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6 Download: 0

결과지식 제시형태와 지연간격에 따른 운동학습효과

Title
결과지식 제시형태와 지연간격에 따른 운동학습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the Type KR and Delay Interval on Montor Learning
Authors
李智恩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과
Keywords
결과지식제시형태지연간격운동학습효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결과지식 제시형태와 결과지식 지연간격에 따른 운동학습효과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결과지식 제시형태와 지연간격에 관한 선행연구 및 문헌들을 섭렵하여 3가지의 가설을 세웠다. 첫째, 결과지식 제시형태에 따라 수행 및 학습효과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며, 둘째, 결과지식 지연간격에 따른 운동수행과 학습효과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론되었다. 세째, 결과지식 제시형태와 지연간격에 따라 수행 및 학습효과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3가지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자판간 타이밍 과제(interkey timing task)를 사용하였으며, 피험자가 수행해야 될 과제는 900msec, 500msec, 1200msec, 700msec로 지정된 자판간 목표동작시간에 맞추어 제 1자판, 제 2자판, 제 3자판, 제 4자판 그리고 Enter자판까지 5개의 자판을 순차적으로 누르는 것이었다. 피험자가 수행한 동작수행시간은 동작간 시간을 msec를 단위로 하여 컴퓨터에 자동 입력되었으며, 실제동작시간과 목표동작시간과의 오차가 자동으로 계산되도록 설계하였다. 결과지식은 수치, 그림(막대 그래프), 수치+그림의 세가지 형태로 제시되었으며, 결과지식 지연간격은 1초 혹은 5초로 제공되었다. 각각의 피험자는 10회 시행을 1분단으로 하여 총 100회(10분단)의 습득시행을 수행하였으며, 10회의 파지시행을 수행하였다. 각 피험자별로 얻어진 4개의 목표동작시간 각각에 대한 동작시간의 오차를 근거로 절대오차를 산출하였으며, 전체동작시간(3300msec)에 대한 절대오차 또한 산출되었다. 산출된 절대오차를 근거로 각 집단별, 조건별, 시행분단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결과지식 제시형태와 지연간격에 따른 조건별, 시행분단별 주효과 및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반복측정에 의한 삼원변량분석(Three-Way ANOVA with Repeated-Measures on block)을 실시하였다. 동작시간을 분석한 결과, 습득단계에서는 전체오차(제 1자판-제 Enter자판간), 제 1자판-제 2자판간, 제 3자판-제 4자판간, 그리고 제 4자판-Enter자판간의 4개 타이밍 과제에서 결과지식 제시형태에 따른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므로 가설Ⅰ이 지지되었다. 결과지식 지연간격에 따른 주효과는 전체오차, 제 1자판-제 2자판간, 제 2자판-제 3자판간, 제 4자판-Enter자판간 타이밍 과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으로써 가설Ⅱ 역시 지지되었다. 그러나 이 두 요인간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으로써 가설Ⅲ은 지지되지 않았다. 파지단계에서는 전체오차, 제 1자판-제 2자판간, 제 2자판-제 3자판간, 제 4자판-Enter자판간의 4개 타이밍 과제에서 결과지식 제시형태에 따른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가설Ⅰ이 지지되었다. 두번째 주효과로서 결과지식 지연간격에 따른 주효과는 전체오차, 제 1자판-제 2자판간, 제 2자판-제 3자판간, 제 3자판-제 4자판간 타이밍 과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므로 가설Ⅱ 또한 지지되었다. 그러나 두 요인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제 2자판-제 3자판간 타이밍 과제에서만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을 뿐, 나머지 과제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므로 가설Ⅲ은 지지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첫째, 결과지식을 수치와 그림으로 동시에 제시해주는 형태가 수행과 학습 모두에 가장 효과적이며, 둘째, 결과지식을 1회의 연습시행이 끝난 후 즉각적으로 제공하기 보다는 어느 정도의 시간간격(5초)을 두고서 제공하는 것이 수행 및 학습에 효과적임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결과지식 제시형태와 지연간격과의 상호작용효과는 수행과 학습 모두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ype of KR and KR-delay interval on motor learning. Thre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research literatures. First, the learning effect would be different as a function of the type of KR, Second, it is predicted that the effect of motor learning effect is different with KR-delay interval. Third, the type of KR and KR-delay interval would yield an interactive effect on motor skill learning. To test of these hypotheses, inter-key timing task was used. Seventy-two subjects were required to practice a series of 5 timed key pressings on the computer-key board in a 3(type of KR)×2(KR-delay interval)×10(block)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measures on block. Inter-key pressing times were recorded and inputted into computer and were subject to analysis. All of subjects performed 10 blocks of 10trials in acquisition phase with 10 retention test trials 1 day later. In the acquisition phase, Three-way ANOVA on each inter-key timing error revealed that ; 1) the main effect for type of KR was significant in the 3300, 900, 1200, and 700msec timing tasks but it was not significant in the 500msec timing task ; 2) the main effect for KR-delay interval was shown to be significant in all inter-key timings except in the 1200msec timing task ; 3) interactive effects between the type of KR and KR-delay interval were shown to be nonsignificant in all of the 5 timing tasks. In the retention phase, ; 1) the main effect for type of KR was significant in the 3300msec, 900msec, 500msec, and 700msec timing tasks.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 in 1200msec timing task; 2) the main effect for KR-delay interval was significant in 3300, 900, 500 and 1200msec timing tasks, except in 700msec timing task ; 3) interactive effects between the type of KR and KR-delay interval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only in 500msec timing task. In total, it was concluded that the numeric+figural(graphic) KR had the most effect on motor learning. Second, instead of informing subjects instantaneously about their performance errors, a moderate duration of KR-delay interval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motor learning. Finally, the learning effect as a function of KR type may vary as a function of the duration of KR delay interv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