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선연-
dc.creator김선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8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2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9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211-
dc.description.abstract산업화된 사회에서 사고는 가장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진다. 이 중 어린이의 안전사고로 인한 피해는 신체적, 정신적 손상뿐 만 아니라 인적자원의 손실로 인해 국가경쟁력에도 영향을 미치는 간과할 수 없는 사회적인 문제로, 어린이의 안전은 국가차원에서 제대로 다루어져야 하는 중요한 문제다. 사고를 자주 일으키는 사람들에게는 공통된 성격특성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성격특성인 사고경향성을 중심으로 어린이의 사고발생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일부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253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및 사고발생여부와 사고경향성 간의 관련성을 파악한 후, 최종적으로 사고를 자주 일으키는 어린이의 사고경향성을 규명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연구대상자의 성별분포는 남학생(53.8%), 여학생(46.2%)이었으며 이들 중 60%의 어머니가 직업을 가지고 있었다. 2. 사고경험과 관련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사고경험이 있는 학생 1,180명(36.3%), 사고경험이 없는 학생 2,072명(63.7%)이었으며, 사고의 장소는 동네가 가장 많았다. 사고종류는 추락, 충돌/부딪힘이 가장 많았고, 손상부위로는 다리, 발의 손상이 많았다. 사고 매개체로는 놀이기구 및 체육시설에 의한 사고발생이, 사고원인은 개인의 부주의나 실수로 인한 사고가 가장 많았다. 3. 대상자의 사고경향성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전체 사고경향성은 2.41점이며, 외향성의 점수가 2.66점으로 가장 높았다. 안전행동을 실천하지 않는 이유는 ‘지식은 있는데 습관이 되지 않아서’가 39.0%로 가장 높았다. 전체 중 80.8%가 안전에 대한 교육경험이 있었으며 이들은 주로 학교에서 안전교육을 받고 있었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충동성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어머니가 직장이 있는 경우 사고경험이 많았고 그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1), 남학생이 더 충동적이었다. 또한 가족분위기가 나쁠수록 충동적이었으며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5). 일반적 특성과 신경증과의 관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여학생일수록(p<.05) 성적이 낮을수록(p<.001), 어머니가 직장생활을 하실수록(p<.001), 가족의 분위기가 나쁠수록(p<.001) 신경증의 점수가 높았으며(p<.001) 그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외향성결과는 여학생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고 (p<.05), 성적이 좋을수록(p<.001), 가족분위기가 좋을수록(p<.001)높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사회 부적응의 차이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학생일수록, 어머니가 직장생활을 할수록, 성적이 낮을수록, 가족 분위기가 나쁠수록 사회부적응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는데 그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마지막으로 일반적 사항에 따른 사고경향성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성적이 낮은 학생일수록(p<.05), 가족 분위기가 나쁠수록(p<.001) 사고경향성 전체 점수가 높았으며 그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5. 일반적 특성과 사고발생 여부간의 관련성 분석 시 남자일수록 사고발생이 높았다(p<.001). 사고 유경험자와 무경험자 간의 사고경향성 차이는 충동성, 신경증, 외향성, 전체사고경향성에서 각각의 점수가 높을수록 사고발생이 높았고 그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안전관심도와 사고발생여부와의 관계는 사고가 많은 아이일수록 평소 부모의 안전행동정도가 높았고 그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사고경험여부에 따른 안전지도정도에서는 사고가 많은 아이일수록 평소 부모의 안전지도정도가 높았고 그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1), 지난 1년간 안전교육경험과 사고경험여부와의 관계에서는 사고가 많은 아이일수록 안전에 대한 지도의 개념을 뜻하는 안전 관련 교육을 받은 학생의 비율이 높았고 그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6. 연구대상자의 사고발생과 관련된 사고 경향성 규명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남자일수록(p<.001), 안전교육을 받은 학생일수록(p<.001), 신경증이 높을수록(p<.01)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았고 그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In the industrialized society, accident is regarded as the primary issue of public health. Among the accidents, children safety accidents have induced the social problem that can not be overlooked due to the loss of personnel resource as well as the physical and mental damage, so the safety problem for children is the important matter that should be treated properly on the level of nation. People who cause accident often, have the character in common over the past research,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ccident experiences and certain accident-prone personalitie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had subject of 3,253 students of 5th and 6th grade of 8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ccident experience during the past year, and accident proneness, and then clarified the accident-prone personality factors for a child who caused accident often finally. The study result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1. The gender distribution of the study participants is male student(53.8%), female student(46.2%) and the mothers of 60% of them have occupations. 2. Concerning accident experiences, the students with at least one time of accident during the past year were 1,180 persons (36.3%), students without injury history were 2,072 persons (63.7%) and neighborhood accounts for the biggest accident place. Among the type of accident, falling, bump were the most, and the most injured parts were legs and foot. The biggest tool for accident was the playing facility and training facility, and the biggest cause for accident was personal carelessness of student or mistake. 3. Concerning accident-prone personalities, the total accident proneness score was 2.41, and the mean score of outgoing personality was the highest, 2.66. And the reason for not practicing safe action was highest in the answer 'not yet accustomed in spite of knowledge', 39.0%. 80.8% of the total had experience of safety education and they've received safety education mainly in school. 4. Concerning the impulsiveness construct of the accident-prone personality, the students whose mother had a occupation, who experienced accidents during the past year, who were boy, and whose family support was poor had significantly greater scores of impulsiveness (p<.001). Concerning the neuroticism construct of the accident-prone personality, female student, the lower the grades, the more the mother had occupation, and the worse the environment of family the higher the grades of neuroticism was (p<.001). The outgoing personality score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the higher grades, and the better the family environment (p<.05). The mean score of the social maladaptation construct was more in it's female student, the more the mother has an occupation, the lower the grades, and the worse the family environment (p<.001). Finally, the mean score of accident-prone personality, the composition of the four sub-construc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ower grade and the worse of the family environment (p<.001). 5.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accident occurred more with male students and with the higher grades (p<.001). The more accident the child had, the better safety behaviors their parents took (p<.001). The more accident the child had, the higher degree the safety guidance parents took (p<.001). The more accident the child had during the past year, the higher rate the students were who had in receiving safety-related education that means the concept of guidance on safety (p<.001).-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4 C. 연구문제 5 D. 용어의 정의 6 E. 연구의 제한점 8 Ⅱ. 이론적 배경 9 A. 어린이와 사고발생 9 B. 어린이와 사고경향 성격특성 16 Ⅲ. 연구 방법 26 A. 연구설계 26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7 C. 측정도구 29 D. 자료 분석 방법 33 Ⅳ. 연구결과 및 고찰 34 A. 연구대상자의 특성 34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4 2. 연구 대상자의 사고 발생 특성 36 3. 연구 대상자의 사고경향성 40 4. 연구 대상자의 안전관심도 특성 40 5. 연구대상자의 안전교육 경험 특성 43 B.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사고경향성 간의 관련성 45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고경향성 차이 45 C. 연구대상자의 특성과 사고발생 여부 간의 관련성 49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고경험 49 2. 사고 유경험자와 무경험자 간의 사고경향성 차이 51 3. 사고유경험자와 무경험자간의 안전관심도 및 교육경험 차이 52 D. 연구대상자의 사고발생과 관련된 사고경향성 55 Ⅴ. 결론 및 제언 57 참고문헌 60 [부록] 설문지 70 Abstract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14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초등학생의 사고발생과 관련된 사고경향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ccident Proneness associated with injury experiences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Kim, Sun Yeon-
dc.format.pageix,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보건교육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