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0 Download: 0
정신지체인의 사회적응훈련 효과성에 관한 단일집단 사례 연구
- Title
- 정신지체인의 사회적응훈련 효과성에 관한 단일집단 사례 연구
- Authors
- 장숙
- Issue Date
- 1997
- Department/Major
-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Keywords
- 정신지체인; 사회적응훈련; 단일집단; 장애인종합복지관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Degree
- Master
- Abstract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dvanced scheme by cla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 adaptation training for the mentally retarded adults by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n the behavior of the subject.
To accomplish the object, a case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 adaptation training' program for the mentally retarded.
The subjects were 10 persons who attended the social adaptation training program which was managed by Seoul Southern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1996. The method was to compare the levels of adaptative behavior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For the measurement, the Adaptive Behavior Scale : School Edition, ABS-SE was used. It was standardized by Lambert, Windmiller in 1981, and translated into "Adaptive Behavior Scale K-ABS" by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at Dankuk University.
Collected data were proceeded by paired t-test using SPS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hen we look at the changes of subject of study, the level of adaptive behavior of 8 out of 10 trainees was improved after the training and this showed that the social adaptation training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ability of social adaptation.
2. The ability of social adaptation of the trainee was improved.
The level of adaptive behavior of this group was average 178.5 before the training and changed to 184.2 after the training. The result, t=3.43 (p < .0l),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statistics and this program has been proved that there is effectiveness to improve the level of social adaptive behavior of the subject group.
3. Social adaptive behavior were categorized into five sections which are satisfaction of indivisual need, satisfaction of community living, responsability of individual and society, social adaptation and individual adaptation. There was improvement in the four sections except individual adaptation.
(1) Satisfaction of individual need was average 41.5 before training and showed improvement of 46.6 after training. The resul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of t=6.92 (p < .005).
(2) Satisfaction of community was 55.5 before training and showed improvement of 68.0 after the training. The resul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of t=6.52 (p < .005).
(3) Individual and Social responsability was 66.1 before training and showed improvement of 69.7 after training. The resul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of M.34 (p < .05).
(4) Social adaptation was improved after training, but there was no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
(5) There was no improvement at the individual adapt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suggestion for the strengthening social adaptation training are,
1. various method for the positive participation of the family has to be studied to progress social adaptation training effectively.
2. specific program has to be managed by the professional institute.
3. liason between institute which execute similar programs should be reinforced.
4. social adaptation training as a 1 year independant program should be included in the education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Suggestion for the further study are,
1. the parents of the trainees shall observe the behavioral change and that observation should be applied to some assistant data for the study on effectiveness.
2. survey of efficiency as well as effectiveness should be conducted.
3. follow-up of the subjects should be done after finishing the program.;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적응훈련이 대상자들의 적응행동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훈련의 효과성 여부를 밝힘으로써 정신지체인 사회적응훈련의 바람직한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신지체인의 사회적응훈련 효과성을 평가하는 단일집단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남부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1996년에 실시한 사회적응훈련에 참가했던 훈련생 10명이었으며, 연구방법은 훈련에 참가하기 이전에 대상자가 나타내는 적응행동수준과 훈련에 참가한 이후의 적응행동수준을 비교분석하는 사전사후비교방법을 사용하였다.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한 조사도구로는 1981년에 Lambert, Windmiller가 개정표준화한 "미국정신지체협회 적응행동검사 : 학교용 (AAMD : Adaptive Behavior Scale : School Edition, ABS-SE)"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 연구소에서 번역한 "적응행동검사 K-ABS"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로 통계처리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대상자별로 나타난 변화를 살펴보면, 사회적응훈련을 실시한 후에 총10명의 대상자 가운데 2명을 제외한 8명의 적응행동수준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응훈련이 대상자들의 사회적응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2. 사회적응훈련에 참가했던 대상집단 전체의 사회적응능력은 향상되었다. 집단의 전체적인 적응행동수준은 훈련을 실시하기이전에는 178.5였던 평균값이 훈련을 실시한 후에는 184.2로 향상되는 변화를 나타냈다. 이를 검증한 결과 t = 3.43 (p<.01)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이를 통해 사회적응훈련이 대상집단의 사회적응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프로그램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3. 사회적응능력을 다섯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영역별 대상집단의 적응행동수준을 살펴보면, 개인요구충족, 지역사회요구충족, 개인 및 사회적 책임, 사회적 적응의 네개 영역에서 향상된 변화를 나타냈으며, 개인적 적응 영역에서는 향상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1) 개인요구충족 영역에서는 훈련을 실시하기 이전의 평균값인 41.5가 훈련을 실시한 후에는 46.6으로 향상되었고, 이를 검증한 결과 t = 6.92 (p<.005)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2) 둘째, 지역사회요구충족 영역에서는 훈련실시전 대상집단의 평균값인 55.5가 훈련을 실시한 후에는 68.0으로 향상되었다. 이를 검증한 결과 t = 6.52 (p<.005)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 개인 및 사회적 책임 영역에서는 훈련을 실시하기 전에는 66.1이었던 대상집단의 평균값이 훈련을 실시한 후에는 69.7로 변화하였고, 이를 검증한 결과 t = 2.34 (p<.05)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사회적 적응 영역에서는 훈련을 실시한 후 대상집단의 적응행동수준이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로는 나타나지 않았다.
(5) 개인적 적응 영역에서는 대상자들의 적응행동수준에 있어 향상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분석된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우선 사회적응훈련의 개발을 위한 제언으로서,
1. 사회적응훈련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대상자 가족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개입방안들을 강구해야 하고,
2. 특정 프로그램은 전문기관을 활용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며,
3. 유사한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타기관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4. 특수교육 과정내에 1년단위의 독립프로그램으로서 사회적응훈련을 포함시킬 것을 제언하였다.
그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서,
1. 대상자의 부모로 하여금 가정 내에서 대상자들이 나타내는 행동의 변화를 측정하게 하여 훈련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보조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것과,
2. 훈련의 효과성뿐 아니라 효율성의 측정도 함께 실시할 것,
3. 훈련을 종료한 후 대상자들에 대한 follow-up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