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7 Download: 0

조선후기 탈춤의 문화사적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조선후기 탈춤의 문화사적 특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ultural-historic characteristic Latter term of Chosun Dynasty Mask-dance play
Authors
殷慧珍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조선후기탈춤문화사양주별산대놀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조선후기 탈춤의 전반적인 성격에 대해 논의하고, 탈춤에 나타난 춤의 특성을 고찰하는 것을 중점으로 하여 조선후기에 왕성한 문화사적 생명을 누렸던 사설시조, 후기가사 및 판소리에 이어 조선후기 탈춤이 조선후기 문화사적 특성을 대표할 수 있음을 규명하려는 것이다. 본문 2장에서는 가장 먼저 조선후기에 나타난 사회적, 경제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조선후기 탈춤에 대한 연구라 한다면, 우선 탈춤발달을 가능케 하였던 사회체제 내의 구조적 변화가 문제시 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제도적 변화에 대한 이해 뿐아니라 제도적 변화를 가능케 하였던 보다 근본적인 내부에서저의 변동문제와 유기적 연결관계를 파악하는 작업을 수반해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다뤄져야 할 부분이라 생각한다. 다음 조선후기 탈춤의 문화사적 특성에 대해 논하기 전에 조선후기 이후 발생한 예술들의 문화적 특성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는 조선후기 이후 발생한 탈춤이 조선후기라는 동시대의 다른 예술들과 어떠한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기위해 살펴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 조선후기 탈춤의 특성을 조선후기 향촌사회의 사회적 특성과 관련시켜 탈춤의 주재집단 및 연회집단의 존재형태에 대해 살펴 보았다. 조선후기 대부분의 탈춤들은 읍치(邑治)를 중심으로 발전, 전승되어져 왔다. 그러므로, 향촌사회의 전환기적 특성과 이에 따른 그들의 - 탈춤의 주재집단 및 연희집단 - 사회적 역할변화를 추적함으로써 탈춤 연행의 사회적 배경을 밝히려는 것이다. 여기저 필자는 탈춤의 발전이 읍치를 중심으로 성립, 정착하게된 새로운 변화에 주목하여 조선후기 탈춤의 역사적 의의를 새롭게 부과하려는 의도에서 논의되어져 온 이훈상의 저서 '조선후기의 향리집단과 탈춤의 연행 '을 참조했다. 3장에서 필자는 조선후기 탈춤 중 '양주별산대놀이'를 기본자료로 선택한 타당성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것은 조선후기 탈춤을 논할 때 그 대상이 주로 읍치를 중심으로 발전한 탈춤들에 출정을 두어, 이에 해당되는 각 지역 탈춤들을 양주별산대놀이와 비교하면서 양주별산대놀이가 조선후기 탈춤 중 가장 발전된 한계의 탈춤으로써 당시 문화사적 특성을 대표할 수 있다는 점을 살리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양주별산대놀이의 형성과 조선후기의 사회적 특성과 관련하여 양주별산대에 나타나는 사회적, 경제적 특성을 살펴본다. 그러므로써, 당시 조선후기 탈춤의 사회적 환경을 유추해 보고, 이와 관련하여 역사적 상황을 몸으로 체득한 향리집단과 민중들이 탈춤공연에 실제로 어떻게 관여했으며, 그로인해 탈춤에 어떤 변화, 발전이 일어났는지 살펴 보도록 한다. 다음으로, 양주별산대놀이의 텍스트를 면밀히 분석한다. 우선 인물간의 대립이 어떻게 설정되는가를 파악하고, 갈등구조에 담긴 의미를 해석한 다음, 각 과장의 기본 주제를 추출함으로써 이 시기 연행자와 관객들의 의식세계를 탐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이는 그동안 조선후기 탈춤의 텍스트 분석 연구에서 보여지는 과장된 해석 부분을 바로 잡고자 하는 의도에서 연구되어 진 것이다. 마지막으로, 양주별산대놀이의 춤은 우아하고 섬세한 중부지방의 무용적 성격을 전형적으로 계승하고 있을 뿐 아니라, 딴 지방의 춤에 비해 춤사위의 종류가 다양하게 분화되어 있으며, 형식미를 갖추고 있다. 그러므로 조선후기 이후 발전한 탈춤들을 대표할 수 있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춤을 분석, 연구함으로써 조선후기 탈춤의 춤의 특성'을 유추해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선후기 당시의 우리 민족의 '생활의 정서'와 그들의 발랄한 미의식 '까지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에서는 조선후기 읍을 중심으로 이뤄진 탈춤의 발전을 향리집단과 민중들의 존재형태 및 그들의 의식세계와 관련하여 조선후기 탈춤의 전반적인 성격을 살펴본다. 더불어 양주별산대놀이의 춤의 특성을 분석, 연구해 봄으로써 조선후기 탈춤의 춤의 특성을 정의해 본다. 위와같은 사실을 근거로 하여 조선후기 탈춤의 문화사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The aim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ask dance in the second helf of chosun dynasty, Also the intention is to varify that this particular mode of dance expression represent the unique feature of the cultural history of the time when cultural was highly bloomed and enjoyed its prosperity together with the wake of narrative verse, latter gasa and pansori. Chapter 2, searches social and economical background and its particularity of the era. To discuss the mask dance in this period, we should raise questions about the systematic transformations of social institutions which I believe did the major service to its progress and prosperity. About task should not be neglected not only to understand the systematic changes, but also to relate the basic inner circle which made it possible to trasform the system. I tried to relate thes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with social social characteristics of time to look at sponsor and player. Most of the mask dances in the second helf of chosun dyasty were develop and initated within the boundry of the 'town' district. What I tried to trace is the transformational character of rural districts and their alteration of role play In this manner, T expect to reveal the social background of its settlement and advancement. Lee hoon-sang's thesis is used as reference material where he tries to give new historical implications to the aspect that the center of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the dance was the 'town' district. Then I prepared the evidence to prove the validly of selecting 'Yang-ju Byulsan-De' as my basic material. when to discuss the latter half of chosun dynasty's mask dance, the usual subject to be focused gets to be the one developed in the 'town' district. By comparison 'Yang-ju' with other district's mask dances, I can emphasize 'Yang-ju' as the most advanced mask through cultural history. Chaper 3, writer puts effort to characterize the social distinction through generalization of 'Yang-ju', Based upon this overall the generalization of the character, we can imagine the social surrounding of the mask dance in the second half of chosun dynasty. Also study how the provincial ruling class, who they supposedly have some sence to conprehend historical situations, and the peasants participated in the performance, and the result how they influenced and developed the mask dance vice versa. Next step, anlized Yang-ju text very carefully. First, tern how they create the conflicts between characters, interprete the meanings and messages of the conflicts, and then, bring out the basic themes convinced that this study can be of good guideline to understand the mentality of both group performance and audiences, I also intend to correct the exaggerated interpretation of the latter half of chosun dyasty mask dance text. 'Yang-ju's dance inherits the typical charecters of central district area's dance movement which is known for graceful and exquisite quality. Compare to other district's dance, this particular mode contains the taste of dslicacy and formalistic beaty. Therfore, 'Yang-ju' which represent above all other sorts of mask dance ever developed in the second half of chosun dynasty, we can get some educate guess in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feature of mask dance in the latter half of chosun dynasty. Forthermore, we can understand the delightful sense of beaty as well. Conculsion, The 'town' centered establishment of the mask dance relates with the manner of existance and the world of conciousness to ruling class as well as peasants, through this explanation, we can derive the characters of the mask dance in the second half of chosun dynasty. We can reach to the definition of distinctive feature of 'Yang-ju' by study and analization of the mask dance development. Based upon above factors, I desire to learn and understand the distinction of the cultulral, historical aspects in the latter half of chosun dynas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