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경인-
dc.creator정경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0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7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0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72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state of preparation about school curriculum of the commercial high school focused on teachers' role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scheme. The issu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actual state of current curriculum management at the commercial high school? Second, how is the actual state of preparation for school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responses of 149 teachers about the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200 teachers in 20 commercial high schools were collected and analized. The result through analysis are as follows : First, in the actual state of current curriculum management 1) 'The irrelevance of special subjects' and 'lack of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are indicated as the most serious problem in the current curriculum. However, in spite of these problems of current curriculum, the half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are managing the current curriculum as it is given. This means that they don't perform the role as the professional of curriculum, and this is one of the problems of the centralized curriculum. 2) In current curriculum, teachers perform the role as below: Above 1/3 of teachers are in charge of the subject which is not consistent with their major study. Then, what is more serious is the fact that most of these teachers are teaching without any training about the subject. And the teaching conference is being managed centering around evaluation rather than teaching content and methold. And most of teachers refer to the textbook and the guidebook for teacher in making out the lesson plan. In addition, the teachers who use the lesson plan in teaching positively are very rare. Second, in the actual state of preparation for school curriculum 1) Most of teachers think that they are understanding the 6th revised curriculum as usual. 2) About the necessity on the development of school curriculum, arround 1/2 teachers are showing the affirmative reaction. But, the rest are recognizing that the realization of school curriculum is impossible. And, practically about 1/3 of teachers responded that school curriculum is not being developed yet. Most of teachers answered the insufficiency of information, and some of them are presenting the lack of ability as the reason that school curriculum is not made. 3) Teachers think that they don't have the sufficient ability to perform roles that the teachers must perform for school curriculum. 4) In addition, the teaching preparation about the new subject is mostly made at the individual level of teacher. According to what was discussed above, the most urgent task for school curriculum may be to improve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this, institutionally decision-making on curriculum will have to be more 'decenturalized'. And the continuous training for the improve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for the subjects will have to be more deepened and expanded. And teachers have to recognize themselves, as a subjectivity in curriculum and try to develop the most suitable curriculum for their own teaching.;본 논문은 1992년에 고시된 제 6차 교육과정이 요구하고 있는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상업계 고등학교의 준비 실태를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상업계 고둥학교에서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학교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상업계 고등학교의 준비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내 총 35개의 상업계 고등학교중 20개 학교, 200명의 현직교사에게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된 149명의 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 실태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조사되었다. 먼저 교육과정의 일반적인 문제점으로 전문교과 편성의 부적합성과 교육과정 운영시 학생들의 기초실력 부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그러나 현행 교육과정의 편성이나 운영에 관한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도 불구하고, 절반 가량의 교사들은 현행 교육과정을 주어진대로 운영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중앙집권적인 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교사의 역할 수행에 있어서는, 교사들 중 전공과 일치하지 않는 과목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가 모두 1/3 이상에 이르고 있으며, 더욱 심각한 것은 이들의 대부분이 연수도 받지 않은 채 수업에 임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교사의 능동적이고 전문가적인 역할 수행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교사의 전문가적인 역할 수행이 부족하다는 점은 교과협의회가 평가의 범위와 내용 위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학습 지도안의 수업활용 정도가 낮다는 데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둘째, 상업계 고등학교의 학교 교육과정 준비 실태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이 발견되었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제 6차 교육과정에 대하여 보통 수준으로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들의 절반 정도가 교내연수를 통해서 알게된 것으로 응답하였다. 그리고 잘 모르고 있는 경우, 개인적인 관심 부족이 가장 큰 이유로 지적되고 있다. 학교 교육과정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서는 거의 대부분의 교사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교사도 다수 있었다. 그리고 실제로 학교 교육과정이 개발되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도 전체 교사의 1/3이상이 아직까지 학교 교육과정이 개발되지 않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학교 교육과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대부분 정보와 자료의 부족을 들고 있다. 학교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교사가 수행해야 할 여러가지 역할과 관련하여서도, 교사들은 스스로를 그러한 역할을 수행할 만한 능력을 충분히 갖추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설학과에 따른 수업 준비도 교사 개인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교과 지도를 위한 준비가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학교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도적으로는 교사들의 교육과정 개발 활동을 권장하는 교육과정의 분권화가 더욱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요구되는 여러가지 역할들과 교과에 관한 연수가 더욱 심화·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들 스스로 교육과정 운영의 주체로서 교육과정에 대한 보다 높은 관심과 능동적인 자세가 요청된다고 하겠다. 이와 같이 학교 교육과정의 운영은 그것의 운영을 지원해 줄 제도적인 장치와 교사들 스스로의 의식의 전환이 이루어질 때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연구방법 = 3 D.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교육과정 개념의 수준별 구분 = 5 B. 교육과정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교사의 역할 = 7 1. 중앙 집권적 교육과정과 교사 = 7 2. 지방분권적 교육과정과 교사 = 8 3. 학교중심 교육과정과 교사 = 9 C. 학교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사의 역할 = 16 1. 제 6차 교육과정의 이해 = 17 2.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 20 3. 교사의 새로운 역할 = 27 Ⅲ. 연구의 방법 = 34 A. 연구 대상 = 34 B. 조사 도구 = 36 C. 조사실시 및 자료처리 = 37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38 A. 현행 상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 38 1. 현행 교육과정의 일반적인 문제점 = 38 2. 실기 교육의 적합성 = 41 3. 교사의 역할 수행 실태 = 42 B. 학교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준비 실태 = 50 1. 제 6차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 = 50 2.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인식 및 개발 실태 = 51 3. 교사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준비 실태 = 57 4. 신설학과에 대한 준비 실태 = 59 C. 종합 논의 = 60 Ⅴ. 요약 및 결론 = 65 참고문헌 = 71 부록 : 설문지 = 73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843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교육과정-
dc.subject학교교육과정-
dc.subject교사역할-
dc.subject상업계고등학교-
dc.title학교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사의 역할과 준비 실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상업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eachers' Role and Their Prepa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Curruculum : A Case of Commercial High Schools-
dc.format.pageviii, 8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