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무용에 나타난 성 정체성(Sexual-Identity)에 관한 연구

Title
무용에 나타난 성 정체성(Sexual-Identity)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exual-Identity in the Dance : ficused on the works of Mark Morris
Authors
이지원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무용성 정체성Sexual-Identity마크 모리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Since the beginning of mankind, the human "gender" dichotomized into 'male' and 'female' and thereby has become fixed concept as they are today. Therefore, this fixed view on gender deeply rooted in our lives has limited our behavioral patterns and has enslaved 'self' to a certain biased conceptual frame. The male and female genders distinguished by biological characterristics is a relative and bipolar definition formed by socialization. Furthermore, in a traditional and male-oriented society, men as dominating and superior beings suppress women and marginalize them in inequality. This biased view produces the fixed view of men as active and strong, and that of women as passive and weak as dictated by the tradition. This common view of male and female is directly reflected in the fie]d of dance. when we characterize dance as a projection of interior world of human beings through aesthetic interpretation of body movements, any dance movement tends to contribute to this confrontational and conflicting image of male and female in its illusory embodiment. Therefore, a female image is portrayed as light, circular, subtle, and fragile like a water drop, while male image is portrayed as direct, strong, and tough, always overpowering the female world. It is also the case in topics and story lines of given dance pieces, as they communicate the society-imposed value system in their presentations. The "androgynous" interpretation, however, claims that any person, regardless of his/her gender, can choose to become either masculine or feminine freely adopting characteristics of both sexes. This view has developed into the mode of unisex blurring the division of genders, and choreographers influenced by this view have attempted to formulate dance movements transcending traditional gender dichotomy. This movement under the theme of the liberation of genders was launched by a group of feminists. Homosexuals, too, have broken the silence and have claimed their aesthetic, emotional, and erotic expressions to be recognized as normal behavioral pattern. By these attempts, they aim to experiment the social conceptualization and bodily limitation, to re-define views on genders, and to realize the commonality as gender-transcending human beings. This thesis has examined these innovative attempts and experiments in the modern dance field by analyzing individual dancers, choreographers, and their works. Especially, this thesis will focus on the works of Mark Morris, a modern dancer and choreographer with a unique sensibility and daring choreographing principles, whose transsexual endeavors and transcendent works will help to understand the works of homosexual artists whose significant contributions in the dance field have been hidden and underestimated until recently. His movements and themes not only expand the limited scope of gender concept but also cry out for the freedom and openness both in art and reality. Even in the midst of the stream of rapid social change, the tendency to dichotomize and perpetuate male and female genders still dominates. However, as the true and authentic artistry cannot be bounded by a rigid expressions and principles, this analysis will be gladly given as a small foundation to introduce a new direction in the field of modern dance.;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성은 여성과 남성이라는 양분된 성격으로 나뉘어지고 자연스럽게 고정관념화되었다. 이에 따라 고정된 성 관념은 우리의 삶에 뿌리박혀 행동을 제한하고 자아를 관념적인 틀 속으로 옭아매어 왔다. 생물학적 특성으로 구분되는 남성과 여성은 상대적이고 양극적인 개념으로 사회화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더우기 가부장적 사회에서는 남성이 지배적이고 우월적인 존재로서 여성을 탄압하고 불평등한 위치로 전락시킨다. 이러한 인식은 행동특성에서 바라볼 때 적극적이고 강한 남성과 수동적이고 약한 여성으로 보여지고, 전통이라는 틀 속에서 자연스럽게 고정 관념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성을 한정짓는 기본적인 인식은 무용에 있어서도 그대로 반영된다. 무용이 신체 움직임을 통해 내재된 세계를 표출하는 것이라 할 때, 무용의 환상적 이미지 속에 남녀는 대립적이고 상반적인 이미지를 구축한다. 그리하여 동작에 있어서 여성은 가벼운 물방울 같은 표현으로 곡선적이고 섬세하게, 반면 남성은 직선적이고 탄력적으로 모사된다. 그밖에 소재나 이야기에 있어서도 사회 속에 고정된 가치관이 그대로 반영되어 무대위에서 전시 된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 양성적인 (Androgyny)시각이 새롭게 대두되어 타고난 성별에 관계없이 누구나 여성적이고 남성적인 두 가지 특성을 공유할 수 있다는 시각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남녀 구분이 모호한 유니섹스 모드로 발전되고 안무가들에 의해 동등한 가치를 부여받아 성의 구분없는 움직임을 시도하게 되었다. 성해방이라는 주제 하에서 이러한 움직임은 먼저 여권주의자들에 의해 시작되었고 이와 더불어 동성애자들도 종래의 병적 침묵을 깨고 감정적이고 에로틱한 미적 감각을 통해 자신들의 표현이 정상적인 형태의 하나임을 인정받고자 한다. 그들은 이런 움직임으로 동작과 주제 속에 사회적 인식과 육체의 한계성을 실험하고 성에 대한 견해를 재인식하며 인간으로서의 동질성을 구현하고자 표현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무용계에 나타나는 이러한 변혁과 시도들을 무용수와 무용작품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또한 지금까지 무용계에서 두드러진 움직임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드러내서 나타내지 못했던 동성애자들의 활동을 고찰하고, 현대무용가로서 독특한 감수성과 대담한 안무적 특성을 겸비한 마크 모리스의 성전환적인 시도와 규칙에 얽매이지 않는 작품성향을 살펴 본다. 그의 동작과 주제는 고정적인 성개념의 범위를 확대할 뿐만 아니라 개방성을 찾고자 하는 자유의 부르짖음이라 할 수 있으므로 그의 작품을 통해 시대적인 흐름과 새로운 작업의 가치를 단면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급변하는 사회의 흐름 속에도 변함없이 남성과 여성을 양립적으로 두려는 경향이 두드러지지만, 진정한 예술성은 이러한 고정된 형태에서 보장될 수 없는 것으로 본 연구는 앞으로의 무용계의 향방을 새롭게 제시하는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