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6 Download: 0

전통자수의 조형성을 통한 현대자수 작품연구

Title
전통자수의 조형성을 통한 현대자수 작품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Modern Embroiery Works through Modeling of Traditional Embroidery
Authors
이혜선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섬유예술학과
Keywords
전통자수조형성현대자수골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급속한 국제화의 진행은 각 나라마다 자국보호와 동질성 회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이에 따라 각국은 자신들의 전통성과 풍토성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각 민족이나 국가들은 그들 고유의 문화가 있으며 미(美)는 그들의 고유정신과 기후, 풍토, 시대성, 정치적 상황 등에 의해 변화, 발전된다. 국제화 시대일수록, 자기 일체감(Identity)이 분명한 국가와 민족만이 인류문화의 창조 및 발전에 기여 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자기 민족의 고유 정신과 미의식을 탐구하고 체계화 하여야 한다는 것은 시대적 요구이자 의무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리나라 전통자수의 조형성을 통하여 우리민족의 생활양식을 이해하고, 그 기저에 흐르는 민족의 미의식을 재 발견하며, 나아가 전통소재인 골무에 나타난 민족적 정서를 현대적 감각에 맞게 표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론적 배경에서는 첫째, 전통과 우리의 전통미를 살펴보고, 전통자수의 조형요소들의 분석을 통해 조형성을 고찰해 보았으며 둘째, 전통자수와 현대자수의 조형성을 비교·분석하여 현대미술에서의 전통소재 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으며 셋째, 작품제작의 소재가 된 골무의 이론적 분석을 통해 골무의 조형성과 심미성을 고찰해 보았다. 이론적 배경의 고찰은 본 연구자의 작품 제작을 위한 전 단계의 작업이며, 실제로 제작된 작품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작품제작시 사용된 바탕천은 골무의 단위형태보다 어둡게 염색함으로써 형태와 배경사이에 깊이 있는 공간을 표현할 수 있었다. 2. 단위형태인 골무의 크기변화와 색의 경중감은 화면내의 공간감과 입체감 표현을 용이하게 하였다. 3. 주재료인 견사의 꼬임수와 꼬인 형태, 굵기, 수놓인 방향은 제작된 작품의 시각적 질감에 효과를 주었으며 사실적인 골무표현을 용이하게 하였다. 4. 부재료로 사용된 부직포는 골무 본래의 도톰한 느낌을 표현하는 속심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때 겹쳐지는 부직포의 갯수에 따라 부조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5. 실을 통한 골무의 입체 표현에는 많은 제약이 있었으나 전통미에 근거한 소재의 활용은 전통자수의 조형성을 인식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6. 골무의 문양 등 전통 문양의 현대적 도식화 연구는 많은 부분에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으므로 특징에 대한 연구와 체계적인 정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통하여 전통소재에 대한 다양한 시도와 연구의 확산은 국제화 시대에 있어 우리의 이미지와 위상을 높이는데 반드시 필요함을 확인하게 되었다. 따라서 전통소재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의 시도는 단순한 전통의 재현으로 그쳐서는 안되며 스스로의 미의식을 자각하고 이에 따른 전통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rapid progress of internationalization suggests the protection of its own country and the necessity of the restoration of homogeneity. So, each country takes a growing interest in its own traditions and natural features. Each race and country has its own culture, and the beauty changes and develops according to its peculiar spirit and clinate, natural feature, the trend of the times and the condition of political affairs. If nations become more internationalized, the races and countries, which have obvious identities, can contribute to the creation and developments of the culture of mankind. With that point of view, investigation and standardization of the peculiar spirit of their own races and an aesthetic sense are the requirement and duty of ages. Through the moulding of traditional embroidery of Korea, I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way of life of our race, rediscover our aesthetic sense which runs under the base, and further express the national emotion represented in traditional material, thumbstall, by this thesis. For these purpose,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I examine tradition and our aesthetic sense and by analysing the modeling elements of traditional embroidery, I study modeling. Second, through the theoretical analysing the thumbstall used in my works, I studied the modeling and aesthetic sense. And last, I suggest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traditional materials in modern art by comparing the shape of traditional embroidery to that of modern embroidery. Examination of theoretical background is a former work for me to produce my works. And I could get conclusion written below from my works. 1. By dyeing texture darker, used in making work, that unit I could show the deep space which were between form and background. 2. Changing the size of thumbstall as a unit and relative weight of color make it easy to express the sense of space and solid. 3. The number of twist and the shape of being twisted and thickness of have an effect on visual sense of quality of works and make easy to express the actual thumbstall. 4. Nonwoven fabric as a vice-material used in padding which express the original full feeling of thumbstall. An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iled nonwoven fabric, works can get relief effect. 5. There are plenty of limits to express thumbstall in three dimensions by thread. But using the material based on traditional beauty gave me the chance to perceive the modeling of traditional embroidery. 6. Because studying the styles of thumbstall and modern diagraming of traditional styles can be applied to many sections, the examination of features and systematic arrangement must be preceded. By these conclusions various attempt and proliferation of examination about traditional materials are needed without fail to elevate our image and phase in internationalized period. And the attempt of new possibilities about traditional materials must not be fallen into abeyance by the simple reappearance of tradition, and perceive an aesthetic sense of itself and the study about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materials must be performed divers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