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7 Download: 0

관찰을 통한 자연형태의 조형적 표현 연구

Title
관찰을 통한 자연형태의 조형적 표현 연구
Other Titles
Formative Expression Study of Nature Based upon Observation
Authors
강혜성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섬유예술학과
Keywords
관찰자연형태조형적 표현자수작품제작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원시미술에서 현대미술에 이르기까지 인간은 미의 소재를 자연에서 찾았고 자연의 무한한 변화와 조화 속에서 영향을 받으며 자연을 계속적인 관찰과 표현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러한 자연형태의 표현방법은 시대에 따라 다른 양식으로 형성되어 왔으며 현대의 미술은 자연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였던 과거의 고정관념으로부터 벗어나 관찰된 대상을 통해 얻어진 내적 감흥을 개성적으로 표현하는 독창력을 중요시하게 되었다. 이러한 예술의 표현양상은 현대자수에 있어서도 공통된 의미를 지니므로 자수로 자연의 풍경을 표현함에 있어서도 회화에 나타난 풍경화가들이 추구했던 관찰과 탐구의 정신을 기반으로 자연의 질서를 독자적으로 표현하였을 때 비로소 훌륭한 예술작품이 창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자수는 자수만의 독자적인 특성이 있으므로 조형예술 전반의 공통된 표현방법과 함께 자수만의 독자적인 표현재료, 표현기법등이 유기적인 상호관계를 이룬 독창적이고 조형적인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자연형태의 조형적 표현을 위해 회화에 나타난 풍경화에서 추구했던 관찰과 탐구의 정신을 기반으로 하여 사진자료를 관찰의 방법으로 사용하고, 관찰된 자연형태에 적합한 자수 표현기법 및 표현재료를 선택하여 화면을 구성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국내외의 문헌을 통해 동서양에서 나타난 인간의 자연에 대한 관찰태도를 고찰하고, 관찰된 자연을 예술가 자신의 미적 질서와 조형관에 따라 변형시키는 과정을 통해 자연 속에 내재된 조형성을 발굴해 내고자 하였다. 또한 회화에 나타난 풍경화의 사적고찰(史的考察)을 통해 이들이 추구했던 관찰과 탐구의 정신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하고 독창적인 표현을 시도한 화가들의 작품을 분류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현대자수에 있어서 자연형태의 조형적 표현을 시도한 자수작품을 제시하고 연구 분석하였다. 이러한 작품제작과 연구과정을 토대로 하여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자연형태의 관찰방법으로 순간의 기록과 포착이 가능한 사진을 작품의 1차적 자료로 사용한 결과, 순간에 얻어진 감흥을 오래도록 지속시킬 수 있었고 제작시간이 긴 자수 작업에서 보다 세심한 관찰을 통한 표현이 가능하였다. 둘째, 자수작업에 들어가기 전에 주제로 선택한 나무형태를 바탕천에 염색한 결과, 염색하지 않은 다른 바탕천보다 빠른 시간 안에 풍부한 자수 표현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주재료인 견사의 사용으로 실의 굵기, 꼬임수, 꼬임의 형태 등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었으며, 매듭수, 쌀알수, 변형삼각수 등의 자수기법의 사용으로 실의 자유로운 텃치에 의한 회화적인 표현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네째, 부재료로 선택한 거어즈와 수세미를 손으로 뭉치거나 펼쳐 사용한 결과, 바탕천과 대비되는 질감의 표현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다섯째, 동선의 굵기를 조절하여 견사로 감은 후 의도한 형태로 구부려 나무줄기의 표현에 사용한 결과, 동적(動的)이거나 혹은 정적(靜的)인 구도를 표현하는데 적절한 표현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여섯째, 손으로 뭉친 부재료의 양의 크기를 서로 달리하여 채색하고 동선에 감기기법을 사용하여 바탕천에 고정시킨 결과, 부재료들의 반복과 중첩에 의해 원근감과 양감의 표현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대자수에 있어서 자연형태의 조형적 표현을 위해서는 예리한 직관과 관찰이 필요하며 관찰된 대상에 적합한 자수 표현기법 및 표현재료에 대한 연구와 인식이 요구된다.;From the prehistoric Art to the Modern Art Man have found their motive of beauty from Nature. And man have been influenced within continuous changes and harmony of nature. They regard nature as steadfast objects for observation and expression. These expression method for aspect of nature have been changed into different styles throughout ages. In the age of Modern art, People tried to escape from conservative idea which express nature as it is, and start to give importance to originality which express both observed nature and inner world characteristically. Because these expression trend of art also influenced in modern embroidery with same meaning, expression of nature through the embroidery could be created good art work only after expressing order of nature characteristically based on spirit of observation and study which landscape painters had searched in the field of paintings. But because embroidery has its own original character, It requires organically correlated characteristic formative expression method which contain original material for embroidery, and expression techniqu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on creating screen by expressing formative expression of nature using photographic method as a tool of observation which is based upon observation and exploring spirit appeared in painting part of landscape, and choosing correctly embroidery technique and expression materials which is best for expressing observed nature. Theoretical base is on domestic and foreign books and papers which show observing attitude of Man in oriental and oxidental, and on inner placed formativity through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observed nature according to the artist's own artistic character and attitude of formation. And through the historical study of landscape part in painting, I tried to rearrange and analysis those works of painters who tried to express various and characteristic expression based on observation and studding spirit that they had been searched for. At last I try to represent and analysis works of modern embroidery which tried to express formative expression of nature. Through this studying process I represent such conclusion : First. I take photography, which is enable me to catch and save momentary observation of nature that is changing moment by moment. Photography enable me to keep the long impression gained momentarily and work with precise observation in long time required embroidery work. Second. Before entering embroidery work, brush coloring on base texture to express object tree as spot for leaves and line for branch made faster embroidery work compare to non-colored base texture. Third. With silk which is used main material taking transformed triangle stitch, rice stitch, rope stitch, and rough stitch to express painting effect with freely touch of thread. Fourth. Side material such as gauze, susemi were used by stretching or rolling to express contrastive massiveness compare to base fabric. Fifth. Through controling the thickness of copper coil and winding it with silk thread, and then venting those material to express branch of tree as I have intended, I got good expression effect for dynamic or static format. Sixth. With preparing different mass of side material by rolling with hand, coloring, and using technique of winding on copper coil and attaching on base fabric, I got perspectiveness and massiveness by repeating and overlapping side materials. So in modern embroidery, to make formative restructuring for natural image sharp intuition and observation is required. And for making characteristic expression, studying and recognizing about expression method and formative element and theory are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