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2 Download: 0

한국지역사회교육 지도자양성의 현황과 과제

Title
한국지역사회교육 지도자양성의 현황과 과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nalysis of status of community leader training programs and the task of community education in korea
Authors
김주선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교육학과
Keywords
한국지역사회교육지도자양성프로그램내용선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사회에서 지역사회의 해체현상은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화속에서 학교는 그 전통적인 역할만으로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문제해결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으며, 그 대상의 제한이나 제도의 경직성으로 말미암아 청소년을 포함한 많은 주민들에게 교육기회를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학교교육제도의 대안으로 나타난 평생교육이념은 다양한 교육체제의 출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 가운데 지역사회교육은 지역사회단위의 통합적인 교육체제로서 교육의 역할을 주민 개개인의 성장과 지역사회의 발전에 역동적으로 접근하도록 확대시킨 개념이다. 지역사회교육은 1930년대 구미를 중심으로 이미 실천적 형태로 발전되었고 우리나라에는 1950년대 경기도 교육위원회의 장학방침으로 채택되기에 이르렀다. 한편 1969년 창립된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는 민간주도로 지역사회교육 운동을 전개하는 단체로서 학교의 유휴시설을 활용하여 주민의 성장발전은 물론 지역사회의 발전과 지역공동체를 형성토록 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사회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신념있는 지역사회교육지도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한국의 경우 구미과 같이 지역사회교육의 제도적 정착이 미흡하여 학교마다 지역사회교육을 주도할 전문적 지도자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지역사회학교는 학교내 1-2명의 담당교사와 주민자원지도자들로 지역사회학교운영회를 구성하여 지역사회학교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는 이러한 비전문적 지도자들은 대장으로 지역사회교육에 대한 이념과 운영에 필요한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학교의 지역사회교육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1969년 1개의 학교로 출발한 지역사회학교의 수는 1995년 현재 전국에 1331개로 증가하였고 따라서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의 지도자교육의 횟수와 참여자 또한 증가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의 가장 주된 사업이라 할 수 있는 지도자양성프로그램의 현황을 종합분석하고 앞으로의 발전적 과제를 찾아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지도자양성프로그램 실태분석, 프로그램 담당자의 내용선정기준과 프로그램 개발과정, 운영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의 내용중 보완이 필요한 문항에 대하여 전화 및 방문면접의 방법을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치를 분석하고 개인배경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변량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1994년도 일년간 지도자교육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첫째, 한국 지역사회교육지도자 양성프로그램은 연간 전문적 지도자 449명, 학교지도자 600명, 주민자원지도자 5,874명 둥 총 7,404명을 대상으로 174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둘째, 지도자교육은 회의 및 간담회 형태의 2-3시간 교육, 세미나 및 웍샵 형태의 1일 - 2박3일의 교육이 진행되었다. 세째, 지도자교육의 내용은 전문지도자와 학교장의 경우 지역사회교육의 필요성 및 방향성에 관련된 통합적 영역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교사와 주민 자원지도자들에게는 지역사회학교운영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 역할별 교육등 전문적 영역이 강조되고 있으며 부수적으로 통합적 영역이 포함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지도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인간관계적 영역의 교육은 대체로 등안시되고 있었으며, 지도자의 통합적 기술영역에 있어서도 사회변화 및 문제와 관련된 내용이 다소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무자의 내용선정기준과 개발과정의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내용선정시 가장 주안점을 두는 것은 기관의 목표와의 일관성이었으며, 기관내 자원과 프로그램의 지도가능성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내용을 선정하고 있었다. 가장 반영되지 않는 부분은 학습자의 요구였으며 특히, 요구조사가 제대로 실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내용선정기준은 직책, 학력,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 근무지역, 프로그램 담당자수, 자격증의 유무는 내용선정기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프로그램 담당자들은 기관의 목표에 대한 이해와 헌신의지가 높은 것에 비해 교육수혜집단과의 연계가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프로그램 설계·시행·평가과정은 보통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러한 제 과정에 대한 지식과 기능이 제대로 숙지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째, 배경변인에 따른 개발과정은 경력에 따라 조직에 대한 이해와 헌신 정도가 높으며 프로그램 담당자로서 기능숙지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책에 따라서는 기획과정, 설계 및 시행과정, 평가 및 보고과정 둥 전과정에서 실무책임자 및 임원집단과 간사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근무지역과 프로그램 담당자수는 개발과정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에 따른 개발과정은 학력에 따라 프로그램 담당자의 지식과 기능 숙지정도가 높으며 조직갱신에의 이해와 헌신과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에 따라서는 교육학 전공자가 프로그램 담당자로서 기능숙지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행·평가 과정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자격증 유무에 따라서는 자격증이 업는 집단이 오히려 교육수혜집단과 연계를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모든 과정에서도 약간씩 높은 평가가 나왔다. 지도자교육 프로그램의 운명과정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한 곁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지도자양성프로그램 운영의 문제로는 교육대상자 확보의 어려움, 부적절한 장소 및 교육시간의 부족 등 교육여건의 문제, 유능한 강사의 부족, 다양하지 못한 프로그램 내용과 체제가 지적되었다. 이를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전략을 갖춘 충분한 홍보, 둘째, 교육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장소의 선택과 준비, 세째, 강의 방법의 메뉴얼화, 네째, 단계적 심화과정을 통한 내부 강사의 배출, 다섯째, 타기관과의 강사풀제 공동 운영, 여섯째, 실무자의 분야별 전문화, 일곱째, 지도자교육의 장기계획수립, 여덟째, 교육목표별·대상별·지역특성별·학습자의 수준별 프로그램의 다양화, 아홉째, 학습자와 지역사회의 욕구의 반영, 열째, 단계적 전문적 프로그램의 마련, 열한째, 공인될 수 있는 자격증 및 수료증의 제도화 등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사회교육지도자 양성프로그램의 질적인 발전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하여 지도자교육의 장기발전계획을 수립 할 전문교육기획팀이 구성되어야 할 것을 제안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esent status of community leader training programs and to recommend the future task of community education in Korea.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examined all leader training program operated by KACE (Korea association for community education) during 1994, and surveyed how program contents were determined and how the development process were set up. The problems on the operation level of the programs and the ways to improve them were also survey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The overall result of the survey was analysed using SPSS program. The survey found that there were 174 leader training programs conducted to the total of 7,404 individuals including 449 staffs and program direcror, 600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and 5,874 volunteer leaders. The types of trainning were mainly 2-3 hour long discussions, or a day or longer seminars and workshops. In the case of school administrators, the contents of trainning programs were mostly on necessity and direction of community education and for teachers and volunteer leaders practical skills on operating community school were emphasized. The finding on planning process of program developers of KACE are as follows. First, a consistency to the objective of the institution carried most weight and program contents were determined by the available resources of the institution and individual capabilities of lecturers. The learner's needs were mosty neglected. Seco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s were determined by the program director's position in organization, education level or professional skills but their experiences, working district or possession of certificates were not reflected. Third, although most of the program developers had good understanding of and highly devoted to the institution's objective, they had little knowledge and skills on program development. Fourth, the study found that the understanding and devotion to the organization in the program development increased with experience of program developer,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ogram developer's position within an organization in program development. Major findings from the interviews on problems on operation of leader training programs and on its improvements are as follows. The first difficulty in operating leader training program was recruiting learners, and also indicated were lack of facility, lack of capable lecturers and lack of program diversity. To solve these problems, the study recommends the following tasks stratigical program promotion, securing of proper education facilities, creation of education manuals, training of lectures within organization, operation of lecture-pool between organizations, specializing of program development, establishment of master plan for leadership program, diversification of programs, reflecting of needs of learners and the community, institutionalization of officially recognizable certificates and diplom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