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2 Download: 0

사회교육기관의 기혼여성 직업교육에 관한 참여자의 의견 연구

Title
사회교육기관의 기혼여성 직업교육에 관한 참여자의 의견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Participants' Opinion of Vocational Education for Married-Women in Adult Education institution
Authors
최선경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교육학과
Keywords
사회교육기관기혼여성직업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과 남녀평등의식의 확대는 여성으로 하여금 자기개발을 통한 자아실현의 욕구를 더욱 증대시키고 있다. 여성들은 결혼 전뿐만 아니라 결혼 후에도 계속적으로 직업을 갖기를 원하며 직업은 이제 여성들에게 생계의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자신의 능력활용의 의미로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기혼여성의 사회경제활동은 매년 증가하고 있어 1993년에는 여성경제활동 인구 중 기혼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75%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여성의 사회경제활동에 대한 욕구에도 불구하고 취업에 대한 정보나 전문기술의 부족으로 여성들은 자신이 원하는 직업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동시에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자녀양육과 가사일에 대한 부담이 여성의 취업을 저해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유휴인력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노동부 산하에 직업훈련국을 두고 여성들에게 직업훈련을 시키고 있고 각 시,도에서 운영되는 부녀복지관 혹은 여성회관에서도 저소득층의 소득증대와 여성의 능력활용을 목적으로 직업기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여성단체 역시 여성의 지위향상이라는 측면에서 직업기술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대학에서는 평생교육원이라는 형태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전문직종을 중심으로 사회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기혼여성에게 직업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사회교육기관의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현재의 직업교육에 대한 평가와 요구사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기관으로는 서울지역에 위치한 직업훈련원, 부녀복지관, 여성단체, 대학평생교육원 각각 2곳씩을 선정하여 방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으로는 참여자들의 개인적 배경특성과 교육참여동기, 취업동기 그리고 기관에 따른 요구사항과 교육프로그램 및 성과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수거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유효한 자료 총 214부를 가지고 배경특성과 요구에 대해서는 빈도분포를, 만족도 평가에 대해서는 집단간 일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들은 막내가 국교 입학 후인 30대의 여성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다. 혼인상태는 특별한 몇명을 제외하고는 214명 중 204명이 배우자가 있는 기혼여성들이다. 가족 형태는 부부와 자녀로 이루어진 핵가족인 경우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직업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들의 생애주기 단계는 자녀가 어느정도 성장한 후인 '막내가 국교 입학 후 고등학교 졸업전'의 시기가 가장 많다.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들의 계층은 직업훈련원과 부녀복지관의 경우에 저학력층과 저소득층의 참여가 약간 있을 뿐, 전체적으로는 고졸이상의 학력과 월수입 100만원 이상의 중류계층 이상의 여성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둘째, 교육참여동기로는 교육 후 취업하기 위한 경우가 가장 많으며, 취업동기는 대체로 경제적 이유 뿐 아니라 자기능력 활용과 자기발전에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학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수입이 많을수록 더욱 두드러진다. 셋째, 현재 직업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들은 결혼전에 대체로 직업 경험이 있는 여성들이며 사무직 종사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결혼 후 재취업을 원하는 경우 사무직보다는 서비스직과 전문기술직을 원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있다. 취업하기에 자신에게 가장 부족한 점으로는, '해당분야의 전문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넷째, 교육기관에 대한 인지로는 기관들의 필요에 대한 홍보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리고 현재의 교육기관을 이용하는 이유로는 '비용이 저렴해서'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기관에 대한 지명도','거리가 가까워서'라고 응답하였다. 학습자들의 교육참여 저해요인으로는 가장 큰 이유가 자녀양육과 가사일로 인한 시간부족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생들의 참여 프로그램은 '서비스 분야'가 가장 많았고 상담이나 보육교사 등의 '준전문직 분야'와 '제조업 분야'의 순으로 나타난다. 직업훈련원이나 부녀복지관은 서비스직과 제조업 분야가 많고 그에 비해 여성단체와 대학평생교육원에는 준전문직종이 더 많다. 각 기관마다 내세우고 있는 교육목표가 교육과정에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가에 대해서 대다수는 '잘 모르거나, 조금 반영되어 있다'고 대답하였다. 특히 저소득층의 소득증대를 위해서는 다른 기관에 비해 대학평생교육원은 '거의 반영되어 있지 않다'고 하였다. 교육목표로는 전문인 양성보다는 '여성의 자질향상과 능력개발'이나 '지위향상 및 사회참여 확대'에 대한 반영도가 높다고 응답하였다. 여섯째, 교육방법에 대한 기혼여성들의 요구사항으로, 교육기간에서는 6개월에서 1년 정도를 가장 원하고 있으며 교육회수는 일주일에 2-3회, 교육시간은 오전시간을 주로 원하고 있다. 교수방법으로는 실험실습식 교육을 매우 선호하고 있다.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기관별 차이를 보면, 교수방법, 교사의 자질, 수업교재나 실습시설, 수업분위기 등의 전체적인 교육프로그램에 대해서 대학평생교육원이 다른 세 기관에 비해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있다. 수강료에 대해서는 무료이거나 저렴한 직업훈련원과 부녀복지관이 다른기관에 비해 만족도가 높다. 일곱째, 교육성과에 대한 평가는 기관에 따른 커다란 차이 없이 대체로 보통 이상의 성과도를 나타내고 있다. 전체적인 교육성과로는 직업적 성취보다는 '개인의 내적만족'과 '자질향상'에 더 큰 성과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본 연구자가 보려고 했던 기관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기관마다의 특성이 별로 없으면서 서로 비슷한 내용과 방법들이 중복되어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여성의 직업교육으로 선택된 직종이 지나치게 서비스직에 치우쳐 있어 여성들의 다양한 취업욕구를 수용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생각이 든다. 직업교육을 통해 전문 직업인을 양성하겠다는 취지라면 보다 깊이 있는 내용과 직종의 다양화가 시급히 필요하다고 본다. 동시에 직업교육이 하나의 교육적 기능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기능만을 습득시키는 차원이 아니라 직업인으로서 갖춰야 할 소양교육과 여성의 사회의식교육이 함께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The elevation of education standards and the spread of equalitarianism between both male and female increased the desires of self-actualization through the self-development. Women want to take part in social activities not only before marriage but after. Job is no longer the means to make a living but have the meaning to act to the best of her potential capacities. Every year the amount of the social economic activities of the married-women increases and the ration that the married-women occupied in the female population to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reached 75 percent on the basic year 1993. Despite of the desire to participate in socio-economic activities, however, the shortage of information on employment and expert knowledge and skills made it difficult for women to engage in those activities they want to. Moreover the unsolved burden of household affairs and bringing-up would interfere the women's participation in those activities. With the intention of making the best use of the unemployed government set up a sort of vocational training center under the Ministry of Labor and have women make use of its facilities. City-managed women's welfare centers execute several vocational education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incomes of the low -income brackets and utilizing the women's labors. Many female Accociations recognize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vocational education in the aspect of the improvement of women's social status and many Universities designed the various programmes of the social education in the form of continuing education center subjected for the adult, which focused on more professional education. So this research was pursued to evaluate the development of the present vocational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what the respondent needs. This research selected as its subjects each 2 organizations among vocational training centers, women's welfare centers, women's associations, the institutes of continuing education managed by universities and a s its methods some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content of this research involved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its respondent's socio-economic stratum , the motivation to these educationings, the reasons to take a career and what the participants demand against the each center and self-complacency for results of their endeavors. The statistical procedures applied the distribution of frequency to the individual socio-economic differences and the analysis of variances to the extent of satisfaction with total 214 questionnaires availabl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followed by; 1)the participants are mostly married-women whose last child entered into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ir type of family is the nuclear family consisted of the parents and their children. Regardless of their incomes by month and the level of their education, their desire to engage in vocation tend to be high and the ratio that middle-class participates in is higher particularly in the organizations such as vocational training center or women' welfare center, though these centers were mostly took up by women from low-income stratum. 2) Motivation to take up an occupation, mostly, does not lie in the economic demands but in self-actualization and self-development of their latent capacities. The higher their level of education and the more their income, the more outstanding this phenomena appear. 3) The greater part of Women to engage in these vocational educations previously have an experience to go to work and the sort of occupation they had took is disposed to be an office work but the sort of occupation they want to after marriage relatively was preferred to the service or professional work. 4)The majority of them hoped the course of six months to one year in the period of their education and the frequence of education is 2 or 3 per week. Also they preferred the time before noon and the methods they preferred was practical training or actual techniques rather than lecture or discourse. 5)The extent of satisfaction for the process of educations is inclined to be high in the government-managed organization because these organizations reflected the demands of married-women satisfactorily. Se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organizations, such wholesale conditions as the training methods, the qualities of lecturers, the text of education, training facilities, the mode of lecture rated low rather against the institutions of universities than the other organizations. The evaluation of the outcomes of education does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nd recorded 3 more points. In the overall outcomes of education they valued inner self-satisfactions and quality improvement as more important factor rather than vocational accomplishment. 6)With respect to the extent which each organization' intention and object were reflected, most of respondents answered "reflected a bit" or "don't know". Particularly they responded that the institutes of universities hardly receive the needs of low-income stratum. In the aspect of the goal of education most of these organizations interested more carefully in the improvement of women' social status, women' self-actualization and the increase of women' social activities rather than in professional training. 7)The major hindering factor of respondent's participation in education program was the shortage of enough time by household affairs and bringing-up. this results is like the content presented by the theoretical groups in the preceding part of this thesis. The consequences of this research does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organization, which I want to know most of all. The reason was believed that each organization was not equipped with sufficient knowledge and material environment. The sort of programmes selected for women's job education overbalanced toward the service area so failed to reflect a variety of women's needs for job. I suggested that more professional course and a variety of sorts of selectable jobs be prepared by each organization for the purpose of being qualified more professional through the vocational education. Also beyond the dimension only to acquire basic skills, the education oriented toward female's concerns of social activities and qualities to perform professional career must contribute to more meaningful complacency and substantial deman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