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2 Download: 0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이 여성 노인의 체력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Title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이 여성 노인의 체력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an Aquatic Fallproof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and Gait in Elderly Women
Authors
김유련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이 노인의 생활체력 및 안전한 보행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대상자는 서울 소재 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반에 자발적으로 등록한 60세 이상 여성 노인 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프로그램은 주 2회, 1회당 90분, 13주 동안 실시하였다. 체력은 노인체력 검사(Senior Fitness Test : [Rikli와 Jones,1999]), 균형능력검사(My Fitness Trainer : MFT Balance Test V1.7)와 전정계기능 검사(Stepping Test, Unterberger, Fukuda Test)를 측정하였다. 보행능력 검사는 지면반력기(Kistler/Type 9281B)를 이용하여 지면반력 변인을 측정하였다. 연구의 자료처리는 Window용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여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과 후의 차이를 규명하였고, 유의수준은 p<0.05로 설정하여 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노인의 체력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연성으로 등 뒤에서 손 엇갈려 마주잡기와 체전굴을 측정한 결과 오른손(R)이 먼저 어깨 위로 갔을 때 등 뒤에서 손 엇갈려 마주잡기는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 평균 -6.42cm, 실시 후 평균은 -6.64cm로 평균 0.21cm가 증가하였고, 왼손(L)이 어깨 위로 갔을 때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 평균 -15.57cm, 실시 후 평균은 -12.07cm로 평균 3,5cm가 감소하였다. 체전굴에서도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 평균 10.88cm, 실시 후 평균은 12.84cm로 평균 1.95cm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유연성 측정 항목인 두 가지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상지 근지구력으로 팔(이두근) 구부리기를 실시하여 회수를 측정한 결과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 오른손(R) 평균은 20.28회이고 실시 후 평균은 25.57회로 평균 5.28회가 증가(t=-2.346, p<0.05)하였고, 왼손(L)에서의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 평균은 21.28회, 실시 후 평균은 27.28회로 평균 6회가 증가(t=-3.165, p<0.01)하였다. 3. 하지 근지구력으로 30초간 의자에 앉았다 일어나기를 측정한 결과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 평균은 17.14회이고 실시 후 평균 23회로 평균 5.8회가 증가(t=-2.776, p< 0.05)하였다. 4. 유산소성 지구력으로 2분간 스텝을 측정한 결과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 평균 138.85회, 실시 후 평균은 186.71회로 평균 47.8회가 증가(t=-2.865, p<0.05)하였다. 5. 민첩성 및 보행능력으로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서 2.44m 걸어가기 후 다시의자에 앉는 시간을 측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세로 일렬 왕복걷기를 측정한 결과는,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 평균 8.11sec이고 실시 후 평균은 6.54sec로 평균 1.57sec가 증가(t=2.277, p<0.05)하였고, 세로 일렬 뒤꿈치 닿으며 왕복걷기를 측정한 결과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 평균은 21.33sec이고 실시 후 평균은 15.17sec로 평균 6.16sec가 증가(t=2.299, p<0.05)하였다. 6.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과 후의 앞뒤 균형능력 차이에서 구역1은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 13.74%, 실시 후 29.18%로 평균 15.44%가 증가(t=-3.07, p<0.01)하였고, 구역5는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 평균 47.38%, 실시 후 평균 23.25%로 평균 24.12%가 감소(t=3.60, p<0.01)하였다.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과 후의 구역 평균은 3.65점에서 2.82점으로 평균 0.82점으로 감소(t=3.69, p<0.01)하여 앞뒤 균형능력이 증가 하였다.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과 후의 좌우 균형능력의 차이에서 구역2는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 11.01%, 실시 후 17.27%로 평균 6.25%가 증가(t=-3.93, p<0.01)하였고, 구역3은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 9.77%, 실시 후 18.42%로 평균 8.65%가 증가(t=-2.93, p<0.05)하였으며, 구역4는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 9.64%, 실시 후 14.08%로 평균 4.44%가 증가(t=-2.30, p<0.05)하였다. 구역5는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 59.27%, 실시 후 33.54%로 평균 25.72%가 감소(t=3.46, p<0.01)하였다.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과 후의 구역 평균은 3.95점에서 3.3점으로 평균 0.65점으로 감소(t=2.96, p<0.05)하여 좌우 균형능력이 향상되었다. 7. 전정계기능 검사로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 제자리걸음 검사의 각도변화를 측정한 결과 평균 53.14°에서 운동 실시 후 38°로 평균 15.14°가 감소(t=1.83, p< 0.05)하였다. 즉,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후 상•하지 근지구력, 유산소성 지구력, 민첩성 및 이동균형, 전후 좌우 동적 균형능력 그리고 보행 시 균형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보행 시 지면반력 변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과 후의 지면반력의 차이에서 수직 충격 정점 수(Vertical Number of Passive Impact Peak)의 평균을 비교해 보면,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의 평균은 3.57(n), 실시 후의 평균은 1(n)로 평균 2.57(n)가 감소(t=6.97, p<0.01)하였다. 2. 수직 최대 충격 정점 크기(Vertical Maximum Passive Impact Peak Value)의 평균을 비교해 보면,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의 평균은 0.88(BW), 실시 후의 평균은 0.35(BW)로 평균 0.53(BW)가 감소(t=4.32, p<0.01)하였다. 3. 수직 최대 충격 부하율(Vertical Maximum Passive Impact Loading Rate)의 평균을 비교해 보면,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의 평균은 65.27(N/ms), 실시 후의 평균은 20.85(N/ms)로 평균 44.41(N/ms)가 감소(t=4.22, p<0.01)하였다. 4. 수직 충격 역적(Vertical Impact Impulse)의 평균을 비교해 보면,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의 평균은 0.03N∙sec, 실시 후의 평균은 0.017(N∙sec)로 평균 0.012(N∙sec)가 감소하였다(t=3.78, p<0.01). 5. 좌우 충격 정점 수(Lateral Number of Impact Peak)의 평균을 비교해 보면,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전의 평균은 2.71(n), 실시 후의 평균은 0.85(n)로 평균 1.85(n)가 감소(t=3.75, p<0.01)하였다. 즉,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 실시 후 보행 시 지면과 닿는 순간의 충격변인은 수직, 좌우 방향 모두에서 감소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 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수중 넘어짐 예방운동은 여성 노인의 생활체력 중 유산소성 지구력, 상•하지 근지구력, 민첩성 및 보행균형, 전후 좌우 동적 균형, 보행에 효과가 있으며, 보행의 충격흡수에도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것은 수중에서 하는 넘어짐 예방운동이 물의 부력을 이용하므로 체중부하가 감소되어 관절압박력(Compressive Force)과 생체역학적 스트레스(Biomechanical Stress)가 감소하여, 움직이는 동안에 관절에 미치는 부하는 줄어들고 대신 물의 점성과 저항으로 굴근과 신근의 균형이 향상(Arient, 2002; Hurly & Turner, 1991)되기 때문이다. 또한 부력은 안정성을 감소시켜 균형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물 속에서 하는 운동은 무게중심의 위치를 고정시키지 않고, 다방향의 운동 조건을 제공하여 넘어짐을 예방하기 위한 체력, 동적 균형 그리고 전정계기능에 효과적이므로 노인들에게 넘어짐 예방을 위해 추천할만한 운동이라고 말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llproof exercises on Physical Fitness and Gait in Elderly Women. Seven female attendees of a local adult education center over the age of sixty serv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Subjects exercised in water twice a week for ninety minutes per session over a thirteen week period. Physical fitness was evaluated via the Senior Fitness Test (Rikli and Jones, 1999). Physical fitness variables included flexibility (back scratch and sit and reach), muscular endurance (bicep curl, max reps; sit-down, stand-up test), agility / dynamic walking balance (tandem walking / sharpened tandem walking), and cardiovascular endurance (step test). Dynamic balance was gauged through the MFT Balance Test, V1.7. The vestibular system was further evaluated through the stepping test. The Kistler Force Platform (Type 9281B) was used to evaluate ground reaction force (GRF) variables while walking. The paired t-test via SPSS 12.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fter thirteen week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our physical fitness variables. Muscular endurance in the upper and lower extremities (via the bicep curl) increased for both the right and left arm (t=-2.346, p<0.05) and (t= -3.165, p<0.01) respectively, while in the lower body, there was improvement in the results for the stand-up / sit-down test (t=-2.776, p<0.05). The step test showed improved cardiovascular endurance (t=-2.865, p<0.05). Both agility and dynamic walking balance improved through the tandem walking (t=2.277, p<0.05) and sharpened tandem walking (t=2.299, p<0.05) tests. At the end of the test perio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balance in all directions. Anterior / posterior balanced improved at sector one (t=-3.07, p<0.01) and five (t=3.60, p<0.01) and at the mean (t=3.69, p<0.01). Lateral balance improved in sector two (t=-3.93, p<0.01), three (t=-2.93, p<0.05), four (t=-2.30, p<0.05), five (t=3.46, p<0.01), and at the mean (t=2.96,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ertical and anterior / posterior passive impact variables. The vertical number of passive impact peaks (t=6.97, p<0.01), vertical maximum passive impact peak value (t=4.32, p<0.01), the vertical maximum passive impact loading rate (t=4.22, p<0.01), and vertical impact impulse (t=3.78, p<0.01) all decreased. In addition, the lateral number of impact peaks (t=3.75, p<0.01) decreased as well.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quatic Fallproof exercises can have a beneficial effect on elderly physical fitness factors including flexibility, muscular endurance, agility / dynamic walking balance, and also absorbing shock. Normally, Fallproof exercises are performed on the ground, but practice in an aquatic environment allows for greater safety and stability. Furthermore, the improvements from tandem walking, and sharpened tandem walking indicate an increase in fine muscle control. This increase can also be visible in the decrease in impact variables. As subjects gained more control over their fine muscles in the lower leg and the foot, it is possible that their footfalls were consistently less harsh. Aquatic Fallproof exercises are multidirectional exercises with a movable center of gravity. The aquatic aspects of these exercises include water resistance, reduced stress, and impact via water pressure and buoyancy. As such, these exercises would be ideal for elderly who are at high risk of falling during regular standing exercise. Further studies should utilize a land-based control group to compare with aquatic Fallproof resul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