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2 Download: 0

도시 중산층 주부의 스트레스에 관한 일 연구

Title
도시 중산층 주부의 스트레스에 관한 일 연구
Other Titles
Work Study on the Stress of Urban Middle Class Housewives
Authors
제갈정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도시중산층주부 스트레스도시 주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동원
Abstract
한국사회의 급격한 경제성장과 도시화, 산업화는 농경사회에 뿌리를 둔 전통적인 대가족제도를 핵가족형태로 변화시켰다. 이러한 가족형태의 변화는 산업화와 함께 가정에서의 여성의 역할을 축소시켰으며, 이는 여성 - 특히 기혼여성들의 경제활동참가율의 증가와 함께 가정에 머무르고 있는 주부에게 소외감, 좌절감 등의 갈등을 야기시켰다. 이러한 현상은 자녀양육부담에서 벗어나는 막내 자녀의 국민학교 취학이후에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부의 문제에 촛점을 맞추고 우리나라 도시 주부의 스트레스는 어느 정도이며 주부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는 취업하지 않은 유배우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535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조사대상 주부의 스트레스 정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 주부를 대학의 평생교육원에 다니고 있는 주부와 그렇지 않은 주부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는데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세째, 주부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 부부관계, 자녀관계, 시댁관계, 친정관계, 경제적 긴장, 연령, 교육수준, 자녀수, 평생교육원 참가여부 중 부부관계, 시댁관계, 자녀관계, 경제적 긴장의 4개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첫번째 예측변인이 부부관계에 만족할수록 주부의 스트레스는 낮아지는데, 특히, 부부간의 애정정도와 성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주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번째 예측변인은 시댁관계로 시댁관계에서의 의견충돌이나 불화가 적을수록 스트레스는 낮으며 친정과의 관계는 주부 스트레스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부 스트레스의 세번째 예측변인은 경제적 긴장으로 경제적 부담이나 긴장이 적을수록 주부 스트레스는 낮아지는데 이 경제적 긴장에서도 자녀교육비용이나 생활비 등의 정기적인 지출보다는 투자, 사기로 인한 금전상의 손실이 오히려 주부 스트레스에 주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부 스트레스의 네번째 예측변인은 자녀관계이며 자녀관계에서의 고민이나 충돌이 적을수록 스트레스는 낮아진다. 자녀관계 중 자녀의 진학문제가 주부에게 주는 부담은 큰 것으로 나타나지만 주부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는 자녀와의 의견충돌이나 친구문제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연령, 교육수준, 자녀수는 주부 스트레스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부 스트레스는 부부관계에서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시댁관계에서의 충돌이나 불화가 적을수록, 경제적 긴장이 적을수록, 자녀관계에서의 고민이나 충돌이 적을수록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The sudden economy growth,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Korean society changed the traditional large-family system which made root in the farming society into the nuclear family form. The change of this family form reduced the female role at home, with the industrialization. And, this aroused the conflict such as sense of alienation and frustration etc. to the housewives who are staying at home, with the increase of participation rate of economy activity of females - especially married females. It is expected that this phenomenon will appear remarkably after the youngest child entered the primary school when females get out of the burden of children fostering.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se problems of housewives and to grasp what is the factor which has influence on the stress of housewives and how is the stress degree attendant on stress type. The method of study was made by using the structuralized questionnaire on the married females who are residing at Seoul and who don't set about work and who have spouse, and 535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 clarifi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emerged that the stress degree of housewives of this examination subject is low relatively. Second, this researcher verified the difference of stress degree by classifying the housewives who are examination subject into two groups such as the housewives who attend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of University and the housewives who don't attend it. Then,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n't found. Third, it emerged that 4 variable factors such as rel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relation of the esteemed house of the father-in-law, relation of children, and economic strain have influence, among the rel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relation of children, relation of the esteemed house of the father-in-law, maiden house relation, economic strain, age, education level, number of children, and whether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or not which were forecast as what we will have influence on the stress of housewives. Among these, first variable factor of forecast is the rel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according as the housewives were satisfied with the rel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stress of housewife became low. 'Then, it emerged that the influence that the affection degree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the satisfaction degree about sex life have on the stress of housewife is big. Second variable factor of forecast is the relation of the esteemed house of the father-in-law. Then, it emerged that the lower the stress is, and that maiden house relation doesn't have influence on the stress of housewife almost. The third variable factor of forecast of the stress of housewives is the economic strain. And, the smaller the economic burden and strain is, the lower the stress of housewife is. Then, in this economic strain also, it emerged that the influence that the loss of money due to investment and fraud rather than the regular expenditure such as the school expenses or living expenses etc. for children has on the stress of housewife is big. The fourth variable factor of forecast of the stress of housewives is the relation of children. And the smaller the agony or conflict in the relation of children is, the lower the stress is. In the children relation, it emerged that the burden that the issue of entrance into a school of higher grade of children gives to housewives is big. But, it emerged the correlation with housewife stress is lower than the conflict of view with children or the friend program. However, it emerged that age, education level and children number don't have influence on the stress of house-wives almost.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degree in the relation of husband and wife is, the smaller the conflict or discord in the relation of the esteemed house of the father-in-law, the smaller the economic strain is, the smaller the agony or conflict in the children relation, the lower the stress of housewives becom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