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8 Download: 0

영재교육기관에 대한 영재학생의 인식조사

Title
영재교육기관에 대한 영재학생의 인식조사
Other Titles
System of Science Education Institution for the gifted student's recognition: Science·Mathematics gifted educational institution
Authors
윤희진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Korea, educational policy for gifted children has been positively supported by the related ministry and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alented children also operat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onforming to the self-governing system in education. In other words, in terms of educational policy for brilliant children local autonomy has been operating it, according to discretionary rule without strong engagement of central administration. This policy decision and proceeding system might be ascribed to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classes for gifted children. Especially due to fierce competitions between educational institutions, built by Universities and administe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re are actually no differences in admission process to those facilities and their educational programs, even though thes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alented children) could execute each characteristic program, operated by Universities and administe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se circumstances (conditions) would be one of the obstacles in promoting a variety of and differentiated educational program that more gifted children in science could enjoy. Now they have planned to expand the beneficiaries for the training continuously, from the current, 0.36% to 1.0%. For this, through the appropriate systematization of inter-classes, schools and institutions, it needs to be established the proper criteria to discriminate the right beneficiaries and to procure the differentiated educational programs to develop those genius' talent and specialized faculties with outstanding expertise on this field. With the above mentioned study objective, we have collected the necessary data from the related institutions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each educational program with these data and researched how students in Korea Science Academy understand educational program they receive and admission process to related institute and relationship by grade and institution. We hope this study could be of help to establish even more efficient and positive educational administrative system for Science-talented students and to support more activated training. The followings are the objectives for the above mentioned studies; 1. Is the admission test for each science institute suitable to recognize students' genius specificity? 2. Are each Science Academy's teaching methods appropriate for the related students? 3. Does scientific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have any linkage in selection procedure, study contents and training environments by grades and institutions? To pursue this study, we have extracted three factors from the aspects of selection procedure, educational program and stage-by-stage institutional connection, through documentary researches, precedence investigation, as well as data analysis for the institutions concerned. First, as the primary factors to read up on the selection procedure of Science Academy for Genius, we have considered whether they applied for the admission examinations and if any, how many times they applied, which are the examination subjects, and how they prepared for those tests. As the subordinate factors to compare education methods for talented children, we have carried on a variety of studies, covering lectures, research, test study, discussion, problem solving, cyber discussion, personal research, group research, site research, game, practice & memorization, teaching on a one to one basis, etc. For the studies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institutes, we took into account diversity of selection procedure, learning environment, exchange of educational aids, human exchange and connection of teaching contents, Etc. With these subordinate factors, we have executed the investigations on the actual conditions by institution and questionnaire researches simultaneously. For the actual condition researches, we selected a 154 population of Korea Science Academy students, and analyzed the collected statistics,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1.5 program. As a analysis tools, a frequency, a percentage calculation, , χ2(Chi-square) verification, frequency analysis, t-test(inspection), and one-way ANOVA have been implemented. For the post-inspection, Scheffe was executed.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below. First, most institutions for brilliant children have been using various selection tools, and among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s are tests of creative-problem-solving-ability, genius behaviors or products, and self-developed evaluations. Second, in the aspect of educational methods, most students was recognizing that genius institu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is the best in lectures, research, test study, discussion, problem solving, cyber discussion, personal research, group research, site research, game, practice & memorization, teaching on a one to one basis. And for the problem solving field, genius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lastly for the area of game, for elementary school are top-ranked, respectively. And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from genius institute operated by Universities is much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completed the course of special education supported by Ministry of Education Third, in regards with inter-institutional connection by grade, genius institu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ranked first in the area of educational environment, whether or not carrying out creative programs, the variety of selection procedure, personal and material exchanges and connection in teaching contents. In this area, Genius training institute operated by University also got higher marks. If the purpose of discriminating the genius is to identify the potentials of students and to provide the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 current practice needs to be altered and establish nationally or at least locally monitored system and organization for the right distinction of genius. Furthermore, each institute for gifted children ought to be interrelated step by step and differentiated by its properties.;한국의 영재교육정책은 관련 부처가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교육인적자원부 산하의 영재교육기관에 대해서는 교육자치제에 부합되도록 운영되고 있다. 즉, 중앙행정부의 정책결정을 강력히 추진하도록 요구하지 않고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자율적으로 집행하고 있다. 이런 정책 결정 및 추진체제 때문인지 영재 실시 학교급간 및 영재교육기관 간에 연계성이 부족하다. 특히 대학부설 영재교육원과 교육청 영재교육원은 각각의 기관별 특성을 살려 보다 효과적인 영재교육이 실시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쟁관계로 의식하고 선발과 프로그램에 있어서 차별성을 갖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은 가능한 한 더욱 많은 과학영재들이 다양하고 차별화된 영재교육기관의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활성화하는데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현재 영재교육 대상은 0.36%에서 1%까지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영재교육기관 간, 영재교육실시 학교급간에 체제화가 이루어져 참 영재를 판별하는데 적절한 판별 준거가 수립되고 영재성을 계발할 수 있는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 영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가진 전문교사가 확보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영재교육기관별로 선발, 프로그램의 차이를 각 영재교육기관의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고 과학․수학 영재아들이 재학 중인 한국과학영재고등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재교육의 선발, 교육내용, 학년별, 영재교육기관별 연계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과학․수학 영재아를 위한 보다 효율적이고 적극적인 영재교육행정 체계 수립과 영재교육 활성화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위의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과학ㆍ수학영재교육기관의 학년별, 기관별로 1. 선발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어떠한가? 2. 학습 환경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어떠한가? 3. 교수방법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 및 기관에 관한 자료 분석을 통하여 과학․수학영재의 선발측면, 프로그램 측면, 기관의 연계성 측면에 관한 요인을 추출하였다. 과학ㆍ수학영재교육기관의 선발 측면을 알아보기 위한 요인으로는 영재교육기관의 선발도구, 선발절차, 선발방법, 선발시험 응시여부, 응시횟수, 시험 과목, 준비학습 등이다. 과학ㆍ수학영재교육 교수방법을 비교하기 위한 하위요인으로는 강의, 탐구수업, 실험수업, 토론, 문제풀이, 사이버 토론, 개인연구, 집단연구, 현장연구, 게임, 연습과 암기, 1대 1수업 등이다. 학년별, 기관별 연계성 측면의 하위요소로는 선발의 다양성, 학습환경, 기자재의 교류, 인적교류, 교육내용의 연계성 등이다. 이와 같은 하위요인들을 가지고 기관별 실태 조사와 설문지 조사를 병행하였다. 실태조사는 기관별로 선발과 프로그램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고 설문조사는 한국과학영재학교 재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통계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 χ2(Chi-square) 검증과 빈도분석,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증으로는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ㆍ수학영재교육기관의 선발은 기관별로 다양한 선발도구를 사용하여 선발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선발 도구로는 창의적 문제해결력검사, 영재성행동이나 산출물, 자체제작 된 평가지를 들 수 있다. 그러나 객관식과 단답형의 1차 지필고사가 영재선발의 중요 변수로 작용하기 때문에 ‘과학ㆍ수학의 참 영재’를 선발하기에는 선발 도구의 문제가 있다. 둘째, 초ㆍ중등 과학ㆍ수학영재교육원의 교수방법에 대하여 학생들은 강의와 탐구수업, 실험수업, 토론, 개인연구, 집단연구, 현장연구, 연습과 암기, 1대1수업 분야는 고등학교의 영재교육원이 가장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문제풀이 분야는 중학교의 영재교육원이, 게임 분야는 초등학교의 영재교육원이 가장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대학부설과 교육청 영재교육원의 교수방법에 대해서는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수료 학생이 더 영재교육의 특성에 적합한 교수방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과학ㆍ수학영재교육원의 학년별 연계성에 대해서는 학습 환경, 창의성 프로그램 실행 여부, 선발의 다양성, 인적 물적 교류, 교육내용의 연계성 측면에서 고등학교 영재교육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재교육기관별로는 학습 환경, 영재교육원간의 교류, 물적 교류, 교육내용의 연계성 측면에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수료 경험이 있는 학생이 높은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과학ㆍ수학영재를 판별하는데 있어 선발 위주의 관행에서 벗어나 분야에 관한 영재성의 개념, 정의, 영재교육 기관의 교육 목적을 분명히 하고 이에 적절한 영재판별 도구와 절차가 결정되어야 한다. 무엇이 분야별 영재의 기본 요인을 형성하고 있으며 영재들의 공통적인 속성은 무엇이고 영재 혹은 영재성이란 단어를 구사할 수 있는 개념적 조건이 무엇인가 등과 같은 영재 혹은 영재성의 정의가 영재판별의 요소와 도구를 결정하는 관건이 되며 또한 특정 영재교육기관이 왜,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에 따라 영재 판별의 절차나 도구는 달라질 수 있다. 둘째, 과학ㆍ수학영재교육원의 교육내용은 일반 학교의 교육내용과 달리 고차적 사고 능력(논리력, 비판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등)과 새로운 문제에 대한 도전의식을 가질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교수방법에 있어서도 강의식을 지양하고 학생들의 직접 참여하고 수업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실험중심, 탐구중심, 문제해결 중심 수업과 토론과 발표 위주로 하는 수업이 강조되어야 한다. 또한 개별 맞춤식 1:1수업이나 자기주도적 학습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셋째, 과학ㆍ수학영재교육기관의 연계성에 대해서는 기관별 특성화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학교급을 달리해서 교육청 영재교육원은 주로 초등학생을 맡고,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은 주로 중학생을 담당하게 하는 방안이다. 다음으로 프로그램의 수준을 달리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교육청에서 영재교육대상자를 우선 선발하여 교육하다가 학생별로 심화 사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으로 추천하는 방법이다. 끝으로 양 교육기관이 공동으로 운영하되 영재 판별의 업무는 교육청 영재교육원이 담당하고 프로그램 개발 및 교원연수, 기자재 활용은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이 담당하는 방법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