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5 Download: 0

중,노년기 부부의 사랑과 자녀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과의 관계

Title
중,노년기 부부의 사랑과 자녀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과의 관계
Other Titles
Middle and old aged the relationship between love of married couple and attachment and autonomy for children
Authors
김활란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Keywords
노년기부부사랑자녀애착자율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 노년층의 전반적인 가족생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부부간의 사랑과 부모의 자녀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에 거주하며, 동거여부와는 상관없이 한 명 이상의 자녀를 둔 50대, 60대의 남녀로, 분석에 사용된 표본수는 167명이었다. 자료는 직접 방문하여 개별적으로 면접하면서 설문지를 배부한 후 회수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분석, 카이자승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부부간의 사랑 유형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은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미혼자녀의 유무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미혼자녀가 없는 경우일수록 친밀감, 열정, 헌신이 모두 다 높은 성숙한 유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부모의 자녀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 유형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은 성별, 교육수준, 소득수준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일수록,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자녀에 대한 애착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부부의 사랑과 자녀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과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자녀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의 관계는 부부관계가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부모자녀간에 만족스럽고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부부관계가 우선적으로 긍정적인 관계로 형성되어야만 하고, 이것이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부부간의 사랑정도가 비교적 좋은 성숙한 유형과 친밀감이 높은 유형도 자녀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 유형에 있어서는, 애착은 높고 자율성은 낮은 불안정 애착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애착 및 자율성의 정도가 모두 높은 균형된 유형은 적게 나타났다. 이렇게 전반적으로 애착 및 자율성정도가 균형된 유형이 적은 이유는 우리나라 중, 노년층의 경우 자녀와의 관계에 있어 자율성보다는 애정만을 중요시 여기는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과 같은 문화적 배경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볼 때, 우리나라 중, 노년층의 경우 부부간의 사랑 유형에 따라서 부모의 자녀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 유형도 크게 변화되고 있으므로, 부모는 자신의 결혼관계를 긍정적으로 이끌어, 자녀와의 관계도 만족스럽고 행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될 것으로 보인다. 즉 복잡한 현대 사회에서 가정은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므로, 가정에서 가장 근본적인 관계인 부부관계가 원만하게 형성이 되어 있어야만 부모자녀관계 또한 원만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ove of married couple and attachment and autonomy of parents for children, in order to find general family-life of middle and old aged.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men and women who live in Seoul and have more children than one -have no connection lodging- and aged 50,60. Respondents 167 were finaly selected as data sources. The data was collected in the way of personal interview and guestionaries. The data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 such as frequency percentil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Chi -square te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atterns of love of married couple and social-demographic ralues of age, education, income and absence of not married children. 2.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atterns of attachment and autonomy of parents for children and social-demographic values of sex, education, income. 3. Patterns of love of married couple had significant affect to patterns of attachment and autonomy for children. Most of matured type which is love of married couple are comparably well is high attachment and low autonomy. Balanced type which is high attachment and autonomy is litt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