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0 Download: 0

산업장 소음환경수준이 생산직근로자의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Title
산업장 소음환경수준이 생산직근로자의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Industrial Noisy Environmental Status on Workers' Stress
Authors
박경옥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교육학과
Keywords
산업장소음환경수준생산직근로자스트레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Health services on industrial noisy environment have been provided only for noise-induced hearing loss management until now. But gradually, modem diseases and death have come to be related to stress and mental health deeply, therefore noise-induced mental disorder, like a stress became very important. In t&s 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industrial noisy environment on workers' stress symptoms. This study included a survey of 786 manual workers selected from 89 worksites in 21 factories in Puch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st of the workers were males(80.8%), the 20~29 years old were 34.5% and those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were 65.3%. The workers whose monthly income ranged from 500,000 to 800,000 won were 37.5% and who have a religion were 47.9%. 2. For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workers who had worked 1~5 years in the factories were 33.0%. Those who felt much for them workload were 43.9% and who worked more than 8 hours a day were 73.9%. Those who were disatisfied with their job and pay were 31.9% and 50.6%. The workers who responsed ventilation condition of their worksites were bad were 51.914 and the dissatisfed with working environment of their worksites were 45.9%. 3. Workers who were suffering from tinnitus were 53.3% and those who perceived hearing loss were 50.1%. Persons who reported they always wore earplugs at work were 35.4%. Those who felt earplugs bigger than their ears were 30.6% and those who experienced eardiseases caused by earplugs were 256%. 4, For the noise exposure level in the worksite, workers who were exposed to 80~90㏈ were 30.3%, 90~1OO㏈ were 26.4% and 50~7O㏈ were 19.2%. 5. Workers' stress symptom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arital status and their monthly income(P<0.05). Workers who were single and had lower monthly income showed higher PSI(Psychiatric Symptom Index) scores than those who were married and had higher monthly income. Higher PSI scores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1~2 days night-work per week, much for them workload, dissatisfaction with their job, and bad relationship with their bosses and coworkers. 6. Higher PSI scor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evere tinnitus and perceived hearing loss(P<0.00l). Workers who felt the earplugs they use did not fit their ea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SI scores(P<0.0l). Workers who reported that they did not feel they need earplug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SI scores(P<0.05). Increased experience of eardisease caused by earplugs that did not fit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higher PSI scores(P<0.01). 7. The higher noise exposure level in the worksite from 80㏈ was, the more severe stress symptoms including PSI subparts were reported Anxiety, Anger, Depression, and Cognitive disorder symptom(P<0.001). 8.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affecting workers' PSI scores were perceived hearing loss(R^(2)=0.160), noise exposure level in the worksite(R^(2)=0.110), realtionship with coworkers, amount of workload, monthly income and relationship with bosses orderly and the total R^(2) of this 6 factors was 0.371. 9.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that have impact on manual workers' stress symptoms were perceived hearing loss and noise exposure level in the worksite, especially noise exposure level in the worksite was the most affective factor on the depression symptom.;우리나라 산업장의 소음환경과 그에 따른 근로자 보건관리는 직업병 유병률이 가장 높은 소음성 난청 위주로 이루어져 왔는데 현대인의 질병양상이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상태와 관계가 깊다는 사실이 입증됨에 따라 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중 스트레스 및 정신적 장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점차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장 생산직 근로자의 스트레스 증상을 파악하고 소음환경수준이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부천지역 21개 산업장, 89개 부서의 생산직 근로자 786명을 대상으로 1995년 8월 11일부터 9월 23일 사이에 설문조사와 산업장 소음환경측정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분포는 대부분이 남성(80.8%)이었고 연령은 20대가 34.5%였으며 학력에 있어서는 65.3%의 근로자가 고졸이었다. 월수입은 80만원에서 110만원 미만이 37,5%였으며 대상자의 46.2%가 종교를 가지고 있었다. 2. 직업적 특성에서 근무년수는 5∼10년 미만이 33.0%로 가장 많았고 1일 근무 시간은 73.9%의 근로자가 하루 8시간 이상의 근무를 하고 있었으며 작업량은 43.9%가 많다고 응답하였다. 급여만족도와 작업만족도에 있어서는 각각 50.6%와 31.9%가 불만족하다고 하였고 작업공간이 좁다고 응답한 근로자가 34.4%였으며 작업장의 환기상태와 작업환경 만족도에 있어서 각각 51.9%와 45.9%의 근로자가 나쁘거나 만족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3. 청력상태에 있어서 53.3%가 이명증상이 있었고 50.1%의 근로자가 자각적 청력저하를 경험하고 있었다. 보호구 착용상태는 귀마개를 지급받는 근로자 중 35.4%가 작업시에 귀마개를 항상 착용한다고 하였고 귀마개가 귀보다 크다고 응답한 근로자가 30.6%나 되었으며 귀마개 착용으로 인해 귓병발생 경험이 있는 근로자는 25.6%였다. 4. 근로자의 소음폭로수준은 80∼90dB 이하가 30.3%로 가장 많았으며 90∼100dB 이하가 26.4%, 50∼70dB 이하는 19.2%, 50dB 이하가 15.0% 순으로 조사되어 대상자의 28.8%가 노동부 소음환경기준인 90dB를 초과하는 산업장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은 결혼상태가 미혼이며 월수입이 적은 근로자일수록 높은 스트레스 증상을 보였다(P<0.05). 근로조건에 따라서는 1주일에 1∼2일 정도의 야간작업을 하고 작업량이 많으며 직업만족도가 낮을수록 그리고 상사 및 동료와의 관계가 나쁠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다(P<0.001). 작업환경에 따라서는 작업공간이 좁고 작업장 환기상태가 나쁘며 작업환경 만족도가 낮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는데 그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6. 청력 몇 보호구 착용상태와 스트레스 수준은 이명증상과 자각적 청력저하 정도가 심할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고(P<0.001) 귀마개가 귀에 맞지 않으며 귀마개 착용때문에 귓병을 앓은 경험이 많을수록(P<0.01), 그리고 귀마개 착용의 필요성을 인식할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으며 그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7. 본 연구대상자의 소음폭로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증상은 그다지 높지는 않았으나 산업장 소음폭로수준이 80dB을 초과하면서부터 소음이 심할수록 근로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으며(P<0.001) 또한 정신건강지수(PSI)의 하위영역인 불안, 분노, 우울, 인지장애 증상 모두에서 소음폭로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였는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8. 다단계 중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자각적 청력저하가 설명력 16.0%로 근로자의 스트레스 증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이 산업장의 소음폭로수준으로 설명력은 11.0%였으며 직장동료와의 관계, 작업량, 월수입, 상사와의 관계 순으로 선정되었는데 이들 요인에 의한 전체 설명력은 37.1%였다. 9. 정신건강진수(PSI)의 하위영역 중 우울 증상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요인으로 산업장 소음폭로수준이 선정되었으며 그 설명력은 17.1%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