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한주-
dc.creator이한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3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9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9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931-
dc.description.abstract근대 교육 사조는 개인 차를 인정한 개별화 학습에 강조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경향은 국민학교에서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므로 그러한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료들이 요구되고 학생들 스스로 정보를 검색 할 수 있어야 한다(Smith, 1993). 이는 학교 미디어 센터 이용에 관한 미디어 스킬의 개념을 단순히 미디어 센터를 이용할 줄 아는 기술에서부터 다양한 자료, 정보와 연결시켜 스스로 학습 할 수 있는 능력이라는 것으로 볼 때 미디어 스킬 교육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서 본 연구는 미디어 스킬을 교육함에 있어 세가지 교수 프로그램 형태중 어떤 교수 프로그램 형태가 자료 이용 능력 및 정보 이용 능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인가를 비교 실험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실제로 국민학교 3학년의 경우 어떤 형태의 교육이 미디어 스킬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나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의 A사립 국민학교 3학년 6학급을 대상으로 하여 13주에 걸쳐서 세 가지 교수 프로그램 형태로 미디어 스킬 교육을 실시하였다. 즉, 한 집단은 미디어 센터 이용 안내서를 주고 미디어 전문가가 교육을 하였고, 또 한 집단은 미디어 센터 이용 안내서를 주지 않고 미디어 전문가가 교육을 하였으며, 나머지 한 집단은 미디어 센터 이용 안내서만을 주었다. 실험 도구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미디어 센터 이용 안내서와 미디어 스킬 검사지로 세 집단의 출발 전 행동에서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실험 후의 세 집단의 자료 이용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정보 도구를 이용하고 그 도구에서 얻은 정보를 이용하는 능력을 측정해 보기 위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하여 평가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료 이용 능력의 비교에서 미디어 센터 이용 안내서를 주고 미디어 전문가가 교육한 집단이 미디어 센터 이용 안내서를 주지 않고 미디어 전문가가 교육한 집단과, 미디어 센터 이용 안내서만 준 집단 보다 우수했다(P=0.031, P<.05). 2. 미디어의 센터 개념 이해와 이용기술 능력에 관한 결과 미디어 센터 이용 안내서만 준 집단이 미디어 센터 이용 안내서를 주고 미디어 전문가가 교육한 집단과 미디어 센터 이용 안내서를 주지 않고 미디어 전문가가 교육한 집단 보다 우수했다. 3. 참고 자료 이용과 조사 연구 능력의 검사 결과 미디어 센터 이용 안내서를 주고 미디어 전문가가 교육한 집단이 미디어 센터 이용 안내서를 주지 않고 미디어 전문가가 교육 한 집단과 미디어 센터 이용 안내서만 준 집단 보다 우수했다(P=0.009, P<.05). 4. 시청각 기재 조작 및 제작 능력에 관한 검사 결과 미디어 센터 이용 안내서를 주고 미디어 전문가가 교육한 집단이 미디어 센터 이용 안내서를 주지 않고 미디어 전문가가 교육한 집단과 미디어 센터 이용 안내서만 준 집단보다 우수했다(P=0.009, P<.05). 5. 정보 이용 능력에 관한 검사결과 미디어 센터 이용 안내서를 주지 않고 미디어 전문가가 교육한 집단이 미디어 센터 이용 안내서를 주고 미디어 전문가가 교육한 집단과 미디어 센터 이용 안내서만 준 집단 보다 우수했다. 6. 미디어 스킬 교수 프로그램 형태에 따른 자료 이용 능력과 정보 이용 능력 간에는 상관 관계가 성립되지 않았다(r=0.2).;The purpose of this study compared and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ree media skill instruction types on 3rd graders in the use of general media skills and information skills. Type A : media center user's manual + lecture by media specialist. Type B : lecture by media specialist based on user's manual. Type C : media center user's manual. The hypotheses of the study were: 1. Type A will be more effective than type B in the use of general media skills and information skills. 2. Type A will be more effective than type C in the use of general media skills and information skills. 3. Type B will be more effective than type C in the use of general media skills and information skills. For the development of media skills goals, applied from The library media program : A Maryland curriculum framework by Moms (1992) For the development of media center user's manual, Library Skill for Primary Grades by Pollette(1973) were applied. The media skill test, the library-classroom partnership by Jweid and Rizzo(1988) were applied.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21 students in A Elementary School in Seoul. Pretest was administrated prior to the start of the experiment instruction. Post test was given after 2 weeks of the experiment instruction, and writing report was during 3 weeks after the experiment instruction. The data were analysed in terms of a t-test and oneway ANOVA for difference between means. The result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ults showed that type A group was superior than type B and C group. Therefore, type A more effective than type B and C in the use of general media skills. 2. The results showed that type B group was superior than type A group. Therefore, type B more effective than type A in the use of information skills. 3. The results showed that type A group was superior than type C group. Therefore, type A more effective than type C in the use of information skills. 4. The results showed that type B group was superior than type C group. Therefore, type B more effective than type C in the use of information skil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4 D.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미디어 스킬 교육의 역사적 고찰 = 6 B. 미디어 스킬 교육의 실제 = 14 1. 미디어 스킬 교육 프로그램 = 14 2. 미디어 스킬 교육 사례 = 21 (1) Whitewater Unified School District = 21 (2) Northeastern Ohio (Springfield) Local School District = 22 (3) New York State = 24 (4) University of California - Berkeley = 25 Ⅲ. 미디어 스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27 A. 계획 및 설계 = 27 B. 개발 및 평가 = 29 Ⅳ. 현장 적용 실험 = 41 A. 연구문제 및 가설 = 41 B. 연구 방법 및 절차 = 42 C. 연구 결과 및 분석 = 47 D. 논의 = 55 Ⅴ. 결론 및 제언 = 57 참고문헌 = 60 부록 = 66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948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미디어-
dc.subject스킬-
dc.subject교수프로그램-
dc.subject자료이용-
dc.subject정보이용-
dc.subject교육공학-
dc.title미디어 스킬 교수 프로그램 형태에 따른 자료 이용 능력 및 정보 이용 능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국민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THE)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MEDIA SKILL INSTRUCTION TYPES IN THE USE OF GENERAL MEDIA SKILLS AND INFORMATION SKILLS :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dc.format.pageviii,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공학분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