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3 Download: 0

초등학교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연구

Title
초등학교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연구
Other Titles
(An) Analytical Study on School-Based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Authors
손숙정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Keywords
초등학교교육과정운영 실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ut out solutions and directions for renovation of school by school based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ased on sixth Korean national-level curriculum directives. The solutions and directions suggested are based on researches of actual conditions of the primary schools. Descriptive account of the questions that this research deals with are the following: 1) In organizing and operating school curriculum, how supportive are a city and province government of each school? 2) What is a special characteristic of official proposals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ased on school by school basis? 3)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f organizing and operating school by school ba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 method of this research was recorded document analysis and conduction of surveys. The recorded documents used in this research are Seoul city's "Directives for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put together by Seoul Board of education and actual "School Curriculum" put together by the 9 elementary school in western region of the Seoul city. The conducted survey targeted 144 teachers who are directly or indirectly carrying out the education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100 of these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as data for this research.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Seoul city's Board of Education has developed, put together and distributed "Directives for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doing so, the city have designated experimental schools and helped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directives that it has set out. The city has also made available to all the schools in its district the records of the process and results of its directives in these designated schools. The city is also carrying out training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parately by subjects. However, "Directives for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other directive materials that Seoul city provide to all the schools in its district do not reflect upon the district's: special characteristics, actual conditions o j the educations system, and students', teachers' and citizens' necessities and requests. Even in the training the teachers, the part of dealing with the special condition of each out, school is left out .or done perfunctorily. Second, in analyzing the actual curriculums that each schools put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se schools have not developed education curriculum fitting to their needs but are copying the central government's curriculum. This result comes from the fact that teachers who are directly involved with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curriculum did not fully comprehend the basis of, rights guaranteed by, responsibilities that come with and discretion they should exercise in dealing with school by school based curriculum. Third, although most of the teachers see the importance in renovating the organizing part of their curriculum, they are not directly involved with organizing process of the curriculum. The actual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is done by few high position holding teachers without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the teachers, students, parents and regional directors. Therefore the organizing the school curriculum follows the old process of education system with minor corrections. In the operating part of the curriculum, opinions of the private and public school teachers show much difference. Private school teachers responded that their education board directed school system is efficient, while public teachers' responses split in half between efficiency and inefficiency with many answering that they are not sure if the board directed school operation is efficient or not. In response to efficiency of the school system operation or changes brought in by the organizing education curriculum was also spit in half. This split clearly shows that organized education curriculum is not fully operational in the actual educating scene. The problem of the organizing and operating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school is with the teachers who are not experienced and educated enough of the city's school by school curriculum directives.;본 연구는 제6차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단위학교별로 편성·운영하도록 되어 있는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문제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데 있어서 시·도의 지원은 어떠한가? 2)단위학교별로 편성한 문서상의 학교 교육과정의 실태는 어떠한가? 3)단위학교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방법으로는 문헌분석과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는 서울특별시 교육청에서 제작한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과 이를 바탕으로 서울특별시 서부 교육지구내에 위치한 9개 초등학교에서 편성·운영하고 있는 '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이러한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데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교사 14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고 회수된 100명의 응답내용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특별시 교육청에서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해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개발·보급했다. 뿐만 아니라 연구 ' 실험학교를 지정·운영하여, 그 결과를 단위학교에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과별 연수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특별시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비롯하여 서울특별시 교육청에서 제작, 보급하고 있는 여러 자료들은 서울지역의 특수성, 교육의 실태, 학생·교원·주민의 요구와 필요 등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는 않으며, 연수과정에서도 단위학교들이 실제적으로 무엇을 해야하는가에 대한 교육이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에 근거하여 단위학교별로 제작한 학교 교육과정을 그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단위학교에서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학교의 실정에 적합한 교육과정으로 재개발하였다기 보다는 여전히 중앙에서 내려진 교육과정을 그대로 모방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개혁의 최전선에 위치하고 있는 교사들이 학교 교육과정 편성의 근본 취지와 권리, 의무, 재량권 등의 문제를 잘 파악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셋째, 학교 교육과정 편성실태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교사들은 학교 교육과정 편성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으나 교육과정 편성 과정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지 않다. 실제로 학교 교육과정 편성은 교사·학생·학부모 및 지역인사로 구성된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위원회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주로 몇몇 간부교사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은 형식적으로만 참여하거나 거의 참여하지 않고 있었다. 학교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활동 유형은 기존의 교육과정을 수정·보완 하는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학교 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해서는 공립학교 교사와 사립학교 교사의 생각에서 많은 차이가 있었다. 사립학교의 경우에는 비교적 효율적으로 운영 된다고 응답하고 있는데 비해, 공립학교에서는 학교 교육과정 운영이 비교적 효율적으로 운영된다고 응답한 교사와 비효율적으로 운영된다고 응답한 교사의 비율이 비슷하였으며, 모르겠다고 대답한 경우도 많았다. 이러한 경향은 학교 교육과정의 운영이 가져온 변화를 묻는 질문에서도 나타났다. 공립학교에서는 학교 교육과정 운영이 학습지도 및 학교운영에 있어서 효과가 크다는 대답과 별효과가 없다는 대답이 거의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렇듯 한 질문내에서 서로 상반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은 학교 교육과정이 아직 교육현장에 완전히 정착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에 있어서의 문제점으로는 대다수의 교사들이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및 경험의 부족을 꼽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