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주혜진-
dc.creator주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7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5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3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571-
dc.description.abstractRecently diseases related to personal health habit and lifestyle have become common in modem industrial society. These kinds of diseases can be prevented simply by changing one's lifestyle to be more healthy. As a result of realization our interest in general health has become stronger. The most basic environment for human-being in society is the home. Human secures their livelihood, physically, mentally, and socially at home. Therefore health care at home is very important. In modem society the responsibility for this task is traditionally given to housew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degree of the health knowledge, health concern, health behavior and family health care of the married women and to analyze its related factor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1,100 married women who studied at social education institutes and who had children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or a kindergarten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The preliminary survey was carried out from Aug. 7, to Aug. 19, 1995. With complement of questions, main survey was carried out from Sep. 11, to Sep. 30, 1995. The data was analysed by using in SA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1) I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 married women aged 30-39 were 54.8%, the average age was 39.8 years old. 33.8% of respondents had 6-10 years of marriage period, and the average marriage period was 14.9 years. Most of them(96.5%) lived with their husband.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and graduate school were 53.4%. And 68.3% of respondents had no job. (2) In the family characteristics, 69.3% of the married women had 3 or 4 family members and the average family size was 4.1 person. 60.0% of the respondents had 2 children. Most of the respondents (90.9%) had no married children. 84.8% of the respondents lived with their parents. Those who reported that the total family income was more than 2,500,000 won a month were 32.3%. When making the decisions, 68.5% of the married women discussed the family matter with their husband. (3) I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51.5% answered they were in good health. 61.7% of the married women answered they obtained the health knowledge through mass media. 24.3% of the women answered they had patients in their family in these days. 67.5%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y could generally control their health by themselves. 2. The Health Knowledge, Concern and Behavior. (1) For the health knowledge, the average score was 11.8. The lowest percent of correct answer(27.8%) was in the item about the skin tests for tuberculosis. And the highest percent(97.%) was in the item about taking a rest. (2) For the health concern, the married women had the highest concern about washing hands. But they were indifferent to smoking. (3) For the health behavior, the highest score was in "changing socks and underwear everyday", and the lowest one was in "taking a regular dental examination". 3. The Family Health Care (1) For the family health care, the item of "using a drug with the order of doctor or pharmacist" had the highest grade(4.781, and "consulting with the family physician about the health problem" had the lowest grade(2.03). (2) Older women arid the women with a longer period of marriage had the highest level of the family health care(P<0.00l). The married women who had 3 children had the highest level of the family health care(P<0.00l). Those who had 5 or 6 family member and higher income had the highest level had the high level of the family health care(P<0.01). Women in good health and those who had the health knowledge from health experts had a high level of the family health care. (3) For the correlation of the family health care and other variables, the health behavior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family- heath care practice(r=O.74) and the second was health concern(r=0.43). The variables which could explain the family health care were health behavior, the health concern and married women's health status(r^(2)=55.87). The most closely associated with family health care was health behavior(r^(2)=54.93);후기 산업사회의 질병구조는 과거와 달리 평균수병의 연장에 따라 만성퇴행성질환이 그 대부분이며 이는 개인의 생활양식 및 건강습관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건강관리 행위에 대한 관심이 새삼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인간은 가정을 울타리 삼아 가족과 더불어 살면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정은 물론 질적으로 향상된 삶을 추구하며 가족 상호간에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이러한 측면에서 가정에서의 가족 건강관리는 매우 중요하며, 그 역할의 대부분이 그 가정의 주부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세 이상의 기혼부인 1,025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가진 건강에 대한 지식과 관심, 건강 행위 그리고 가족 건강관리 행위의 수준을 파악하고, 가족 건강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가족 보건의 중요성 제기와 이를 위한 보건교육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을 두었으며 조사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 (1) 개인적 특성에서 응답 부인의 연령은 30대가 54.8%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39.8세였다. 결혼기간은 6년에서 10년사이의 부인이 33.8%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결혼기간은 14.9년이었고, 96.5%의 부인이 배우자와 동거하고 있었다. 교육 수준은 대학이상이 53.4%였으며 68.3%가 전업주부였다. (2) 가족적 특성에서 3-4명의 가족을 가진 부인이 69.3%였으며 평균 가구원당 가족수는 4.1명이었다. 평균 자녀수는 2.1명으로 90.9%의 부인이 미혼자녀를 두었으며 84.8%가 핵가족이었고 월평균 가정 총소득 250만원 이상이 32.3%로 가장 많았다. 의사결정은 부분가 의논해서 결정하는 경우가 68.5%였다. (3) 건강 특성에서 응답 부인 51.1%가 자신은 건강하다고 하였으며, 61 7%의 부인이 건강에 대한 지식을 대중매체를 통해서 얻는다고 응답하였다. 총 응답 부인중 현재 와병중인 가족이 있다고 응답한 부인이 24.3%였고 67.5%는 자신의 노력으로 건강을 조절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2. 건강에 대한 지식, 관심 및 건강 행위 (l) 건강에 대한 지식수준은 15점 만점에 평균점수는 11.8점이었으며, 휴식에 대한 문항의 정답율(97.8%)이 가장 높았으며, 결핵 반응 검사에 대한 문항에서 가장 낮았다(27.8%). (2) 건강에 대한 관심에서는 손씻기(Mean=4.71)에서 가장 높았으며 흡연(Mean=1.88)에서 가장 낮았다. (3) 건강 행위에서 가장 잘 실천하는 항목은 양말 및 내의를 매일 갈아입기(Mean=4.68)였으며 정기적인 치과검진(Mean=2.61)에서 실천 수준이 가장 낮았다. 3. 가족 건강관리 행위 (1) 가족 건강관리 행위에서는 의사나 약사의 처방에 따른 약물복용(Mean=4.78)에서 가장 실천수준이 높았으며 가족 주치의와의 건강문제 상담(Mean=2.03)에서 가장 낮았다. (2) 개인적 특정에서는 고연령의 부인과 결혼기간이 긴 부인이 가족 건강관리 행위 수준이 높았으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족 건강관리 행위의 수준 또한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01). 가족적 특성의 경우 3명의 자녀를 가진 부인이 가족 건강 관리 행위 수준이 높았으며(P<0.001), 5-6명의 가족을 가진 부인과 가정 소득이 높은 부인이 가족 건강관리 행위 수준이 높았다(P<0.01). 건강 특성별로는 본인은 매우 건강하다고 응답한 부인과 의료인 및 건강문제 전문가를 통해 지식을 습득한 부인이 가족 건강관리 행위 수준이 높았다(P<0.001). 또한 현재 와병중인 가족이 없고 본인의 노력에 의해 건강은 조절된다고 응답한 부인에게서 가족 건강관리 행위 수준이 높았다(P<0.01). (3) 가족 건강관리 행위와의 관련요인으로 결혼기간, 자녀수, 교육수준(P<0.01), 월평균 가정 총수입, 건간상태, 건강에 대한 조절 가능성, 건강에 대한 지식, 건강에 대한 관심, 건강행위 등이 있었으며 가장 큰 상관이 있는 변수는 건강 행위 (r=0.74)였고 그 다음이 건강에 대한 관심(r=0,43)이었다. 가족 건강관리 행위와 관련요인들간의 단계별 중회귀분석 결과 가족 건강관리 행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 행위, 건강에 대한 관심, 건강상태였으며 그 변수들의 전체 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55.87%였고 그중에서 건강행위의 가족 건강관리 행위에 대한 설명력이 54.93%로 가장 높아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 목적 = 4 C. 연구 문제 = 4 D. 용어의 정의 = 5 E.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가족보건 = 7 1. 가족보건의 개념 = 7 2. 가족 건강관리의 중요성 = 9 B. 건강관리 행위 = 12 1. 건강의 개념 = 12 2. 일상 생활 습관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13 3. 건강관리 행위와 관련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 = 16 Ⅲ. 연구 방법 = 19 A. 연구 대상 및 기간 = 19 B. 연구 내용 = 21 C. 자료 분석 = 24 1. 분석 모형 = 24 2. 분석 방법 = 25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 26 A. 일반적 특성 = 26 1. 개인적 특성 = 26 2. 가족적 특성 = 28 3. 건강 특성 = 30 B. 건강에 대한 지식, 관심 및 건강 행위 = 32 1. 건강에 대한 지식 수준 = 32 2. 건강에 대한 관심 수준 = 34 3. 건강 행위 수준 = 35 C. 가족 건강관리 행위 및 관련 요인 = 37 1. 가족 건강관리 행위 = 37 2. 일반적 특성 따른 가족 건강관리 행위 = 40 3. 가족 건강관리 행위에 대한 관련요인 = 47 Ⅴ. 결론 및 제언 = 51 참고문헌 = 54 부록 = 62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567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가족-
dc.subject건강관리-
dc.subject행위-
dc.subject기혼부인-
dc.title가족 건강관리 행위에 관한 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시내 일부 기혼부인들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A) Survey Research on the Family Health Care : Focusing on the Married Women in Seoul-
dc.format.pageix, 8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보건교육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