용의 효과에 대한 기대는 학생, 교사 모두 높았다. 그러나 전문 지식이나 지도 방법의 미비, 과밀학급, 필요성에 대한 회의 등으로 CAI 활용에 대해 고려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CAI를 활용할 의사가 있더라도 코스웨어의 미비, 주의산만, 교사 업무의 가중 등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CAI에 대한 인지도는 학생, 교사 모두 낮았다. 그러나 학생보다는 교사의 인지도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것은 교사가 학생보다 교육 잡지나 현직 연수를 통해 CAI에 대한 정보에 접근할 기회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학생과 교사는 CAI의 활용이 학생과 교사 양자 모두에게 유용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학생이 스스로 평가하고 있는 자신의 CAI 활용 능력이나 관심 보다 교사가 생각하는 학생의 CAI의 활용 능력과 CAI에 대한 관심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는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CAI에 대한 관심과 그 활용 능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으면서도 실제의 활용은 지체하고 있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 공급자로서의 교사는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여섯째, CAI에 대해 학생, 교사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좋다, 쉽다, 쓸모있다, 이해가 쉽다, 친근하다, 새롭다, 다채롭다, 단순하다, 비용이 많이 든다, 값어치 있다, 효과적이다). 특히 국·공립 학생 보다 사립의 학생이, 남학생 보다 여학생이, 컴퓨터 교육 경험이 없는 학생 보다 컴퓨터 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이, 국·공립의 교사 보다 사립의 교사가, 남교사 보다 여교사가, 학생 보다 교사가 CAI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여교사가 남교사 보다 CAI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결과는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컴퓨터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Johanson(1985) 등의 연구나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있어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긍정적이라는 Chen(1986)의 연구 결과와는 상반되는 결과로 이에 대한 재고가 있어야 함을 보여준다(김진숙, 1992). 결국 학생과 교사 모두 강의식 수업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현 수업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CAI의 활용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 효과와 유용성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활용은 매우 미비하며, 인지도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것은 많은 예산의 투입과 노력에 의해 개발·보급된 프로그램이 일선 학교에서 개별화 수업을 실현하기 위한 CAI에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CAI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도 중요하지만 이미 보급된 것이라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CAI 활용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해결해야 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1992년의 학교 교육에서의 CAI의 활용 실태 조사 결과와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전국의 학교를 무선으로 표집하여 각 급 학교의 컴퓨터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므로 교사의 CAI에 대한 인식 및 활용 경험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본문, p22-23 <표3-1> <표3-2>.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의 인문계 고등학교의 학생과 일반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므로 CAI의 활용 경험은 매우 미비하며, 인지도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개별화 교수·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CAI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몇가지를 제언한다. 첫째,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보급이 바람직한 컴퓨터 교육을 위한 충분조건은 아니다(Becker, 1991b ; Kerr, 1991 ; Sheinggold, Hawkins & Char, 1984 ; 이옥화, 1995). 그러므로 CAI의 활용을 증대시키기 위해 지금까지 주력해 온 컴퓨터 보급의 수적인 증대 뿐 아니라 컴퓨터 환경의 질적인 개선이 더욱 필요하다. 현재의 컴퓨터 보급율은 높은 수준에 있으나 그 환경이 CAI를 목적으로 이용하기에는 매우 비효율적이다. 둘째, CAI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연계성있는 교사 연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교사 연수의 기회를 지금과 같이 많이 부여하는 것도 중요 하지만 연수한 내용을 실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연수의 실제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한 "사후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지금까지는 양적인 측면에서 코스웨어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제는 CAI를 위한 코스웨어의 양적 개발 뿐 아니라, 품질 보증 및 인증 활동을 정착시켜, 코스웨어의 품질 향상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백영균, 1992 ; 정택희, 1987). 넷째, 코스웨어 개발에 교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CAI를 일반화하기 위한 공모전 등의 일반화 사업을 더욱 내실화 해야한다. 다섯째, CAI 활용의 실제적 증대는 교사의 수용 의지에 크게 의존한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교사는 현재의 자료를 최대한 활용하여 CAI를 수업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여러가지 노력이 현실로 나타날 때 우리가 지향하는 교육의 참 모습인 개별화 교수·학습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교육 개혁의 성공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시내 인문계 고등학교의 일부를 그 분석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CAI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증대 뿐 아니라 이미 보급된 것이라도 효율적으로 활용 하기 위한 노력과 컴퓨터 환경의 개선 등 CAI의 활용상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앞으로 우리가 지향하는 개별화 교수·학습의 한 방법으로서의 CAI의 효율적 활용이 증대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