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상영-
dc.creator이상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9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4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5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414-
dc.description.abstractGeometric construction is a form of expressing ubiquitous natural order and a formative tendency to represent modern rationalistic spirit. Traditional Korean chogakpos have geometric construction consisting of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It is needed to reinterpret and use the formative factors of geometric construction of a chogakpo for the purpose of creating embroidery with modern formative beau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mative expression of geometric construction using the geometric linear construction of chogakpo and the vertical and perpendicular composition of traditional houses. As for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s the formation of general geometric construction, historically scrutinizes the formation of chogakpo, classifies and analyzes the works of modern Korean fiber artists adopting chogakpo, and analyzes the expression of geometric construction of chogakpo applying to modern embroidery. Technically, this study reconstructs a picture by combining, omitting, reducing and enlarging the photographs of traditional houses, and dyes the canvas with pigment paste textile dyestuffs using silkscreen technique. It patchworks nobang by the 3 ddam sangchim baneujil technique, and adopts embroidery technique using relief. As materials, it uses silk linen, transparent plastic nets, silk thread, nobang and woodrock. This study makes and analyzes six works by combining the formation of chogakpo with modern embroidery techniques, materials and stuffs, and makes several conclusions applicable to modern embroidery. First, about 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lively feeling by contrasting plane space with cubic one in expressing the geometric construction of vertical and perpendicular lines which ar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a traditional house. Second, this study adopts silkscreen technique or embroidery technique using pad to express the light and shade, and spatial and cubic feeling of figures. It uses the 3 ddam sangchim baneujil technique to patchwork cloths. This produces fresh feeling by applying traditional technique to modern embroidery, It is possible to remove confusing and disorderly feeling of a picture and to poduce consolidating feeling by confining the number of colors of patchworked cloths. Third, about the choice of material,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reality by simplification adopting photographs, drawing and sketch and to reconstruct easily a picture by combining, omitting, reducing and enlarging photographs. This study generates cubic feeling by expressing the realistic spatial feeling of houses on plane picture. Fourth, about using stuffs, it is possible to adopt various stuffs such as silk thread, silk linen, plastic, nobang and woodrock. Silk thread facilitates expressing the color and the texture depending on the technique or the direction of stitching because it is easy to adjust the thickness, twist and color. This study uses silk, linen or a transparent plastic net as canvas. Silk fits to expressing softness. Linen was widely used for chogakpo. In order to prevent linen from generating too heavy feeling and to generate light feeling, soft and delicate nobang cloths were placed over linen. Transparent plastic canvas is able to express the transparency, lightness and shadow effect of chogakpo. This study used woodrock as an auxiliary stuff to express a roof or stone wall, and expresses realistic feeling by the light and shade of mass and visual texture effect. Suggested further study includes the following. Firstly, my works can be developed into cubic soft sculptur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formation of chogakpo into a modern design, and apply to an industrial embroidery design. ;기하학적 구성은 보편적 자연질서를 나타내는 표현형태이며, 현대의 합리주의적인 시대정신을 나타내는 조형경향이기도 하다. 한국 전통 조각보는 수직·수평선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조형적 요소를 재해석하고 재창조의 형식으로 이용하여 현대적 조형미를 지닌 자수작품을 제작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자수에 있어서, 조각보의 기하학적 선구성과 전통가옥의 수직·수평 구도를 이용하여 기하학적 구성의 조형적 표현을 연구하는데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일반적인 기하학적 구성의 조형성을 분석하고, 조각보의 조형성을 역사적으로 고찰하며, 한국 현대 섬유 작가들의 조각보를 이용한 작품들을 분류·분석하고, 조각보의 기하학적 구성 표현을 현대 자수 작품 제작에 적용하여 분석한다. 기법적 측면에서는 전통가옥의 사진을 합성, 생략, 축소, 확대의 방법으로 화면을 재구성하고, 실크스크린 기법을 이용하여 안료 수지 염료인 텍스타일 염료로 염색하였다. 3땀 상침 바느질 기법으로 조각 잇기를 하고, 속수 재료와 다양한 자수 기법을 사용하였다. 작품의 재료로 실크천, 삼베천, 투명 플라스틱망, 견사, 노방, 우드락을 이용하였다. 조각보의 조형성에 현대자수의 표현 기법, 소재 및 재료 등을 결합한 여섯 작품을 제작·분석하여 현대자수에 이용할 수 있는 몇 가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조형성의 측면에서는 한 화면에 조각보와 전통가옥의 조형적 특징인 수직·수평선의 기하학적 구성을 표현함에 있어서 평면적인 공간과 입체적인 공간의 대비로 생동감을 줄 수 있었다. 둘째, 실크스크린 기법과 속수 기법을 응용하여 수를 놓음으로써 형태의 명암, 공간감, 입체감을 표현하였다. 천들을 조각 잇기 하기 위해 3땀 상침 바느질 기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전통적인 기법을 현대자수에 도입하여 새로운 느낌을 주었다. 조각천의 색상을 제한하여 화면이 무질서해지는 것을 막음으로써 부드러움과 통일감을 줄 수 있었다. 셋째, 소재 선택에 있어서 사진, 드로잉과 스케치를 이용한 단순화 작업으로 사실성을 높이고 합성, 생략, 축소, 확대 둥으로 화면을 용이하게 재구성할 수 있었다. 평면적인 화면에 가옥의 사실적인 공간감을 표현함으로써 입체감 있는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었다. 넷째, 재료 사용에 있어서 견사, 실크천, 삼베천, 프라스틱, 노방, 우드락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었다. 견사는 자유롭게 굵기, 꼬임, 색채를 조절할 수 있어 기법이나 수의 놓는 방향에 따라 색상과 질감을 표현하는데 용이하였다. 작품의 바탕천으로 실크천, 삼베천이나 투명 플라스틱망을 사용하였다. 실크천은 부드러움을 나타내는데 적합하였다. 삼베 바탕천은 조각보에 많이 사용되었는데, 삼베만을 사용했을 때 지나치게 무거운 느낌을 주는 것을 막기 위해 부드럽고 결이 고운 노방을 삼베 위에 얹어서 가벼운 느낌을 주었다. 투명 플라스틱망 바탕은 조각보의 투명성, 가벼움, 그림자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우드락을 부 재료로 사용하여 지붕, 돌담 등의 표현에 적용한 결과 양감에 의한 명암 효과와 시각적인 질감 효과에 의해서 실재감을 표현할 수 있었다. 앞으로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우선 평면적인 본인의 작품을 입체적인 부드러운 조각(soft sculpture)으로 발전시킬 수 있으며, 또한 조각보의 조형성을 현대적 디자인으로 발전시키고 산업적 측면의 자수 디자인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기하학적 구성의 조형요소 = 3 1. 기하학적 구성의 개념 = 3 2. 조형 요소로서의 수직·수평선 = 5 B. 조각본의 일반적 고찰 = 8 1. 보의 개념과 발생 = 8 2. 조각보의 조형적 특징 = 9 C. 현대 섬유 미술에 나타난 조각보 = 15 1. 한국 현대 섬유미술에 표현된 조각보 = 17 2. 조각보와 현대 자수의 조형적 표현 = 21 Ⅲ. 작품 제작 및 분석 = 37 A. 작품 제작 = 37 B. 작품 분석 = 41 Ⅳ. 결론 = 58 창고문헌 = 61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323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조각보-
dc.subject구성-
dc.subject현대자수-
dc.title조각보의 구성에 의한 현대자수의 조형적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작품 제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Formative Expression Adopting Chogakpo Construction in Modern Embroidery-
dc.format.pagex, 6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섬유예술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