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1 Download: 0

방과 후 아동지도의 실태와 기관운영에 관한 연구

Title
방과 후 아동지도의 실태와 기관운영에 관한 연구
Authors
이향란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교육학과
Keywords
방과후아동지도기관운영공부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research the actual condition of the Kongbubang, that is a type of after school childcare, and to present a desirable model which will facilitate optimal outcomes and to find practial methods which can be institutionalize by the government. To achieve these goals, a survey was carried out involving 75 head teachers of Kongbubangs. Questions were asked about the purpose, activity contents, operational type, personal background of head teachers finance, community's general facilities for children in the location, and the process of setting up tspecial programs through individual telephone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principal goal of a Kongbubang was educational activity, followed by providing general childcare activity and finally as a means of mission activit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incipal goals of the Kongbubang by the area or operation body, but community involvement was much higher in urban poor areas as compared with other areas. Secondly, the objects of the Kongbubangs werw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61.7%). Thirdly, main activity were teaching, helping with homework, helping with learning skills for the child ren with low school achievement levels, parents' meetings and visiting children's home. Forthly, the Kongbubang operation type had for the most part a study-centerd type, followed by a community-centreed type and finally special program-centered type. Fifthly, the head teachers were usually women in their twenties or thirties. Most of them had graduated from university but their major was not education. Sixthly, the finance budget was small(an overage of 608.000 Won/month), which was insufficient to operate Kongbubang. In addition, the building were rented so the Kongbubang finacially many difficulties. Seventhly, the other activities run from the Kongbubang were parents' meetings, involvement community problem and solidarity with other Kongbubangs. The community problems experienced were slum demolition, general elections and improvement of the enviroment.. The urban poor areas were more involved in these issues than urban manufacturing areas and rural areas. Eighthly, general facilities for children in the community which were identified as necessary were youth cultural cenrer, followed by counseling centers and youth physical centers followed. In our current society, Kongbubang has to provide have various programs that are suitable for children's development task in their local community in order to give optimal outcomes. To accomplish this, the study recommends the following ; provision oportunity of professional education for head teachers, organization of a national alliance of Kongbubangs, development maltifariousmess of Kongbubang types, and institutionalization of afterschool program whose objects ar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초등학교 아동은 생활의 중심이 가정에서 학교로 옮겨지면서 새로운 사회생활에 필요한 훈련과 기초적인 인지적 측면의 과업을 익히는 것이 주된 발달과업이며 중고등학교의 청소년은 자아정체감을 확립해 나가는 시기로 자신의 역할에 대한 인식과 그에 대한 책임성을 갖게되며, 미래를 위해 자신의 직업관, 이성관, 가치관 등을 확립하는 것이 발달과업이다. 아동기의 발달과업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학교에서 일정정도 도와주고 있다, 그러나 맞벌이 부부의 증가, 편부, 편모의 증가에 따라 아동이 방치되는 경우가 증가하면서 가정의 전통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에 학령기 아동을 방과후에도 보살펴주고 지도해줄 필요성이 생겨났으며, 1985년 산돌공부방을 시작으로 민간차원에서부터 방과후 아동지도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후 아동지도의 한 형태인 공부방의 운영실태를 분석하여 공부방 내적으로는 다양한 질을 제공할 수 있는 공부방의 모델을 제시하고, 외적으로는 방과후 아동지도의 제도화에 공부방의 경험을 수용하여 보다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려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공부방의 목적, 대상, 활동내용, 운영, 실무자현황, 재정에 대한 설문조사를 74개 공부방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특별활동의 내용 선정의 과정에 대한 것은 무작위로 선정한 5개 공부방 실무자를 대상으로 전화를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공부방의 목적은 교육활동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지역활동 보육활동 선교활동의 순이었다. 지역과 운영주체에 따른 목적의 차이는 별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도시빈민지역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하여 지역활동에 대한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부방의 대상은 초등부와 중등부를 대상으로 하는 곳이 가장 많았다. 셋째, 공부방의 활동내용은 학습지도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는 특별활동, 숙제지도, 학습부/지진아교육, 부모회, 가정방문의 순이었다. 지역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고 있지 않았다. 운영주체에 따른 활동내용의 차이도 없었는데, 이는 공부방 운영주체 기관의 목적보다는 공부방 고유의 목적과 활동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학습지도외에 특별활동을 실시하고 있으며, 특별활동의 내용을 선정할 때는 아동의 요구를 구두로 물어본 후 교사회의를 통해 결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기타활동으로는 부모모임, 지역활동, 연대활동을 하고 있었다. 지역활동을 한 경험은 과반수가 넘었고, 관여한 지역문제는 재개발과 철거문제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주거환경개선문제와 선거였다. 지역별로는 도시빈민 지역이 지역활동을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부방의 운영유형은 학습지도중심형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지역센터형과 특별활동중심형이었다. 다섯째, 실무자들은 20대와 30대의 여성들이 대부분이었으며, 학력은 대졸이상이 대부분이었으나, 교육학을 전공한 실무자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무자들의 경력은 4년이상이 전체의 1/3이었으나 보수는 무보수로 일하는 경우와 30만원 이하가 가장 많았다. 실무자들은 실무자 자신을 위해서는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교육에 대한 요구가 많았고 아동을 위한 요구는 청소년문화시설, 상담소, 청소년사회체육시설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공부방의 재정은 월평균 60만 8천원이었고 이는 공부방을 운영하기에는 부족한 액수였다. 더구나 시설소유형태가 월세나 전세여서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부방은 이제 다양한 질을 아동에게 제공해야만 한다. 즉 각 지역적 특성과 아동의 발달단계에 맞는 공부방의 유형이 다양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초등학교 저학년은 학교에 머무는 시간이 짧고 혼자 있는 시간이 많으므로 부모가 퇴근할 때까지 돌보아줄 수 있는 보육중심형의 공부방인 적합하다. 특별활동중심형은 학습위주가 아니므로 아동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사고력과 창의력을 기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운영해야 하는데, 이는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적합하다. 중·고등학생들을 위해서는 혼자서 공부할 수 있는 독서실형이나 학습지도중심형의 공부방 유형이 좋다. 농촌의 경우 농번기에는 부모들이 아동을 보살필 틈이 거의 없으므로 대상에 따라 학습지도중심형과 보육활동중심형이 적합하되, 운영시간을 평상시보다는 늘리는 것이 효과적이다. 결손가정이 많은 지역은 공부방의 유형에 대한 문제보다는 내용선정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 애정결핍 상황을 극복 할 수 있고, 사회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하여 방과후 아동지도 전반과 공부방 운영의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먼저 방과후 아동지도 전반을 위해서는 방과후 아동지도를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하며 방과후 아동지도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그리고 유휴인력의 활용과 대학생 및 학부모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활성화, 방과후 아동지도의 대상의 확대 그리고 종교기관과 학교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공부방 운영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유형의 공부방이 설치되어야 한다는 것, 전국 단위의 공부방연합회가 조직되어야 한다는 것과 방과후 아동지도 시설간의 연계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실무자들을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의 제공과 일반인과 전문인을 위한 전문연구지 및 홍보지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