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9 Download: 0

동작 반응의 차원 불확실성이 반응프로그래밍 시간에 미치는 영향

Title
동작 반응의 차원 불확실성이 반응프로그래밍 시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Informational Uncertainty of Response Production Condition on the Duration of Response Progamming Time
Authors
이효경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과
Keywords
동작 반응차원불확실성반응프로그래밍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인간 동작의 생성을 정보처리의 결과로 봄으로서, 인간이 동작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과정의 정보처리가 요구되며 정보처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를 알아보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생성할 동작반응에 대한 선택(결정)에 관련되는 반응요인의 차원불확실성이 동작 반응프로그래밍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1. 생성할 동작반응의 불확실한 차원 수가 많아질수록 반응프로그래밍 시간은 증가한다. 2. 생성할 동작반응의 불확실한 차원 종류에 따라 반응프로그래밍 시간에 차이가 있다. 가설 검증을 위해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사전단서 제공기법을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전단서 제공기법은 본 신호를 받기 이전에 피험자에게 차원 일부를 미리 제시해 줌으로써 제시 받지 않은 불확실한 차원만을 정보처리과정에서 반응프로그래밍 하는 것이다. 전체 300회의 시행이 각 조건에 따라 무선적으로 실시되었으며, 이에 대한 반응시간과 동작시간은 1/1000 초 단위로 디지탈 타이머와 컴퓨터에 기록되어졌다. 기록된 데이타는 불확실한 차원 수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하여 모든 차원을 사전단서로 제공받은 조건, 한 개의 차원을 사전단서로 제공 받은 조건, 그리고 차원을 사전단서로 제공 받지 않은 조건에서 측정된 반응시간과 동작시간의 평균을 구하여 각 반응판별 세 그룹으로 재구성, 통계처리 하였다. 또한 불확실한 차원의 종류에 따른 반응시간의 차이와 동작시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데이타를 차원별로 나누어 통계처리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한 차원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시간이 증가하며, 불확실한 차원 수와 반응시간은 선형 관계를 이루고 있다. 둘째, 불확실한 차원 종류에 따라 반응시간에 차이가 있으며, 동작 범위보다는 동작 방향을 구체화 하는데 더 많은 반응프로그래밍 시간이 소요된다. 세째, 차원의 불확실성이 동작시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생성할 동작반응의 불확실한 차원 수와 종류는 선택 가지 수가 고정된 상황에서 반응프로그래밍 시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규명할 수 있다.;The postulation that response programming may be influenced by the relative degree of uncertainty of response production condition, was experimentally tested in an experiment in which 20 volunteer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required to select and execute a target hitting response in a 2 choice-reaction time condition. Subjects were given a total of 300 trials with 6 different response conditions differing in the number and kinds of uncertain response dimension in a within-subject design. Analyses of data revealed that 1) response programming time inferred from RT increased directly with the number of uncertain response dimensions, 2) response programming time differed with the kinds of uncertain response dimension, i.e, reaction time for response extent uncertain condition was consistently shorter s compared to reaction time for response direction uncertain condition; and 3) these response programming time effects due to the numbers and kinds of uncertain response dimension were consistently evidenced across different response conditions with MTs remaining relatively similar. All these results, in total, suggested a conclusion that the informational uncertainty inherent in the production of a given response may be a determinant of the duration of response programming ti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