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평생교육관점에서 본 초등교사의 자기개발 요구분석

Title
평생교육관점에서 본 초등교사의 자기개발 요구분석
Other Titles
Assessment of the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Self-Development from a Lifelong-Education Perspective : the case of the need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intraschool lifelong learning in Gyeonggi province
Authors
박인희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eachers are concerned about self-development in pursuit of better professionalism or self-realization, and sometimes they pay a visit to lifelong-education institutions to address their needs for that. However, lifelong-education programs are mostly conducted in the daytime, which makes it hard for them to participate in a variety of relevant programs. Moremore, good programs that could exactly meet their needs are difficult to find. Heavy workload, ensuing fatigue and time constraints usually force them not to direct their energy into lifelong learning and self-development after work. Intraschool lifelong learning should be boosted to help improve their role performance and to satisfy their needs for self-development, as they have to play diverse roles to keep up with the times. In order to further intraschool lifelong learning, the needs of learners, their area of interest and the demands of society should accurately be grasped above all, and needs analysis is consequently one of the prerequisites for successful intraschool lifelong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examine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in intraschool lifelong-learning programs and their relevant needs and to seek ways to dynamize this kind of learning. Questionnaire method was adopted, and the instrument used in the study was prepared by modifying what's extracted from questionnaires used in earlier studies through the help of a lifelong-education exper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00 teachers at 30 schools that were under the umbrella of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s of 2006. The schools were selected from four different geographic regions that represented four service areas for teacher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410 teacher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lifelong-learning programs, the teachers investigated found their profession to interfere with their lifelong learning. They took part in intraschool lifelong-learning programs to reinvent themselves, to get an update on the teaching profession and eventually to enhance their expertise. Heavy workload and time constraints were singled out as what made them stay away from intraschool lifelong learning the most. Second, regarding their needs for intraschool lifelong-learning programs, many of the teachers wanted to participate in those programs. Specifically, those who had ever taken part in any of those programs were more willing to do that in the future. As to the time, frequency and management of those programs, they preferred to take practical courses in the afternoon on weekdays after school and once a week. Concerning tuition, the largest percentage of the teachers thought that trainees and school should split it, and those who had ever participated in any of lifelong-learning programs agreed more to that. As to lecturers, external specialists were preferred. In regard to their opinion on studying with parents and local residents, those who wanted to do that outnumbered a little the others who didn't, but the latter was many in number, though. College-affiliated lifelong education centers were most preferred as a place where they wanted to receive education outside school. As for the greatest benefit of intraschool lifelong learning, they perceived that they could spend less time on it. Third, concerning how to boost lifelong learning,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programs with teachers from adjacent schools, and what mattered the most was diversifying and expanding educational facilities. As to their demand for the government, they called on the government to supply educational programs in response to their needs first of all. It signified that the development of good programs was the most pressing task to be handled. As discussed above, many of the teachers hoped to participate in intraschool lifelong-learning programs at any opportunity available. Nonetheless, just half them had ever taken part in those programs. The poor given conditions, like a lack of programs or school facilities, didn't allow them to do that, and the government and relevant organizations should take supportive measures to turn around their personal,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circumstances. In order to make intraschool lifelong learning widesprea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idered it important for them to be actually benefited by that. Therefore a more workable system should be created to ensure the success of intraschool lifelong-learning programs. Since teachers have to take time to do lifelong learning, their weekly teaching load and heavy workload should gradually be scaled back to encourage them to pursue self-development and higher professionalism. A major change in the teaching community, which is initiated by the introduction of teacher evaluation, denotes that teachers shouldn't rest on their laurels. They should put perpetual efforts into reinventing themselves by taking advantage of every lifelong-learning opportunity available at school and in local community. In addition, there should be dynamic attempts to eliminate personal,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barriers to intraschool lifelong learning, and every learning resource available should be employed to extend their accessibility to lifelong learning, to let them get used to that and finally to turn each school into an efficient learning organization.;교사들은 자아실현이나 교직전문성 향상을 위해 자기개발에 관심을 갖고 관 심사를 해결해 줄 수 있는 평생교육기관을 활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 등이 낮 시간대에 이뤄지고 있어 다양한 평생학습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어렵고, 교육받기 원하는 프로그램을 찾기도 힘들다. 또한 업무과다로 인한 피로와 시간부족 등의 이유로 퇴근 후 자기개발을 위한 평생학습활동실시에 어려움을 갖고 평생학습활동을 마음처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교사들이 생활하는 공간과 시간을 활용하여 좀 더 쉽게, 효율적으로 평생학습활동을 함으로써 사회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요구하는 교사의 역할수행에 도움이 되고, 평생학습시대에서 자기개발 욕구도 충족시키는 방법으로 교내 평생학습활동의 활성화에 관심을 돌릴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교내 평생학습활동을 실시하려면 학습자의 요구와 관련된 흥미, 사회체제의 요구, 학습자의 진정한 요구를 알아내어 충족시켜야 하므로 요구분석의 과정이 체계적인 절차로 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평생학습활동에 대한 교사의 참여실태를 분석하고 교내 평생학습활동의 요구와 나아가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질문지법에 의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고 사용된 검사도구는 선행연구들에서 활용한 문항들을 분석하여 발췌한 후 평생교육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수정․보완해 제작하였다. 설문조사는 2006년 경기도 교육청의 교사 근무지별 구분인 특, 갑, 을, 병 지역으로 나누어 각각 특, 갑, 을, 병 지역에 소재한 총 30개교의 500명의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들 중 410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평생학습활동 참여실태를 살펴보면 직업때문에 평생학습활동의 참여에 제약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교내 평생학습활동에 참여하는 동기를 교사들은 자신의 능력개발과 교직에 대한 새로운 지식습득 등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라고 인식하였다. 교내 평생학습활동의 참여제한요인으로 과중한 업무와 시간 부족이 가장 컸다. 또한 이전에 평생학습활동에 참여한 교사보다 참여하지 않은 교사의 경우 학습활동 참여에 더 높은 제한을 받는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초등교사의 교내 평생학습활동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면 향후 교내 평생학습활동 참여를 원하는 교사의 비율이 높았는데 그 중에서도 이전에 평생학습활동 참여경험이 있었던 교사가 향후 평생학습활동에도 높은 참여의사를 나타내었다. 평생학습활동 프로그램 희망 운영시간대는 ‘방과 후인 평일 오후, 실시빈도는 ‘주 1회, 운영방식으로는 ‘실기 실습 위주’를 선호하고 있었다. 수강료 부담은 ‘수강자와 학교 공동 부담’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참여경험이 있었던 교사들이 이 의견에 동의하는 응답비율이 높았다. 적절한 강사로는 전문외래강사를 더 선호하였다. 학습자인 학부모, 지역주민과 동반 참여의사를 묻는 설문에 ‘참여하고 싶다’라는 긍정적 응답이 ‘참여하고 싶지 않다’는 부정적 응답에 비해 다소 높았으나 부정적 응답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교육받고 싶은 외부 평생학습기관으로는 ‘대학부설의 평생교육원’을 가장 선호하였다. 또한 교내에서 평생학습활동이 이뤄질 경우 타 기관과 비교한 장점 중 1순위는 ‘시간활용이 유리’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내 평생학습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교사들은 주위 학교 교사들과 연계한 프로그램의 참여를 원하고 있었으며 우선 확립되어야 할 방안으로 가장 시급한 사항이 교육시설의 다양화 및 확충으로 인식하였다. 평생학습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부방안의 1순위는 ‘교사의 요구가 반영된 교육프로그램 개발, 운영’으로 인식하여 적절한 프로그램 개발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기회가 되면 교내 평생학습활동에 참여하고 싶다는 교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학교의 여러 여건과 교사 개인적인 이유로 실제 교내 평생학습활동에 참여해 본 교사는 절반 밖에 되지 않으며, 이 또한 프로그램의 부족이나 학교시설 및 공간의 부족으로 실시하는 여건이 좋지 않아 참여에 제한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개인적 차원의 제한요인, 제도 및 구조적 차원의 제한요인, 상황적 차원의 제한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부와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초등교사는 교내 평생학습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참여교사의 실질적 혜택 마련을 우선순위로 인식하고 있으므로 교내 평생학습활동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평생학습활동은 교사입장에서는 추가로 시간 부담을 해야 하므로 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기개발활동 시간을 확보해 주기 위해 주당 수업시수와 과중한 업무처리 등을 지속적으로 줄여가는 제도적 지원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의 질적 변화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대적 변화는 교사가 현실에 안주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교와 지역사회 속에서 학습할 수 있는 평생학습활동의 기회를 최대한 마련하여 교사의 개인적 발달과 전문적 발달을 위해 자기개발활동에 참여하는 열의와 관심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평생학습활동의 기회 확대와 더불어 양질의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한 행․재정적 여건 조성이 요구된다. 또한 교내 평생학습활동을 가로막는 개인적 차원의 장벽, 제도 및 구조적 차원의 장벽, 상황적 차원의 장벽을 찾아 해소하려는 노력이 요구되며 모든 학습자원을 활용하여 평생학습기회를 실질적으로 확대하여 교사로 하여금 학습하는 습관을 형성할 수 있게 하고, 교사가 근무하는 학교가 가르치는 장소뿐 아니라 학습하는 장소로 변화되는 학습조직화를 통해 교내 평생학습활동의 활성화를 추구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