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계층별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에 관한 연구

Title
계층별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에 관한 연구
Authors
신소영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남편가사노동자원이론시간가용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most common theories to explaine the husband's participation of householdlabor are relative resources, time ability, sex role ideology persp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e perspectives in middle class families low class famil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ine the difference of that result in two groups. Aditionally, to research the difference of the husband's participation of householdlabor in two groups. A total of 348 couples in Seoul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 by educationed level, occupational prestige, and, income of the husband. There are 130 couples of low class families and 218 couples of middle class families. The husband' s participation of householdlabor was used proportional responsibility of couples' in tranditional female tasks and child care and measured time scale and frequency scale independently. T-test, multiple-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ysi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 1. Husbands of middle class families helped more tranditional female tasks than low class families. That result was supported by two scale. 2. In low class families, husbands' participation of tranditional female tasks were more influenced wife's hours of market work, wife's relative income than husband's sex role ideology. 3. In middle class families, husbands ' participation of tranditional female tasks were most influenced husband's sex role ideology than any other variables. 4. Husbands of middle class families helped more child care than low class families but by time scale no difference in two groups. 5. In low class families, husbands' participation of child care were influenced wife's hours of marker. work, husband's sex role ideology. 6. In middle class families, husbands' participation of child care were influenced husband's sex role ideology.;본 연구는 자원이론, 시간 가용성 가설, 성 역할 관념 가설을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 및 가설로 보고 이 이론 및 가설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가족이 속한 사회 계층이 어떠한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류층과 중류층 가족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에 자원이론, 시간 가용성 가설, 성 역할 관념 가설을 적용했을 때, 각 이론 및 가설에 의한 변수의 상대적인 영향력이 계층에 따라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함으로써 가족의 사회 계층이 각 이론 및 가설의 적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있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이론 및 가설의 적용에 앞서 사회 계층간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 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보기 위해 계층에 따른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 정도를 보고 있다. 이때, 본 연구는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에 관한 실태를 보는 것이 주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대표적인 가사노동인 여성형 과업과 남편의 참여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으로 알려져온 자녀 양육에서 남편의 참여 정도를 보고 있다.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 정도를 측정하는 방식은 가사노동 수행에 보낸 시간을 기준으로 한 시간 척도와 가사노동 수행 빈도를 기준으로 한 빈도 척도의 두 가지를 병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부가 수행한 가사노동 시간에 대한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의 시간 척도와 부부가 수행한 가사노동 수행 빈도에 대한 남편이 수행한 가사노동 수행 빈도로서 여성형 과업과 자녀 양육에서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 정도를 측정하여 이용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하류층 가족과 중류층 가족에서 남편의 여성형 과업의 참여 정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하류층 가족에서 남편의 여성형 과업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어떠한가? 3. 중류층 가족에서 남편의 여성형 과업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어떠한가? 4. 하류층 가족과 중류층 가족에서 남편의 자녀 양육의 참여 정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5. 하류층 가족에서 남편의 자녀 양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어떠한가? 6. 중류층 가족에서 남편의 자녀 양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총 348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이들은 남편의 교육수준과 직업지위 그러고 남편의 소득을 기준으로 해서 분류된 130쌍의 하류층과 218쌍의 중류층 가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대상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 및 연구문제는 백분율, 빈도, t-test, 다중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에서 남편의 여성형 과업 상대적인 참여 정도의 평균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류층 가족의 남편들이 하류층 가족의 남편보다 여성형 과업 상대적인 참여 정도가 더 높은 결과를 보였는데 이것은 시간척도와 빈도 척도의 공통된 결과이다. 둘째, 시간 척도를 이용한 결과에서 하류층 가족 남편의 여성형 과업 상대적인 참여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를 영향력의 순서대로 보면 부인의 직업노동 시간, 부부의 상대적인 소득, 남편의 성 역할 태도, 남편의 연령 순서로 나타났다. 빈도 척도를 이용한 결과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력을 보이고 있는 변수를 그 영향력의 순서대로 보면 부인의 직업노동 시간, 부부의 상대적인 소득, 남편의 성 역할 태도로서 시간을 시간 척도와 비슷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관련 변수를 제시하고 있는 이론 및 가설과 연관지어 요약하면, 하류층 가족 남편의 여성형 과업에서의 상대적인 참여 정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시간 가용성 가설의 부인의 직업 노동 시간 변수와 자원 이론의 남편 소득에 대한 부인의 상대적인 소득 정도, 성 역할 관념 가설의 남편의 성 역할 태도 변수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시간 척도를 이용한 결과에서 중류층 가족에서 남편의 여성형 과업 상대적인 참여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를 그 영향력의 순서대로 보면 남편의 성 역할 태도가 매우 강한 영향력을 보였으며 그 외 남편의 직업 융통성 역시 0.1수준에서 정적인 영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빈도 척도를 이용한 분석 결과에서 남편의 성 역할 태도만이 남편의 여성형 과업 상대적인 참여 정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관련 이론 및 가설과 연관해서 보면, 자원이론의 변수는 유의한 수준에서 그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가 나타나지 않았고, 시간 가용성 가설의 경우 시간 척도를 이용한 결과에서 남편의 직업 융통성만이 유의한 영향력을 보이는데 그쳤다. 넷째, 두 집단에서 남편 자녀 양육 상대적인 참여 정도의 평균은 시간 척도를 이용한 경우에는 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빈도 척도를 이용한 결과에서는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류층 가족의 남편들이 하류층 가족의 남편보다 여성형 과업 상대적인 참여 정도가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다섯째, 시간 척도를 이용한 결과에서 하류층 가족 남편의 여성형 과업 상대적인 참여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를 영향력의 순서대로 보면 부인의 직업노동 시간, 남편의 성 역할 태도 순서로 나타났다. 빈도 척도를 이용한 결과에서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력을 보이고 있는 변수는 남편의 성 역할 태도만으로 나타났다. 하류층 가족 남편의 자녀 양육 상대적인 참여 정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이론 및 가설과 관련지어 보면, 하류층 가족에서 남편의 자녀 양육 상대적인 참여 정도는 성 역할 관념 가설의 남편의 성 역할 태도, 시간 가용성 가설의 직업노동 시간이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중 성 역할 관념 가설의 남편의 성 역할 태도는 두 척도 모두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확인되었다. 여섯째, 시간 척도를 이용한 결과에서 중류층 가족 남편의 여성형 과업 상대적인 참여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남편의 성 역할 태도로 나타났다. 빈도 척도를 이용한 결과 역시 남편의 성 역할 관념이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그밖에 남편의 연령 변수가 유의한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관련 변수를 제시하고 있는 이론 및 가설과 연관지어 보면, 중류층 가족 남편의 자녀 양육 참여 정도는 성 역할 관념 가설에 의해 영향을 받는 반면에 자원이론이나 시간 가용성 가설 변수의 영향력은 유의한 수준에서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자원이론, 시간 가용성 가설, 성 역할 관념 가설로서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가족이 속한 사회 계층은 각 이론 및 가설의 적용에 차이를 가져오는 요소가 됨을 알 수 있다. 다지 말해, 중류층 가족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적 자원이 부족한 하류층 가족의 남편들은 부인의 소득이 가족의 생계에 있어서 필수적이고 따라서 이 가족의 남편들은 부인의 직업 노동 시간과 부인의 소득과 같은 요인에 의해 여성형 과업의 참여 정도가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해 부인의 소득이 잉여 소득의 의미를 갖는 중류층 가족에서 부인의 취업과 부인의 소득이 가족 전체에 갖는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에 중류층 남편들은 여성형 과업의 참여를 결정하는데 하류층과는 달리 부인의 직업노동 시간이나 소득보다는 남편의 성 역할 태도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자원이론, 시간 가용성 가설, 성 역할 관념 가설이 남편의 여성형 과업 참여 정도를 설명하는 정도는 계층에 따른 차이가 두드러져서 하류층 가족에서는 부인의 직업노동 시간과 소득과 같은 시간 가용성 가설과 자원이론의 영향력이 큰 반면에 중류층 가족에서는 남편의 성 역할 태도에 의한 성 역할 관념 가설의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계층간의 뚜렷한 차이는 자녀 양육에서는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나서 두 계층 모두에서 남편의 자녀 양육 참여 정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남편의 성 역할 태도로 나타났다. 결국, 자원이론, 시간 가용성 가설, 성 역할 관념 가설로서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 특히, 여성형 과업에서 남편의 참여 정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가족이 속한 사회 계층이라는 배경적인 측면은 각 이론 및 가설의 전반적인 설명력에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