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5 Download: 0

가족기능에 따른 아동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Title
가족기능에 따른 아동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ild Mental Health By Family Function
Authors
김주연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Keywords
가족기능아동정신건강Family Function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By recent research about child mental health, 86% of subject children were diagnosed mental disorder, and 5-15%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difficult from mental disorder for temporary or continuously in the world over. Therefore, child mental health was recognized importantly as well as physical health, and child mental health problems have to be intervened in close relationship to family environment. This study is based upon Circumplex Model by Olson. This study purpose is to find relation ship between child mental health and family function, and effect that family function has child mental health. Therefore,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sources for prevent from child mental disorder.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in total 337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measuring instrument were used FACEⅢ developed by Olson and Wilson for family function evaluation and Child Behavior Checklist developed By Achenbach. The statistical method used for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aried t-test, one way ANOVA, Chi-Square Test using the SPSS/WINDOW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hild mental health by family function was no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But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to mean, there were higher mental health problems in rigid adaptability and healthier mental health in chatic adaptability. 2. Child mental health by family cohension was significant difference(F=3.9888, P<.01). But Child mental health was not shown higher problems aspect in extreme family cohension. Child showed healthier mental in enmeshed cohesion and higher mental health problems in disengaged. And internalized symptoms by family cohension was significant different(F=6.8653, P<.001). 3. Child mental health by family types was significant difference(F=6.9294, P<.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treme and bafanced, extreme and mid-rage family. And internalized(F=7.2991, P<.001) and externalized symptoms(F=3.3601, P<.05) by family function were significant difference. 4. Between satisfaction about family function and child mental health was significant correlation(r=2356, P=.0000). The more satisfaction high, child showed healthier mental health. Family function has effect important ment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 This results shows clearly that family fun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child mental health. When family was dysfunctional traits, internalized symptoms was shown much than externalized symptoms.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assess family function as intervention about child mental health problems. And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sources for prevention social work.;최근 아동의 정신건강에 관한 역학조사에 따르면 대상 아동의 8.6%가 적응장애, 불안장애 등의 정신장애가 있는 것으로 진단내려진 바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5-15%의 아동, 청소년들이 정신장애로 인해 일시적으로 혹은 상당기간 동안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아동의 정서적 정신적 건강은 신체적 건강 못지 않게 중요하게 인식되어져야 한다. 또한 아동은 신체적 정서적 성장발달을 하는 동안 주위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아동의 정신건강 문제는 환경과 밀접한 관계 안에서 특히 일차적인 환경의 장이라 할 수 있는 가족 내에서 주목되어져야 하며, 더 나아가 심각한 정신과적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조개개입이 강조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Circumplex Model을 토대로 가족기능과 아동의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가족기능이 아동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정신장애로의 악화를 예방할 수 있는 가족개입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고학년에 재학중인 총 33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가족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Olosn과 Wilson에 의해 개발된 FACESⅢ(Family Adaptability and Cohension Evaluation ScalesⅢ)와 아동의 정신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Achenbach가 개발한 CBCL(Child Behavior Checklist)을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술적 통계, (t-test, Paired t-test, 상관관계분석, 일원변량분석, Chi-Square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족적응력에 따른 아동의 정신건강상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평균을 비교해 본 결과 가족적응력이 매우 낮은 경직상태일 경우 아동은 가장 높은 정신건강상의 문제 양상을 나타냈으나 가족적응력이 매우 높은 혼란상태일 때에는 가장 양호한 정신건강 상태를 나타냈다. 2. 가족응집력에 따른 아동의 정신건강상태는 유의미한 차이(F =3.9888, p<.01)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가족응집력이 매우 높거나 매우 낮은 극단 수준일 경우 아동의 정신건강상의 문제 양상이 높게 나타나고 있지는 않았다. 즉 매우 낮은 수준의 유리상태인 경우에는 문제 양상이 높게 나타났으나 매우 높은 수준의 밀착 상태인 경우에는 가장 양호한 정신건강상태를 나타냈다. 또한 아동의 정신건강상태를 증후군별로 보았을 때 가족응집력은 비행, 공격적 행위 등의 외면성 증후군보다는 불안/우울, 위축, 신체증상 등의 내면성 증후군(F=6.8653, p<.001)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3. 가족유형에 따른 아동의 정신건강상태는 유의미한 차이(F=6.9264, p<.001)를 보이고 있으며, 극단형과 조화형, 극단형과 중간형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즉 극단형의 집단에 속한 아동들이 가장 높은 정신건강상의 문제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조화형과 중간형의 집단에 속한 아동은 극단형에 비해 양호한 정신건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또한 가족유형은 아동의 내면성 증후군과 외면성 증후군에 있어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외면성 증후군(F=3.3601, p<.05)보다는 내면성 증후군(F=7.2997, P<.001)과 더 큰 관련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가족기능이 극단적으로 수행되는 가 아니면 조화를 이루면서 기능적으로 수행되는 가에 따라 아동의 정서적 정신적 성장발달에 부정적 혹은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4. 가족기능에 대한 만족도와 아동의 정신건강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r=.2356, p=.0000). 즉, 가족기능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아동은 양호한 정신건강상태를 보인다고 하겠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가족기능은 아동의 정서적 정신적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아동의 건강한 정서적 정신적 성장발달을 위한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역기능적인 가족기능은 아동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며, 특히 외면성 증후군보다는 내면성 증후군을 나타낼 수 있는 가능성이 높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정신건강상의 문제를 다룰 때 가족기능을 사정함에 있어서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며, 또한 아동 정신건강 분야에 있어서의 예방적 개입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