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6 Download: 0

임상간호 실습교육의 교수효율성에 관한 연구

Title
임상간호 실습교육의 교수효율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eaching effectiveness on clinical nursing education
Authors
김미애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Keywords
임상간호실습교육교수효율성간호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간호교육은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건강문제를 다루고 이론과 실제를 적용시켜 지적이고 기술적인 독창적 기능을 가진 전문직 간호사를 기르는 과정이다, 간호 학생이 교육을 받아 간호사라는 전문직업인이 되는 것은 이론교육과 임상실습교육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임상실습교육 과정에서 교수는 원조자, 평가자, 촉진자, 환자간호 조정자, 그리고 자애로운 성품의 소유자로서 학생들에게 준간호사로서의 자아-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Flagler, Loper-Powers & Spitzer, 1988). 이와 같이 임상실습교육에 있어서 교수변인(敎授變因)이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그에 따른 교수활동의 효율성이 평가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국내 간호교육은 일반적으로 평가에 대한 연구 활동이 부족하고 타 영역에 비하여 평가문제를 중요하게 인식하지 못하며(신경림, 1993), 교수의 가르치는 행위와 관련된 교수이론이나 교수(Teaching)의 측정, 평가문제, 교수의 효율성 문제 등을 포함한 교수변인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김종서, 1981 ; 김충행, 1982 ; 황정규, 1992). 이에 본 연구는 간호 학생들의 평정에 의한 임상실습교육의 교수효율성을 측정함으로써 임상실습교육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국 24개 간호교육 기관에 재학 중인 졸업반 학생 618명을 임의 추출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1996년 3월 15일부터 4월 17일까지 34일간이었다. 연구 도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본 연구자가 작성한 일반적 특성 5문항과 임상 교육의 현황 13문항. Reeve(1994)가 개발한 임상실습 교수효율성 측정 도구 50문항의 총 68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연구 도구의 신뢰도는 Chronbach's Alpha= .95이고 요인분석에 따른 요인별 신뢰도는 Chronbach's Alpha값이 .50∼.88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ANOVA, MANOVA의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대상자인 졸업반 간호학생의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은 20-23세가 98.35%로 모두 여학생이고, 미혼이 99.4%였다. 종교는 기독교 41.1%, 무교 39.8%, 천주교 10.8%, 불교 8.0%였다. 학교 유형별로는 의과대학 45.5%, 전문 대학 22.0%, 간호대학 16.3%, 간호전문대학 16.2%로 4년제 교육기관 재학생이 61.8%, 3년제 교육기관 재학생이 38.2%로 나타났다. 2. 임상간호 실습교육의 교수 관련 현황 1) 간호학생들의 임상 실습은 주로 전임교수가 지도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44.9%), 전임교수와 수간호사(18.5%), 기관별 실습조교(15.1%), 과목별 실습조교(14.6%), 수간호사(6.8%) 순으로 지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1회 실습기간은 11일 이상이 가장 많았고, 실습 기간동안 임상실습 교수의 참여도는 1-2회(59.7%)가 가장 많았다. 3) 임상실습 교수의 참여학습 내용으로는 집담회가 가장 많았으며(34.5%), 집담회와 간호술 및 오리엔테이션 등의 복합적인 내용 지도(22.0%), 간호과정 적용(21.7%), 오리엔테이션(13.5%), 순회목적(6.4%), 기본 간호술(2.0%)의 순이었다. 4) 이론과 실습의 시행관계는 간호학생의 82.9%에서 학사일정과 실습지의 상황에 따라 이론과 실습이 각각 시행되었다. 5) 임상실습교육을 통하여 자신의 역할모델로 생각하는 임상실습 교수가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간호학생의 51.8%가 역할모델이 있다고 했고, 그 이유는 풍부한 전문지식과 경험을 실무에 잘 적용시키기 때문(53.6%)이라고 응답했다. 6) 간호학생이 원하는 임상실습 교수로는 과목별 실습조교가 가장 많았고(44.9%), 전임교수, 수간호사, 전임교수와 수간호사 및 일반간호사 팀, 기관별 실습조교의 순으로 나타났다. 7) 간호학생들이 원하는 임상실습 교수의 자격 기준으로, 학력은 석사가 가장 많았고(64.1%), 임상경력은 5년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62.6%), 그 이유는 풍부한 지식과 경험이 있어야 전문인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하였다. 3. 임상실습 교수의 교수효율성 연구대상자 618명에 의해 측정된 전체 교수효율성 점수는 총점 147.97점 (평균 2.95±0.98)으로 '중'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된 50문항 중 '학생의 학습을 자극하여 준다, 이론과 실무를 연관시켜 준다, 실습 일지의 사용과 과제물을 이용한다, 규정과 절차를 잘 지킨다, 평가 도구를 사용한다, 학생을 적극적으로 만나준다, 학생의 실수를 잘 수정해 준다, 전문직으로서의 책임감을 일깨워 준다, 다정하고 관심이 많다, 전반적으로 능력이 있다'의 항목은 교수효율성 점수가 평균 3.30이상으로 상위점수를 받은 반면, '유머감각이 있다, 항상 도움을 제공한다, 타직원과 협조적이다, 평가시 조언을 해준다, 원조자로 기능한다, 학생의 요구를 받아들인다, 요구에 맞는 실습 장소를 배정해 준다, 학생이 상호작용을 잘 하도록 돕는다, 학생의 능력에 맞는 기대를 한다, 학습목표와 능력에 맞는 적절한 대상자를 배정한다'의 항목은 교수효율성 점수가 평균 2.68 이하로 하위점수를 나타냈다. 4. 임상간호 실습교육의 교수 관련 현황에 따른 교수효율성 1) 임상실습 교수별 교수효율성은 과목별 실습조교가 가장 높고, 기관별 실습조교, 전임교수와 수간호사, 전임교수, 수간호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4.53, p<0.001). 2) 임상 실습 기간 중 임상 실습 교수의 참여도에 따른 교수효율성은 실습 기간이 짧은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F=1.11, p>0,05), 실습 기간이 긴 경우(9-10일, 11일 이상)에서는 임상 실습 교수의 참여 횟수가 많을수록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69, p<0.05; F=4,47, p<0.01). 3) 임상실습 교수의 참여하습 내용에 따른 교수효율성은 기본 간호술을 지도할 때 가장 높았고 간호과정 적용, 집담회와 간호술 및 오리엔테이션 등의 내용, 집담회, 오리엔테이션, 순회 목적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10.97, p<0.001). 4) 임상실습 교수 중 역할모델이 있는가에 따른 교수효율성은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높았고, 역할모델이 되는 임상실습 교수가 많을수록 교수효율성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67.22, p<0,05). 5) 이론수업과 실습시행의 관계에 따른 교수효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06, P>0.05). 6) 학제에 따른 교수효율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45, p>0.05). 5. 임상 실습 교육의 요인별 교수효율성 연구도구 50문항은 Reeve의 요인분석에 따라 13요인으로 분류하였다. 13요인을 보면 '대인관계술, 의사소통술, 역할모델, 원조자, 유용성, 격려와 지지, 공정한 평가, 교수법, 적절한 배정, 조직성, 전문적 능력, 전문지식, 병원직원과의 협조'를 포함한다. 임상실습 교수효율성 13요인 중 효율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측정된 요인은 의사소통술로 평균값이 3.20이고, 가장 낮은 요인은 원조자로서의 기능으로 평균값이 2.38이었으며, '역할모델, 격려와 지지, 공정한 평가, 조직성, 전문적 능력, 전문지식, 협조' 요인은 교수효율성이 '중상'이고, '대인관계술, 학생들에게 유용함, 교수법, 적절한 배정' 요인은 교수효율성이 '중하'로 나타났다. 6. 임상실습 교수에 따른 요인별 교수효율성 13요인 중 '대인관계술(F=3.18, P<0.05), 의사소통술(F=3.85, P<0.05), 원조자 (F=5.41, P<0.001), 격려와 지지(F=2.65, P<0.05), 공정한 평가(F=2.74, P<0.05), 교수법(F=4.21, P<0.01), 적절한 배정(F=5.23, P<0.001), 조직성(F=3.38, P<0.01), 전문능력(F=3.37, P<0.01), 병원 직원과의 협조(F=5.70, P<0.001)' 요인에서 교수효율성은 과목별 실습조교가 가장 높았고 수간호사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용성 요인의 교수효율성은 과목별 실습조교가 가장 높았고 전임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5.39, P<0.001). 유용성 요인에 대한 전임교수의 교수효율성이 낮은 이유는 침상 실습교육에서 교수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는 높은 반면, 전임교수들이 학생들의 요구를 충분히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역할모델 요인과 전문지식 요인의 교수효율성은 과목별 실습조교가 가장 높았고 수간호사가 가장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F=1.29, P>0,05) F=1.64, P>0.05). 7. 13요인을 고려한 임상실습 교수의 교수효율성 13요인을 모두 고려하여 임상실습 교수별 교수효율성을 종합적으로 평가 할 때 과목별 실습조교가 효율성이 가장 높고 수간호사가 가장 낮게 평가되었고, 전임교수와 수간호사가 각기 개별적으로 임상실습을 지도하는 경우보다는 전임교수와 수간호사가 함께 지도하는 경우가 교수효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1.94, P<0.001). 이와 같은 연구 결과, 임상간호 실습교육의 교수 관련 현황에서 임상실습교육은 전임교수가 주로 지도한다고 했지만 전임교수의 참여도와 참여학습 내용은 1-2회, 집담회에만 참여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따라서 학생들은 실질적으로 임상 실습동안 전임교수로부터 학습목표 및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되도록 충분한 지도를 받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임상실습교육의 교수효율성은 '중' 정도이고, 요인별로 '의사소통술, 역할모델, 격려와 지지, 공정한 평가, 조직성, 전문능력, 전문지식, 협조 요인은 교수효율성이 '중상'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술, 원조자, 유용성, 교수법, 적절한 배정' 요인은 교수효율성이 '중하'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교수별 교수효율성은 전임교수가 학생들의 실습만을 담당하는 과목별 실습조교보다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친밀감, 열의, 융통성, 원조자, 유용성, 대인관계술, 교수법, 적절한 배정'요인은 '중하'의 평가를 받았다. 간호학생들은 간호에서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모두 중요시하고 있으며, 이론과 실제를 잘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전임교수를 가장 이상적인 임상실습지도자로 원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임교수는 바쁘고 실무에 약하다는 이유 때문에 차선책으로 임상경험이 풍부하고 과목별 실습 중 좀 더 가까이에서 학생들을 지도해 주고 있는 과목별 실습조교를 실습지도자로 택했고 실제로 교수효율성 평가에서도 높은 점수를 준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간호교육 측면 1) 임상실습 교수는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낮은 평가를 받은 대인관계술, 원조자, 유용성, 교수법, 적절한 배정 요인의 교수효율성을 높이고 임상실습 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 이론과 실무의 연결과 일치를 원하는 학생들의 학습요구에 부합하고 간호의 발전을 위하여 전임교수의 적극적인 실무참여가 필요하다. 3) 실습기관의 수간호사는 임상실습교육의 잠재적인 교수요원이다. 그러므로 학생실습을 의뢰한 기관의 수간호사를 위하여 워크?事犬?특강 등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실습지도에 대한 사전정보를 갖도록 하고 체계적이고 통일된 실습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교수효율성을 높이도록 해야 한다. 2. 간호실무 측면 1) 임상실무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이론과 일치하는 실무수행을 함으로써 미래의 간호사인 학생들이 간호전문직 역할과 사회화를 학습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역할모델이 되어야 할 것이다. 3. 간호연구 측면 1) 임상실습교육의 개선을 위한 교수효율성 평가에 교수와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2) 임상실습교육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교수효율성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고, 더 나아가 외국의 경우와 비교연구 등을 통하여 임상 실습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linical instruction by students' ratings of teaching effectiveness in clinical nursing education.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graduating class 618 students from 24 nursing colleges in the nation. These data were collected from conducting questionaires for 34 day period from March 15 to April 17, 1996.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 statu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Instrument to Measure Effectiveness of Clinical Instructors" by Reeve(199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actual number, its percentag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 MANOVA. The 50 questions used in the questionaire were categorized into 13 components subject to factor analysis. The 13 components we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munication skills, role model, resource for students, favorable to students, encouraging to think for selves, teaching methods, evaluation, finding assignments for objectives, organization of subject matter, professional competence, knowledge of subject matter & working with agency personn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 98.35% comprised of ages between 20-23 years who were all female students. In terms of religion, 41.1% were Christans, 10.8% Catholics, 8% Buddhism & 39% Athests. Students in the 3-year program were 38.2% and 61.8% for students in Bachelor's program. 2. Statu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 1) Clinical nursing education were led by nursing professors(44.9%), a team of both nursing professor & head nurse(6.8%), instructors from specific hospital(15.1%), instuctos for a specific subject(14.6%), & head nurse(6.8%), For 3-year program students, 34.6% of the clinical nursing education were led by instructors from specific hospital & 51.4% of the education by nursing professors for Bachelor's program. 2) The longest clinical education performed lasted 11 days. & the highest number of visits led by clinical teachers during any education period was 1-2 visits of 59.7%. 3) The contents for clinical education comprised of Conference being the most frequent of 34.5%; a combination of Nursing skills, Orientation, Conference etc. 22.0%; Nursing process 21.7%; Orientation 13.5%; Inspection(making rounds) 6.4%, & Nursing skills of 2% being the least frequent. 4) 82.9% of the nursing students responded that lectures & clinical education were held independently. 5) 54.2% of nursing students felt that their clinical teachers played a role-model, the reason was based on the clinical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 clinical experience. However, the judgement was further based on how well the teachers applied their knowledge & experience. 6) Students' preference of clinical teachers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were instructors for a specific subject being the most desires(44.9%) followed by nursing professor, head nurse, a team of both nursing professor & head nurse, & instructors from specific hospital being the least desired. 7) Students felt that the qualification for clinical teachers should be at least a master's degree holder and 5 or more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The reason they felt was because knowledge & experience are imperative for professional education. 3. Clinical teaching effectiveness : The total points for teaching effectiveness was 147.97(mean of 2.95±0.98)where the total score is considered to be average rating. 4. Teaching effectiveness as statu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 1) The score ratings for the clinical instructors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were as follows ; instructors for a specific subject, instructors from specific hospitals, a team of both nursing professors & head nurses, nursing professors, head nurses, which resulted in significant difference(F=4.53, P<0.001). 2) The rating scores based on the teaching program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were as follows ; nursing skills, nursing process, a combination of nursing skills, orientation, conference etc., conferences, orientation, inspection, which resulted in significant difference(F=10.97, P<0.001). 5. Based on 13 categorized components from the questionaires, questions related to communication skills scored the highest points of 3.20 where inquiries regarding resource for students scored the lowest points of 2.38, Inquiries on role model, encouraging to think for selves, evaluation, organization of subject matter, professional competence, knowledge of subject matter & working with agency personnel were scored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avorable to students, teaching methods & finding assignments for objectives scored slightly lower than the average. 6. Among the 13 categorial components from the questionaire, Interpersonal relationship(F=3.18, P<0.05), Communication skills(F=3.88, P<0.05), Resource for students(F=5.41, P<0.001), Encouraging to thick for selves (F=2.65, P<0.05), Evaluation (F=2.74, P<0.05), Teaching method (F=4.21, P<0.01), Finding assignment for objectives(F=5.23, P<0.001), Organization of subject matter (F=3.38, P<0.01). Professional competence(F=3.37, P<0.01), & Working with agency personnel (f=5.70, p<0.001), instructors for a specific subject scored the highest points and head nurse scored the lowest, which resulted in significant difference. Favorable for students instructors for a specific subject scored highest points and nursing professor scored the lowest, which resulted in significant deference (F=5.39, P<0.001). Role model & Professional competence, instructors for a specific subject scored the highest points and head nurse scored the lowest, with minimum variation(F=1.29, P>0.05; F=1.64, P>0.05). 7. Based on 13 categorial components as a whole, the highest points scored among the 5 groups of clinical teachers was instructors for a specific subject and the lowest, by head nurse(F=1.94, P<0.001). A team of both nursing professor & head nurse attained higher score in clinical education than their independent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