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洪庚善-
dc.creator洪庚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4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8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4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842-
dc.description.abstract사람들의 언어생활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 텔리비젼에서 여성과 남성이 사용하는 언어유형에는 차이가 있으며, 이 차이는 사회에 만연된 성차별주의를 반영하고 영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이러한 우려에서 구상된 본 연구는 성차별주의의 반영으로 언어에 남녀차가 나타나며 성에 따른 언어유형이 인상형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이론적 구조를 세웠다 구체적인 가설이 이 이론적 구조에서 나왔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첫째, 텔리비젼에 나타난 언어의 성차를 분석하고 둘째, 분석결과를 토대로 성에 따른 언어유형이 인상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 실험을 설계하였다 언어의 성차 연구에 대한 분석대상은 텔리비젼에서 방영하는 남녀 공동진행 프로그램에 나오는 언어로서 1985년 3월 22일부터 4월 5일까지 실시한 1차조사를 통해 체계적인 내용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각 남녀 공동진행 프로그램별로 1985년 8월 17일부터 9월 13일 사이에 주간은 2편, 일간은 4편씩 유층표집하여 총 1,905분의 남녀대화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호화하여 전산처리되었다. 분석 결과 여성어의 특성이라고 본 자기주장이 부족한 언어특성은 남녀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말을 할 때 책임회피식 맺음, 인용식 맺음, 부가의문문, 의문식 맺음을 사용하는 것은 남녀가 비슷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상호작용 측면에서 본 권력있는 언어특성의 사용은 성차가 있었다 즉, 남성이 여성보다 많이 프로그램의 시작과 끝을 장악하고, 화제를 주도하고, 상대방의 말을 가로채고, 중복되게 말하며, 무시하였고, 말도 평균 2배 이상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성차가 나타난 언어특성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설계하였다 권력있는 언어특성을 남자만 사용했을 때와 여자만 사용했을 때, 남녀 함께 사용했을 때와 남녀 둘 다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4가지 실험 상황을 조작하여 화자의 인상을 평가하도록 했다 피험자는 이대부속고등학교 1학년 학생 남녀 각 48명씩 총 96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과 마찬가지로 전산처리되었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권력있는 언어특성은 인상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2. 대화유형별로 남녀 화자의 인상을 비교해 본 결과, 남녀가 같은 언어특성을 사용하는 우호적인 대화와 폭력적 대화에서 화자에 대한 인상의 남녀차는 없었고, 남성이 권력있는 언어를 사용했던 남성주도적 대화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의 업무적 인상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친애적 인상은 남성보다 여성이 호의적으로 평가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여성이 권력있는 언어특성을 사용한 여성주도적 대화에서는 남성보다 여성의 업무적 인상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친애적 인상은 여성보다 남성이 호의적으로 평가되었다 3. 화자의 성과 피험자의 성은 대화상황 유형별로 상호작용하여 친애적 인상에 영향을 미쳤다 4. 피험자의 성차별주의 성향은 인상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 따라 인상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언어특성임이 밝혀졌다;The present study examines sex differences in language, with a particular attention on the influence of speech patterns on impression formation. We assumed that pervasive sexism in our society is reflected in the language used in television programs, which reinforces sexism through the process of impression formation. We hypothesized that men use more powerful language than women and such sex difference in language affects the process of social interaction via impression formation. To test the hypotheses, two separate studies were designed one is to analyze the language patterns in television programs and the other is to examine the impact of experimentally manupulated power difference in language upon impression formation. One the basis of a preliminary investigation conducted from March 22, 1985 through April 5, 1985, the framework of the content analysis was constructed. From the programs which were on air from August 17 to September 13, 1985, a total of 1905 minutes-run dialogues between male and female M.C.'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rough a stratified random sampling process. The result of analysis disconfirmed the hypothesized sex difference in assertiveness. However, the language of male M.C.'S were found, as hypothesized, to be much more powerful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an experiment was designed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peaker's sex, power differences in the language used, the audience's sex in the process of impression formation.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were 98, high school students. They were assigned randomly to one of 4 conditions and heard recorded dialogues between a man and a woman. Each conditions reflected 4 possible interaction situations in terms of the use of powerful language, male-only, female-only, both and none.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re was no sex-difference in impression when both sexes used the same powerful language. It also indicated that the powerful language enhanced the speaker's task-oriented impression, whereas the powerless language helped the formation of affiliation-oriented impression. The study also found somewhat complex interation effect among the speaker's sex, his or her use of powerful language and the subject's sex. Overall,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onfirm the hypothesized power difference in language between sexes and its impact upon the process of impression form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6 C. 연구문제의 진술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언어와 사회 = 9 1. 언어와 사고 = 9 2. 성과 언어 = 11 B. 언어에서의 성차 = 13 1. 일반적인 연구경향 = 13 2. 문법적 性(Grammatical Gender) = 18 3. 여성어의 특성 - 자기주장의 부족 = 20 4. 상호작용에서의 성차 = 25 C. 언어와 인상(Impression) = 29 1. 인상(Impression)의 이론적 배경 = 31 D. 본 연구의 이론적 구조 = 35 Ⅲ. 연구방법 = 37 A. 언어의 성차 : 내용분석 = 38 1. 1차조사 = 38 2. 조작적 정의와 분석유목 = 40 3. 본조사의 자료수집 = 46 4. 연구가설 = 49 B. 성에 따른 언어특성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 실험 = 50 1. 연구설계 = 50 2. 피험자 = 51 3. 실험재료 = 52 4. 측정도구 = 52 5. 조작적 정의 = 53 6. 연구가설 = 59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60 A. 언어의 성차·내용분석 = 60 1. 자기주장이 부족한 언어 = 60 2. 권련있는 언어 = 63 B. 성에 따른 언어특성과 인상과의 관계 : 실험 = 67 1. 권력없는 언어와 권력있는 언어에 따른 인상 = 68 2. 화자의 성에 따른 인상 = 69 3. 피험자의 성에 따른 인상 = 72 4. 대화유형별 남녀의 인상 = 80 5. 성차별주의와 인상 = 101 Ⅴ. 요약 및 결론 = 102 A. 연구전체의 요약 = 102 1. 언어의 성차 : 내용분석 = 102 2. 성에 따른 언어특성과 인상과의 관계 : 실험 = 105 B. 결론 = 110 C. 본 논문의 제한점 = 112 D.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제언 = 113 참고문헌 = 114 부록Ⅰ = 123 부록Ⅱ = 139 ABSTRACT = 1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397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텔리비젼-
dc.subject언어-
dc.subject성차-
dc.subject언어특성-
dc.subject인상-
dc.title텔리비젼에 나타난 언어의 성차와 언어 특성이 인상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exism in Language and its Impact upon Impression Formation-
dc.format.page14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신문방송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