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7 Download: 0

호텔 室內環境디자인 過程에서의 藝術作品 프로그램(Art work program)에 관한 硏究

Title
호텔 室內環境디자인 過程에서의 藝術作品 프로그램(Art work program)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ART WORK PROGRAMME IN THE PROCESS OF HOTEL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 with Reperence to Felt Art Work Design
Authors
柳延叔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
Keywords
호텔실내환경디자인과정예술작품 프로그램Art work program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s the functions of hotel extend, we have to recognize the growing importance of hotel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This extension requires interior design to be fit for the strong individuality of hotel facilities. To meet these requirements,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truct hotels of first-rate quality. With this respect, art works which are the essential elements in interior design create a visual image. This image to be the characteristic of some hotels and have the power to attract more people. There would also be the proper corporate personality of their own. Hotel construction today, however, does not programme both interior design and art works at the same time. Thus, it increases a higher of visual entropy phenomena, so-called disorder in beau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sign are works with felt on the assumption that in the process of hotel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art works be programmed in a more comprehensive light. In chapter 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presented, along with its scope and method. In chapter 2, it is shown that hotels are public facilities for the convenience of its user. It is also shown that art works convey visual message and delight everyone. It is argued that from the point of view of C.I.P. the creation of personality in some hotels opens the way for the choice of people. In chapter 3, as a multi disciplinary approach, theory of visual perception, theory of communication, and theory of system are applied to show the validity of programming art works in the process of hotel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Theory of visual perception. The theory of visual perception shows the way in which the visual expression of art works is presented in perceptual field. Spatial perception is on an abstract level. Therefore, the simulus reflected on the retinal through the image of art works gives rise to an organized response. Theory of communication. Art works as a visual language have the function of communication and are identified with some place or object. Thus, art works in hotel create the image of space and are the outstanding characteristic of hotel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Theory of system. System, a systematic network, aims to reach a special goal. There is a mutual relation between hotel construction environment as a system and art works as it structural elements. Therefore, hotel interior design and art works are to be harmonized with hierarchy of environmental design. In chapter 4, based on the problems with the analysis of existing literature, felt art work as a systematic programme is set on hotel space. It is presented that the programmed art works provide a unified synthesis of the hotel environment as well as visual variations. Thus, the programmed art works are shown not only to create a total environment but also to contribute to the hotel management for profits if they help attract more and more people. In Chapter 5, The summary and conclusion is presented. The totality in a building would be more than a simple synthesis of parts. With this regard, the rightly-programmed interior and art works in it would add to the effectiveness of harmony and each part would have "interrelationship". This, a tree motif on which on artwork is programmed will make the various images of the characteristic style of expression in an artist into one whole, when his style and chain hotels interrlate in their images. Chain hotels with their proper identity will take the superior position in competition between various hotels and still make large profits. This kind of artwork will set a high aesthetic value on building. To the people visiting the hotel, it will be a new experience of style. It will creat an atmosphere of harmony and contribute to the high quality of hotel environments.;호텔의 機能 확대에 따른 室內環境디자인의 비중은 점진적으로 攫大 되어가고 있다. 機能別 室內뿐만 아니라 호텔들의 경쟁에 따른 시설내용의 個性化 時代에 적응하는 室內環境디자인이 요구된다. 이는 利用客의 증가와 경쟁에 따른 호텔室內環境의 質的 向上이라는 目標를 달성하기 위하여 큰 비중을 갖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때 室內環境디자인의 중요한 構成要素인 藝術作品은 이미지(Image)를 創出 내지 강화하며, 이러한 視覺이미지는 호텔 利用客에게 접근 행동으로 나타나며, 他경쟁 기업체와 區別되는 호텔室內環境 고유의 獨自性을 갖게 한다. 그러나 現在 호텔建築空間에서는 인테리어 디자인( Interior Design )과 藝術作品이 同時에 프로그램( programme )되어 있지 않아 무질서( Entropy ) 와 공허한 空間을 초래하고 있다. 그러므로 本 硏究論文에서는 包括的이고 全體的인 관점에서 호텔室內環境디자인 過程 (process)중에 藝術作品을 프로그래밍 (programming) 해야 한다는 전제하에 그에 대한 소재로써 펠트(Felt)를 선정하여 藝術作品을 디자인 해보았다. 硏究論文의 全般的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CHAPTER 1 . 硏究의 目的과 範圍 및 方法을 서술하였다. CHAPTER 2 . 호텔建築은 利用客의 편익을 위한 社會의 共有施設이며, 서비스施設이다. 藝術作品은 메세지 (message)와 意味를 構成하고 있는 것으로 우리들의 美感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藝術作品의 감각적인 知覺은 호텔空間 知覺에 도움이 되며, C. I. P. 측면에서는 他 企業과 다른, 호텔獨自性을 갖는 플라스 이미지를 創出하여, 利用客의 선택과 行動을 유발하게 한다. CHAPTER 3. 호텔 室內環境디자인 過程에서 藝術作品을 프로그램 해야 한다는 타당성(Vatidily)을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그것의 關係性에 共有하는 多學問的接近 (Multi disciplinary approach)으로 視知覺(Visual Perception)理論, 커뮤니케이션( Communication)理論, 시스템 ( System) 理論을 적용하였다. · 視知覺 理論的 관점 知覺場 (Perceptual field)안에서 藝術作品의 視覺表現이 어떻게 보여지는가를 알아보고, 空間知覺은 空間에 담아진 사물을 초월하여 경험되므로, 망막(retinal) 에 비친 藝術作品의 이미지를 통한 刺戟은 호텔 利用客에게 유기적인 반응(Organized response)을 일으키게 된다. · 커뮤니케이션 理論的 관점 藝術作品은 視覺言語(Visual language)로서 커뮤니케이션 機能을 가지며, 이것은 장소 (Place) 또는 對象物 (Object)과 同一視( Identity)하게 된다. 따라서 호텔 室內環境에서 藝術作品은 空間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여 그 空間의 固有性을 表現한다. · 시스템 理論的 관점 시스템은 특별한 目標를 이루기 위한 조직적 네트워크 (Net Work)로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호텔建築環境과 環境部分 構成要素인 藝術作品은 相互關係性을 갖는다. 그러므로 호텔 인테리어 디자인과 藝術作品은 全體의 조화를 고려한 環境디자인체계 (Hierarchy)속에서 계획되어져야 하며, 이는 호텔環境의 質을 높이게 한다. CHAPTER 4 . 旣存의 文獻 및 資料의 분석에서 노출된 문제점을 기초로 하여 종합 체계화된 프로그램으로 호텔空間에 펠트예술작품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되어진 藝術作品은 全體的 環境으로 일관성과 全體性을 제공하며, 視覺的변화를 제공하여 藝術的 空間을 創出하고, 企業 經營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건물에 있어 全體란 단순한 部分의 총합 그 이상의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때 올바르게 프로그램 되어진 호텔室內環境의 모든 部分과 그 속에 포함되는藝術作品은 全體論 效果에 기여하며, 그 各 部分들은 서로 '의존하는 관계'를 갖게 되고 그렇게 됨으로서 각기 최상의 것이 되는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 되어진 藝術作品은 높은 질서 수준에서 호텔 企業 고유의 이덴티티( Identity)를 形成하여 經營의 이익과 利用客에게는 새로운 美的 경험으로 전달되어지며, 호텔 室內環境의 質的水準을 向上시킨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