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7 Download: 0

어머니의 취업유무와 사회적지지가 자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어머니의 취업유무와 사회적지지가 자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Authors
황영주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Keywords
어머니취업유무사회적지지자녀양육행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취업유무와 사회적 지지에 따라 자녀 양육행동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취업 유무에 따라 사회적 지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강북 지역에 위치한 유아원에 다니는 만3∼6세의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이다.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박지원(1989)의 사회적 지지 체계 측정 도구를 일부 수정한 성영혜(1993)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도현심(1996)의 양육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SAS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되었으며, 요인 분석, 빈도 분석, 백분율, 이원변량 분석, t검증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취업 유무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1) 취업 유무에 관계없이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온정적인 양육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이 높고 낮음과 관계없이 비취업모는 취업모에 비해 통제적인 양육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취업 유무와 사회적 지지의 상호 작용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취업모와 비취업모 두 집단간의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1)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특성에서, 취업모는 비취업모보다 많은 지지 제공자를 가지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어머니가 배우자, 친정 어머니순으로 많은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취업 유무에 관계없이 어머니들은 혈연 관계의 친족으로부터 정서적 지지를 많이 받는 반면, 비친족으로부터는 정보적 지지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적 거리의 경우, 취업모는 비취업모보다 친정 어머니, 시아버지, 시어머니와 함께 거주한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친정 어머니와의 접촉 빈도에서는 비취업모의 경우 1주일에 한 번 정도의 접촉 빈도를 가장 높게 응답한 반면, 취업모의 경우 매일의 접촉 빈도를 높게 응답하였다. 친구, 이웃사람과의 방향성에서는 취업모의 경우 반반, 언제나 본인순으로 나타난 반면, 비취업모의 경우는 반반, 주로 상대방순으로 방향성을 나타내었다. 2) 취업모와 비취업모 두 집단 모두에서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bout the differences in parenting behavior for children in connection with working and non-working of mother and social support, and the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in connection with working and non-working of her.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working mother and non-working mother whose children 3-6 years old, go to a nursery school in area north of the Han River, Seoul. Also, all objects belong to middle-class family. For examination on social support for moth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help of the measuring tool revised by Seong, Young Hye(1993) from Park, Ji Won's(1989) measuring tool for social support system.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ur was examined by the questionnaire made in basis of criteria for mother's parenting behaviour of Park, Seong Yeon, Lee, Sook and so forth(1990 ; Park, Seong Yeon, 1989). The collected data was handled by §AS statistical process program, and to which methods of analysis on primary factor, the trust calculation by Cronbach's a , the analysis on frequency, the inspection of Chi-square, T-test, etc.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 The results on parenting behaviour effected by working and non-working of mother and social support for her. 1) The group which had the affirmative level of the recognition of social support showed high degree of geniality regardless of the employment. 2) Without regard to the recognition on the social support positive or negative, non-working mothers showed the higher degree of control than that of working mothers. 3) The interactive effect between working and non-working of mother and social support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2. The comparative results on the difference of social support between working mother group and non-working mother group. 1) The structural feature of social support was as follows; Working mother had more supporters than non-working mother. Most of mother get the support from her spouse, following by her mother. Also, without regard to working and non-working of mother, the relatives gave the emotional support, whereas others gave the informative support. In case of geographical distance, the number of working mother lived with her mother, father-in-law, mother-in-law were more than that of non-working mother. In case of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their mother, most of non-working mother answered they contacted once a week, whereas most of working mother answered they contacted everyday with their mother. In case of direction with friends and neighbors, most working mother answered in 'fifty-fifty', following by always herself, whereas most non-working mother answered in 'fifty-fifty', following by 'mainly others'. This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2) The answer in the recognition on the social suppor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working mother and non-working mot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