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1 Download: 0

교과서의 성역할에 대한 지각과 일반적 성역할 인식과의 관계 양상

Title
교과서의 성역할에 대한 지각과 일반적 성역할 인식과의 관계 양상
Other Titles
(The) corelation of the Perception of the sex role controlling textbook : with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ordinary sex role
Authors
이채현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과정분야
Keywords
교과서성역할sex role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경원
Abstract
This thesis intend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that the sex discrimination and the sex role controlling textbook will have influence on the students'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ordinary sex role. The precedent studies of the sex role controlling textbook would be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ntents and illustrations of the textbook would reflect the sexual inequality, and such a textbook would influence the students greatly. But, while the assumption was very abstract, the practical study of real aspects of the students's receiving the contents of the sex discrimination controlling textbook, and the study of the possibility of the contents' influencing the students'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ordinary sex role, which was slow in progress. Presenting the problem as is stated above, I treated three subjects as follows. Firstly, how the students perceived the sex discrimination and the sex role controlling textbook? Secondly? how the students understood the ordinary sex role generally? Thirdly, how the perception of the sex role controlling textbook correlated with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ordinary sex role? I set about my work distributing questionnaires among 283 male and female liberal high schoolers in the 2nd grade. There were two kinds of questionnaires: the one was composed of the items framed on the ground of the precedent studies on the analysis of the sex role, the other was composed of the items for surveying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ordinary sex role.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the sex role were classified into four aspects: domestic sex role, social sex role, fixed idea of the sex connected to a soci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and to a intelectual characteristic. The outcome of the study told some facts as follows. Firstly, most students showed a response that they perceived remarkably the contents of the discriminative sex role controlling texbook. This response was showed most highly at the item of domestic sex role. According to sex distinction, femal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perceived the contents of the sex discrimination controlling textbook more intensely than male students. Secondly, in the aspect of the students'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ordinary sex role, it is proved that they understood the equal sex role, and especially at the item of social sex role they did. According to sex distinction, femal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understood more equal sex role than male students did. Thirdly, there was no correlation of the perception of the contents of the sex discrimination and the fixed sex role controlling textbook with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ordinary sex role. That is to say, it is prov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sex discrimination and the fixed sex role controlling textbook did not have influence on the students'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ordinary sex role.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which reflected the fixed sex role a great deal cannot have influence on the ever-changing understanding of the sex role.;본 논문은 교과서에 나타난 성차별 및 성역할 내용이 학생들의 성역할 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교과서의 성역할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교과서에서 다루어진 내용과 삽화가 성적 불평등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곧 학생들에게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을 전제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과서의 성차별과 성불평등 내용이 학생들의 성역할 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은 연구자의 가정이었을 뿐 실제 학생들이 교과서의 성차별 내용을 어떻게 받아 들이고 있는지, 나아가 그 내용이 학생들의 일반적인 성역할 인식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진척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본 논문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성차별 및 성역할 내용을 학생들은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가? 둘째, 학생들의 일반적 성역할 인식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교과서의 성역할에 대한 지각과 일반적 성역할 인식과의 관계 양상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남녀학생 28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2종류로 교과서의 성역할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작성된 문항과 일반적 성역할 인식 측정을 위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성역할의 하위변인으로는 가정적 성역할, 사회적 성역할, 사회심리적 특질과 관련된 성고정관념, 지적 특질과 관련된 성고정관념의 네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의 학생들은 교과서의 성차별적인 성역할 내용을 현저히 지각한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영역별로는 특히 가정적 성역할에 대한 문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교과서의 성차별적 내용을 더 강하게 지각하고 있다고 반응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일반적 성역할 인식에 있어서 남녀평등한 성역할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특히 사회적 성역할에 대한 문항에서 남녀평등한 성역할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더 평등한 성역할 인식을 갖고 있다고 반응하였다. 세째, 교과서의 성차별 및 성고정적 역할 내용에 대한 지각과 일반적 성역할 인식과의 사이에 상관관계는 없었다. 즉 교과서의 성차별 및 성고정화된 역할에 대한 학생들의 지각이 그들의 일반적 성역할 인식 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성차별적, 성고정화된 역할을 많이 반영하고 있는 교과서 내용이 학생들의 변화하는 남녀역할 인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함을 의미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