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0 Download: 0

청소년의 주변환경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Title
청소년의 주변환경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Authors
한유선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청소년주변환경가정환경학교환경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nfluence of home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on youth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sources of making and developing social welfare policies and various clinical intervention plans for adolescents. All respondents for this study are consist of students who go to middle school in Seoul now. Data on 313 students(135 boys, 178 girls) from 7 middle schools - S middle school in Dobong-Gu, K girls' middle school in Dongdaemoon-Gu, S middle school in Dongjak-Gu, S girls' middle school in Mapo-Gu, B boys' middle school in Songpa-Gu, Y middle school in Yangchun-Gu, K boys' middle school in Eunpyung-Gu - were collected by means of the use of questionnaire. 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March 19th and April 30th. The measurements for this study were home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scales created by Lee, Jae Chang, et al in 1983 and corrected and reorganized by this research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life satisfaction scale which was created by Yang, Ok Kyung in 1997. Home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scales that were used two independent variables at this study contained 8 subscales. These 8 subscales are socioeconomic status of hone, pattern of parental status inconsistency(level of success in life or economy by level of education), pattern of parental value, pattern of parental bringingup, pattern of school and environs, pattern of students( who go to same middle school with respondent), level of democracy at school, level of adaptation at school life. Life satisfaction scale is consist of 8 subscales. There 8 subscales are a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relatives, a self-image and a general life, a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other persons, a situation of a house, a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lthes, foods, and economic status, recreational activities, an educational and a daily schedule.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test, Scheffe's test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 PC+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Mean scores of all subscales of home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were higher than score of middle group except the pattern of students who go to same middle school with respondent. 2. Total mean score to youth life satisfaction was 3.25 in a possible range of 1 to 5, and 8 subscales ranked a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relatives - a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other persons - and educational and a daily schedule a situation of a house - a self-image and s general life, clothes, foods, and economic status - recreational activities - a physical and mental health by mean scores to each subscale. 3. In youth life satisfaction by sez, boys' total mean score to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girls'. In youth life satisfaction by school regions, 7 schools ranked B boys' middle school in Songpa-Gu were most satisfied with life among 7 school, followed by Y middle school in Yangchun-Gu, S middle school in Dongjak-Gu, K boys' middle school in Eunpyung-Gu, S middle school in Dobong-Gu, K middle school in Dongdaemoon-Gu, S girls' middle school in Mapo-gu by total mean scores to life satisfaction of each school. 4. In youth life satisfaction by home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this researcher could get the results as follows. Socioeconomic status of home have an influence on youth life satisfaction. Pattern of parental bringingup have an influence on youth life satisfaction. Pattern of students have an influence on youth life satisfaction. Level of democracy at school have an influence on youth life satisfaction. Level of adaptation at school life have an influence on youth life satisfaction.;현재 우리사회에서는 청소년들의 문제행동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이렇듯 날로 그 심각성을 더해가는 청소년들의 문제행동을 위하여 복지차원에서의 노력이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제대로 그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청소년들을 위한 복지정책 및 임상적 개입방안이 마련되는 과정에서 청소년들이 처한 환경과, 이에 따른 주관적 생활·의식실태가 올바르게 반영되지 못하였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위한 실효성 있는 복지정책 및 임상적 개입방안이 마련되는데 하나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가정환경 및 학교환경 변인에 따라서 청소년들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삶의 만족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현재 서울시내의 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으로 선정하였고, 자료수집방법으로는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1996년 3월 19일부터 3월 30일까지였다. 남중( 2 ), 여중( 2 ), 공학( 3 )으로 각각 나누어 무작위로 표집한 7개 중학교는 도봉, 동대문, 마포, 은평구 등 강북의 4개교와 동작, 송파, 양천구 등 강남의 3개교였다. 이렇게 한여 표집된 연구 대상자 334명 중 응답이 부실한 21명을 제외하고, 남학생 135명, 여학생 178명, 총 313명을 최종분석대상으르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재창 등이 1983년에 개발한 가정환경 및 학교환경 척도를 연구자가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일부 수정·보완하여 만든 척도와 양옥경이 1994년에 개발한 삶의 만족 척도를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사용하였다. 연구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한 사전조사 기간은 1996년 2월 18일부터 2월 25일까지 였으며, 사전조사 결과 가정환경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계수 0.7422로, 학교환경 척도의 신뢰도는 0.7213으로, 삶의 만족 척도의 신뢰도는 0.8135로 나타났다. 척도를 구성하고 있는 하위영역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에서 독립변인으로 사용된 가정환경 및 학교환경 척도는 각각 구조적 환경과 과정적 환경으로 나누어지는데, 구조적 가정환경에는 ①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② 부모의 지위불일치 유형이 있고, 과정적 가정환경에는 ③ 부모의 가치 지향 유형, ④ 부모의 자녀양육 유형이 있다. 그리고 구조적 학교환경으로는 ⑤ 학교주변환경 유형, ⑥ 학생 유형이 포함되며, 과정적 학교환경에는 ⑦ 학교풍토의 근대성 정도, ⑧ 학교생활에의 적응 정도가 있다. 또한 연구에서 종속변인으로 사용된 삶의 만족 척도는 ① 가족 및 친척관계 영역, ② 자아감 및 일반적 삶 영역, ③ 친구 및 대인관계 영역, ④ 주거환경 영역, ⑤ 신체 및 정신건강 영역, ⑥ 의·식·경제 정도 영역, ⑦ 여가활동 영역, ⑧ 학업 및 하루일과 영역 등 8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 / PC+를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고, 기술통계방법과 t-test, F-test, Scheffe's test 등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 청소년들의 가정환경 및 학교환경에서 각 하위 영역 평균점수는 구조적 학교환경 요인 중 학생 유형 요인만 제외하고는 모두 중위 집단 이상을 나타내었다. 이는 연구대상 청소년들이 대체로 자신이 처한 환경을 중위 집단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2. 연구대상자들이 주관적으로 평가한 전체 삶의 만족도는 5점 만점인 척도에서 평균 3.25점으로 중간 보다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 영역별 만족도의 평균 점수에 따른 순위를 보면 ① 가족 및 친척관계 영역 - ② 친구 및 대인관계 영역 - ③ 학업 및 하루일과 영역 - ④ 주거환경 영역 - ⑤ 자아감 및 일반적 삶 영역 - ⑥ 의·식·경제 정도 영역 - ⑦ 여가활동 영역 - ⑧ 신체 및 정신건강 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성별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더 삶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위치에 따른 청소년의 전체 삶의 만족도는 7개 학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즉 전체 삶의 만족도는 ① 송파 B남중 - ② 양천 Y공학 - ③ 동작 S공학 - ④ 은평 K남중 - ⑤ 도봉 S공학 - ⑥ 동대문 K여중 - ⑦ 마포 S여중의 순으로 나타났다. 4. 가정환경 및 학교환경에 따른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입증되었다. ①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다. 즉,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청소년들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② 부모의 자녀양육 유형에 따라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다. 즉, 부모의 자녀양육 유형이 민주·허용형일수록 청소년들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③ 같은 학교 학생들의 유형에 따라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다. 즉, 같은 학교 학생들의 가정환경이 좋고, 품행이 단정하며, 상급학교에의 진학률이 높을수록 청소년들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④ 학교풍토의 근대성 정도에 따라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다. 즉, 전통적인 학교풍토에서 보다는 근대적인 학교풍토 속에서 청소년들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⑤ 학교생활에의 적응 정도에 따라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다. 즉,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수록 청소년들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청소년들이 불만족하고 있는 환경요인을 만족스러운 상태로 개선시켜 나갈 수 있는 복지정책 및 임상적 개입방안이 마련되는데 있어 하나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