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1 Download: 0

사회교육기관에서의 무용의 역할에 관한 조사연구

Title
사회교육기관에서의 무용의 역할에 관한 조사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Role of Dance in the Socioeducational Institutions
Authors
손미정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사회교육기관무용역할Dance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사회교육으로서의 무용의 필요성과 무용의 여성사회교육적 역할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여성사회교육기관에서의 무용교육 실태와 문제점, 만족도 및 요구사항, 그리고 무용의 역할에 대한 주부들의 인식도 차이를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 봄으로써 실제 조사에서 나타난 무용의 역할을 파악, 궁극적으로 여성사회교육적 요구에 부응하는 무용 정립의 발판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점차로 늘어나는 성인중기(30∼50대)의 여성에게 사회교육으로서 무용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서울 시내에 소재한 여성사회교육기관 중 무용강좌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6개 기관에서 현재 무용을 수강하고 있는 주부 25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개인적 배경특성, 수강실태, 수강내용, 수강동기, 수강만족도 등에 따른 무용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무용의 역할에 대한 주부들의 인식도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로 연령, 교육수준, 생활정도의 개인적 배경 특성에 따라 주부들의 무용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로 수강 방법에 있어서 개별지도를 하고 있다는 집단이 가장 인식도가 높게 나타나 다른 집단과 차이를 보였다. 세째로 수강 내용이 다른 집단간에도 무용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네째로 수강동기가 무용에 특별한 관심이 있기 때문이라는 주부들이 그 중 가장 높은 인식도를 나타내면서 다른 집단과 차이를 보였으며 수강계기에 따라서도 무용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차이를 나타냈다. 다섯째로 수강 내용, 시설, 무용을 선택한 결과에 대한 만족도와 무용의 역할에 대한 인식도 간에 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다. 이와 같이, 인식에 있어서 집단간에 차이를 나타냈지만 전체적으로 무용은 여성사회교육기관에서 여가선용의 역할, 공동체의식 형성의 역할, 예술로서의 역할, 신체 활동으로서의 역할, 자기표현 방법으로서의 역할, 문화 이해를 돕는 역할 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제 주부들은 무용의 역할에 대해 76.6%에서 99.2%까지로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그러나 조사과정에서, 무용 수강에 있어서의 많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여성사회교육적 요구에 부응하는 무용의 점진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무용수업이 발표회의 무대까지 이어질 수 있다면, 또 수업 내용의 일환으로써 창작작업이 보충되어 진다면 주부들의 삶에 자신감과 활력을 불러 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좀 더 많은 시간과 다양하고 변화있는 내용을 지향하고, 공연감상의 기회 제공과 함께, 춤에 대한 정보 내지는 배경의 설명 등을 동반하는 수업이 된다면 주부들의 정신적, 문화적 풍요로움에 더욱 보탬이 될 것이라고 여겨 진다.;The principal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analyze the necessity for dance education for housewives and the socioeducational role of dance; second, to examin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dance education on the basis of a survey through questionnaire; and ultimately, to suggest adequate dance education to improve women's social life To examine the educational role of dance for women, 252 housewives in the age-group 30-50 were asked; the subjects for the investigation were now enrolling in dance classes provided by six public institutions in Seoul. The survey's main finding is that housewives have a wide range of opinions about the socioeducational role of dance according to adequacy of contents of dance programs and instructing methods, a subject's background, and her motivation. Nevertheless, the survey reveals that dance education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ndering participants a sense of sharing, easier access to leisure activities and self-expression, and artistic and cultural understanding. Yet the research also shows that present dance programs should be improved. Here, I suggest some remedies to revitalize today's dance education and establish new socioeducational roles of dance for women. First, the dance class should be extended to the stage so that participants would have more confidence in themselves. Their stage performance would not only give themselves a sense of accomplishment but work as a great encouragement to other housewives viewers. Second, dance programs should stress creativity and autonomy to encourage participants to apply such aspects of the performing art to re-creation of their everyday lives. Third, to publicize the socioeducational role of dance, each Institution should open moro dance classes and develop specifically planned programs. Fourth, dance programs should emphasize not only artistic techniques but interaction between an instructor and each participant. The person-to-person contact in the class would increase a participant's enthusiasm for learning dancing and her general interest in dance. Every public institution should therefore give careful consideration to selecting an instructor to meet participants' demand for varieties of dance programs. Fifth, since human desire for beauty can be fulfilled not only by participation in artistic performance but by appreciation of it, the performers should b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become part of an audience. Simply watching a performance would enhace the quailty of a viewer's life. Finally, instructors should provide their students with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origins of different kinds of dance whose techniques they are teaching, rhythms and tunes used for a dance, and its artistic beauty. The participant's knowledge of dance would greatly contribute to her spiritual and cultural enrich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