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72 Download: 0

부부관계향상을 위한 부부의사소통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Title
부부관계향상을 위한 부부의사소통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arital Communication Program for Marriage Enrichment
Authors
최정숙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Keywords
부부관계향상부부의사소통교육Marriage EnrichmentMarital Communication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Nowadays the nuclear families which is centered around the married couple is becoming the more predominating family structure, so the quality of intramarital relationships play a pivotal role in the function and existence of a family. But recently, Korean couples are showing a tendency to lose their copying abilities even in small crises due to conflicts in traditional and new values, differences in the role and expectancy of couples, weakening of emotional bondage and lack of communicating skills and time with their spouses, hence intervention to enrich marital relationship is requested.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basic materials for a practically applicable Social Work program by veryfing the its effectiveness by performing a marital communication program based on a educational model most suitable to Korean culture and measuring the marital enrichment by changes in marital communications and diadic adjustment brought on by this program. Methods consist of a documentary and a experimental study. Theoretical background consists of defining marriage enrichment,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enrichment and marital communication, reviewing the content and effectiveness of prior studies on marital communication programs, and also a review of articles on marital communications as a method for both intervention and evaluation, dyadic adjustment as a method for evalu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mmunications and dyadic adjustment. The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using a pre and post test control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4 out of 12 couples married for less than 10yrs who consulted in participating by reading articles published in the C-ilbo, H-newspaper, local magazines and newspapers on this program and were able to participated once a week for weeks from 96. 4. 4. - 96. 5. 9. Remaining couples participated as control groups. Contents of the program for the group were obtained based on categories reviewing preexisting programs such as Minesota Couple Communication Program and Marriage Encounter, Conjug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and Marriage enrichment program developed by Cho, Son Kyung(1990). The learning course was divided into 5 stages which are stage 1: offering an opportunity to become aware of marital communication style and level, stage 2: recognizing and accepting the differences of one's spouse due to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verbalization, stage 3: learning the skills and attitudes in listening, stage 4; learning self expression, stage 5; learning to solve the problem(copying with conflict). The program was performed for 150-210 mins for every session, once a week for five weeks. Each session was carried out in order of, introduction-lecture-applicating activities-evaluation-task. 2 leaders carried out the program with the author planning the program and lecturing, and coleader helping out in applicating activities. No separate programs were held for the control group.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Marital Communication Program, 10 questions from the communication style scale by Won, Hyo Chong(1983) which is a review version based on 6 questions on the type of communication by Hawkins et al(1977), MCI developed by Bienvenu(l970) and DAS by Spanier(l976) were used and evaluation on the content and proceeding of the program was also performed in parallel. In analyzing the results, T-test, frequency, percentage were used for quantitative and case analysis of each couple were performed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of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 of pre and post marital communications test of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an increase of 14 point from 77.50 to 91.50 (T value 3.78, p<.01)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a T value of 1.94 in the control group showing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nclusion, this Marital Communication Program was improving marital communication. second, the mean score of pre and post dyadic adjustment of both groups showed an increase of 12.88 points from 100.75 to 113.63 (T value 3.63, p<.01)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a T value of 0.58 in the control group showing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nclusion, Marital Communi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dyadic adjustment. Pre and post evaluation of subordinate factors in dyadic adjust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p<.05) in terms of dyadic consensus and dyadic satisfaction. But affectional expression and dyadic cohesion showed an increase of 2 points from 8.63 to 9.63 and 2.75 points from 13.25 to 16.00, respectively, without ststistical significance. In the control group, none of the 4 subordinate factors showed as a stay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studies. It can be concluded that Marital Communi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dyadic consensus and dyadic satisfaction and brought on a positive change in affectional expression and dyadic cohesion. Third, case analyses of change in communication style of each couple were evaluated by confirming the frequences of communication style checked in 10 questions by each individual. Pre and post changes were as follows. Pre and post changes in A1 were from controlling style 1, speculative style 4, contactful style 5 to speculative style 2 contactful style 8 and in A2, from controlling style 3, speculative style 3, contactful style 4 to speculative style 1, contactful style 9, respectively showing an increase in positive communication style. In B1, pre and post changes were from controlling style 1, speculative style 6, contactful style 3 to speculative style 2, contactful style 8 and B2, from speculative style 1, contactful style 9 to contactful style 10, respectively. In C1, pre and post changes were from speculative style 2, contactful style 8 to speculative style 1, contactfuI style 9, and in C2, from controlling style 2, speculative style 2, contactful style 6 to controlling style 1, speculative style 1, contactful style 8, respectively. In D1 pre and post changes were from conventional style 5, controlling style 4, speculative style 1 to speculative style 4, contactful style 6, and in D2 from conventional style 1, controlling style 6, speculative style 3 to controlling style 2, speculative style 4, contactful style 4.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evaluated, however this experimental study showes that the Marital Communication Program brought on a change in communication style.;오늘과 같은 부부중심의 핵가족형태에서는 부부관계의 질이 가정의 기능과 존립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최근 우리나라의 부부는 신·구 가치관의 양립 부부상호간의 역할과 기대의 상위, 부부간의 정서적 유대감의 약화, 부부사이의 대화시간과 기술의 부족으로 조그만 위기에도 대응능력을 상실할 수 있는 위기경향을 띠고 있어, 이러한 부부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이 요청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에 가장 적합한 교육적 모형을 기초로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핵심적 요소인 부부간의 의사소통에 개입하는 부부의사소통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적응에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가로 부부관계 향상을 측정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실천연구를 통하여 사회사업 실천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실험연구로 이루어졌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프로그램의 목적이 되는 부부관계 향상의 개념 및 부부관계 향상과 부부의사소통의 관계를 규명하고, 부부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본 후, 프로그램 개입의 수단이자 평가의 수단인 부부의사소통, 평가의 수단으로서의 부부적응,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적응과의 관계에 대한 문헌연구를 하였다. 실험연구는 사전사후실험통제집단방안으로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3월말, C일보, H신문, 각종지역신문, 잡지의 홍보문을 보고 E사회복지관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12여쌍의 부부 중 4월4일부터 5월9일까지 주 1회씩 총 5회에 참여가능한 결혼생활 10년이내 부부로, 4쌍이 실험집단에 배치되었고 대기자로 남은 나머지 사람들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에 투입된 프로그램의 내용은 미네소타 부부의사소통 프로그램(Minesota Couple Communication Program)과 부부참만남프로그램(Marriage Encounter Program), 부부관계증진프로그램(Conjug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조선경의 부부관계 강화 프로그램(1990)을 중심으로 기존 프로그램 고찰을 통해 얻어낸 자료를 근거로 하였고, 체계이론을 기초로 하는 Myers & Myers의 의사소통이론과 Kathleen M. Galvin & Bernard J. Brommel의 이론을 참조하여, 1단계로 부부의사소통의 유형과 수준에 대해 자각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2단계로 지각과정과 언어화과정의 개인차 이해로 배우자의 차이점을 인정·수용하게 하며, 3단계로, 듣는태도와 기술을 학습하게 하고, 4단계로 자기표현법을 학습하게 하며, 5단계로 문제해결(갈등대처)법을 학습하게 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실시시간은 1회에 150분-210분씩이었고, 집단활동은 주 1회씩 총 5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진행구조는 도입-강의-적용활동-평가-과제부여의 순이고 프로그램 수행인력은 2인으로 본 연구자가 프로그램 계획, 강의를 하였고, 보조 진행자 1명이 적용활동시에 집단활동 진행을 도와주었다. 통제 집단은 같은 기간동안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부부의사소통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검사도구로는 Hawkins(1977, 1980)와 그 동료들의 의사소통 유형에 관한 6개의 질문을 기초로 하여 원효종(1983)이 수정보완한 10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의사소통 유형(Communication style scale)검사와 Bienvenu(1970)가 개발한 부부의사소통 검사(Marital Communication Inventory:MCI), Spanier(1976)의 부부적응척도(Dyadic Adjustment Scale, D.A.S)를 사용하였고, 프로그램 내용과 진행에 대한 평가를 병행하였다. 결과분석에서 양적분석으로서의 통계자료처리는 T-test, 빈도, 백분율을 사용하였고, 각 쌍별로 사례분석을 통한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효과성 측정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통제집단에 프로그램실시 사전-사후에 부부의사소통검사를 실시해 본 결과, 실험집단의 평균값은 77.50점에서 91.50점으로 14점이 증가하여 T-test 결과 T값 3.78로 P<.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통제집단에서는 T값 1.94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본 부부의사소통교육 프로그램은 부부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결론내릴 수 있다. 둘째, 실험·통제집단에 프로그램실시 사전-사후에 부부적응검사를 실시해본 결과, 실험집단의 평균값은 100.75점에서 113.63점으로 12.88점이 증가하여 T-test 결과 T값 3.63으로 P<.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통제집단에서는 T값 0.58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부부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은 부부적응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결론내릴 수 있다. 부부적응 하위변인별 사전-사후 검사결과를 보면, 실헙집단에서 부부합의도와 결혼만족도는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애정표현과 응집성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는데, 그 점수 변화량을 살펴보면 애정표현은 평균값 8.63점에서 9.63으로, 부부응집성은 평균값 13.25점에서 16.00점으로 각각 2점과 2.75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집단의 경우는 사전-사후검사에서 4가지 변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낸 항목은 없었다. 그러므로 본 부부의사소통교육프로그램은 부부적응의 하위변인 중 부부간의 합의도와 결혼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애정표현과 부부응집성에도 다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셋째, 부부단위별 사례분석에서 실험집단의 의사소통유형 변화를 살펴 보았는데, 이는 의사소통유형을 묻는 10개의 문항 각각에서 체크된 의사소통유형의 빈도를 측정 한 것으로, 프로그램실시 사전-사후의 개별적인 변화량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l은 사전검사시 억제 1, 분석 4, 친숙 5에서 사후검사시 분석 2, 친숙 8로, A2는 사전에 억제 3, 분석 3, 친숙 4에서 사후에 분석 1, 친숙 9로 나타나 긍정적인 의사소통 유형의 증가를 보였다. Bl은 사전에 억제 1, 분석 6, 친숙 3에서 사후에 분석 2, 친숙 8로 변화를 보였으며, B2는 사전에 분석 1, 친숙 9에서 사후에 친숙 10으로 변화를 보였다. C1은 사전에 분석 2, 친숙 8에서, 사후에 분석 1, 친숙 9로, C2는 사전에 억제 2, 분석 2, 친숙 6에서 사후에 억제 1, 분석 1, 친숙 8로 변화를 보였다. D1은 사전에 차단 5, 억제 4, 분석 1에서, 사후에 분석 4, 친숙 6으로, D2는 사전에 차단 1, 억제 6, 분석 3에서 사후에 억제 2, 분석 4, 친숙 4로 변화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통계적인 유의미성을 밝히지는 못했지만, 본 실험연구에서는 부부의사소통교육프로그램이 의사소통 유형에 변화를 가져왔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