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43 Download: 0

만성정신질환자를 위한 사례관리(Case management)연구

Title
만성정신질환자를 위한 사례관리(Case management)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ase management for the shronic mental illness
Authors
배민진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만성정신질환자사례사회복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recent days, the fields of mental health moving it's trends from the symptom control by hospitalization and medication to the rehabilitation make patients adapted to the community and qualified their life. In the western society, since 1950's deinstitutionalization movement has been already spread out by the rapid development of antipsychotic drug. And also of the mental health part, while mental illness who has suffered by antifunction of deinstitutionalization so they couldn't adapt in a community Case management meets the demand of mental illness who are in difficulities of socialization due functional on mentality by the strenghtening their potential ability and the resouce linkage of the community. And it contributes mental illness to the return to the commnunity. But in Korea they take care mental illness in the hospitality and institutionalization. A few of them are took in the day hospital and resocialization. In the present study, the basic direction of case management are pursuited to make the illness returned to the community by the analyses of the case management mode1. And we would select literature study to satisfy this objective. In this study the following models are reserched as case management models for the community return of the chronic mental illness, 1) Strengthening social network model. 2) Model of the Kansas Unit & Bert Nash mental health center. 3) Yang's resocialization model. And as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obtained that the case management for the chronic mental illness is practiced in the integration of the continruty, comprehensiveness, coordination, individualization and responsibility of the service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 and client. In addition, the role of the case manager is emphasized by distinction of their detailed aim. But in the case management models for the chronic mental illness, it can be found common role of case manager that they develop the resource systems on the base of relationship with chronic mental illness. The activities related the linkage of the service contribute to the community- return of mental illness. The social worker as case manager should be reminded the validity of practice of community. Particulary, in the situation of the defect of service facilities and resource systems like the case of Korea, they must intervene into the social network The effort of social worker to the resource development can be help the solving of thier problems in real life and also will effect on the return of them to the community.;오늘날 정신의학의 동향은 단순한 입원 및 약물치료에 의한 증상 조절의 차원에서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정신질환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적응하고 삶의 질적인 수준을 유지하면서 생활할 수 있도록 재활치료중심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미 서구에서는 1950년대 이후 항정신성 약물의 급속한 발달로 탈시설화 운동이 전개되었고 정신건강분야에서는 탈시설화의 역기능으로 퇴원한 정신질환자들이 지역 사회에서 적응하지 못하고 재발과 재입원의 반복을 거듭하는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을 꾸준히 해오는 동안 서비스 전달체계의 서비스의 단편성, 분산성, 비접근성, 중복의 문제를 해결하고 복합적인 서비스 욕구를 지닌 만성정신질환자에게 효과적인 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한 실천양식으로서 사례관리 (Case Management)를 발전시켜왔다. 정신적인 질병으로 인한 기능적 손상으로 사회적응의 어려움을 지닌 정신질환자들의 잠재력을 강화시키면서 그들이 속한 지역사회의 자원을 최대한 동원하고 조정, 연계를 통해 정신질환자의 지지적인 서비스 욕구를 충족시키는 사례 관리는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 제공을 보장하면서 만성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에 기여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정신질환자들을 입원 치료와 수용 위주로 대처하고 있으며 최근 사후관리서비스 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낮병원 프로그램 및 재사회화 프로그램들도 극소수에 지나지 않으며 아직 초기 단계로서 지역사회 차원의 개입보다는 집단활동 위주의 프로그램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역사회정신보건센타와 같은 재활 치료를 위한 시설 및 여건이 마련되지 않고 서비스 전문 인력, 재원 등의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현 상황에서는 기존의 정신의료서비스 기관이나 시설들과 실무자들이 의료모델 위주의 치료접근에서 벗어나 만성정신질환자 개인에 대한 이해와 함께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들을 마련해 나가고 지역사회의 자원체계를 파악하고 이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조정하고 통합시켜 정신질환자가 자원체계의 지지속에서 생활하도록 돕는 사례관리 서비스의 적극 활용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복귀를 달성하기 위한 사례관리 모델들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복귀를 달성하기 위한 사례관리의 기본방향을 모색하고 사례관리자로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서 문헌연구 방법으로써 사례관리의 이론을 통해서 다양한 사례관리의 개념을 통합적으로 정의하고 사례관리의 서비스 대상자, 모델, 핵심요소, 사례관리자의 역할 및 기술과 사례관리 실천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분석틀을 마련하고 정신질환자를 위한 사례관리 모델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정신질환자의 사회복귀에 기여하는 사례관리의 기본방향과 사례관리자로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만성정신질환자의 사회복귀를 도모하는 사례관리모델들로써 사회적 지지망 강화를 위한 모델과 통합적 접근의 캔사스대학의 공동연구모델, 사례관리과정 중심의 양옥겨의 사회복귀시설모델을 선정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만성정신질환자를 위한 사례관리 모델은 서비스대상과 목적에 따라 서비스 지속성, 포괄성, 연계성, 개별성, 책임성이라는 사례관리의 핵심요소가 사례관리자에 의해 상호연관이 되면서 실천에 옮겨지고 있으며 사례관리자의 역할은 모델의 구체적인 목표들에 의해 특징적인 차이를 보임으로써 사례관리에 있어서는 사례관리자의 역할이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그러나 만성정신질환자를 위한 사례관리 모델에서 사례관리자는 서비스 과정을 통해 만성정신질환자와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지역사회와의 관계에 역점을 두고 지역사회실무의 지식과 기술을 갖추어 가족을 포함하여 다양한 자원체계를 개발하고 동원하며, 조정, 통합하는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수행하는 면을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사례관리의 서비스 연계성과 관련된 활동으로서 만성정신질환자를 지역사회복귀로 복귀시키는 중추적인 역할임을 알 수 있었다. 사례관리자로서 사회복지사는 정신질환자의 치료에 초점을 둔 의료적 모델에 기초하여 환자의 증상과 행동관리를 위한 상담 및 집단치료 위주의 서비스에서 좀더 지역 사회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사회실무의 중요성을 인식하여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만성정신질환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고정관념이 강하고 정신질환자에 대한 공식적 서비스 기관과 자원체계가 부족한 서비스 상황에서는 사회적 자원체계에 대한 이해와 이에 대한 개입의 중요성을 깨닫고 지역사회실무에서 요구되는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 사례관리자로서 만성정신질환자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이들의 현실적인 문제해결을 돕기 위해 자원에 대한 이해와 개발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노력은 만성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복귀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