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1 Download: 0

학교행정가의 직무수행능력 증진의 관점에서 본 교장자격연수에 대한 인식조사

Title
학교행정가의 직무수행능력 증진의 관점에서 본 교장자격연수에 대한 인식조사
Other Titles
The Perception of Principal-Training Programs in Terms of the Improvement of School Administrator Job Performance
Authors
남호정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현행 교장자격연수가 학교행정가의 능력과 자질함양에 있어 실제로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해 진단해보고, 그들의 직무수행능력을 증진하기 위해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교장자격연수에 대한 기대에서 출발하여 실제로 연수를 마친 후 연수 운영체제에 대한 인식, 성과에 대한 인식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인 수준과 배경변인별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개선을 위한 요구를 조사·분석하였다. 연수자들의 배경변인들로는 성, 근무처, 설립, 학교소재지, 교육경력, 출신, 최종학력, 연수를 받은 연도, 교사자격증 표시과목, 자격연수기관 등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연수자들의 현행 교장자격연수에 대한 기대수준은 어느 정도이며 각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기대의 차이가 있는가? 2. 교장자격연수의 운영체제에 대한 연수자들의 인식은 어떠하며 각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연수자들은 교장자격연수가 그들의 학교행정가로서의 리더십 발휘를 위한 핵심역량을 기르는 데에 어느 정도 도움을 주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배경변인에 따라 교장자격연수의 성과를 어떻게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가? 4. 현행 교장자격연수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요구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중 교장자격연수에 대한 기대 및 성과에 있어서 시간에 따른 기억의 감소를 감안하여 2005년과 2006년에 종합교육연수원에서 교장자격연수를 받은 초·중등 교장자격연수자(초등 477명, 중등 520명)와 2006년 3월 1일자 서울시 신규발령 교장(초등 62명, 중등 35명) 총 1094명 중 400명을 무선 표집하여 질문지를 배부하였다. 우편조사를 통해 회수된 질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 17부를 제외한 281부(70.3%)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2.0을 이용하여 연구문제별로 통계처리방법을 달리하였다. 교장자격연수의 운영체제와 성과 부분은 Likert 척도로 이루어진 문항들로 이들의 내적 일관성 검사를 위하여 Cronbach's Alpha 값을 사용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응답에 대한 기술통계와 집단 간의 차이 검증에 대해서는 T-test와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사후 검증의 하나인 Duncon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장자격연수자들은 현행 교장자격연수가 그들의 직무수행능력 증진에 있어 필요조건은 되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즉, 현행 교장자격연수는 학교행정가의 자질과 능력, 리더십의 함양을 위해 존재하는 양성과정 이어야하나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중에 절대적인 요소는 아니라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오히려 교장의 자질과 능력함양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직경력에서 오는 다양하고 풍부한 경험’, ‘개인 고유의 능력과 자기개발 노력’이라고 하였다. 또한, 설립구분·교육경력·학교소재지별로 교장자격연수에 대한 의미, 기대, 영향력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연수프로그램이 추구하는 학교장의 모습과 연수목적 및 방향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매우 잘 인지하고 있었다. 둘째, 교장자격연수의 운영체제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우선 연수기간에 대해 긍정과 부정의 응답이 비슷한 수준으로 대립하고 있었으며, 부정적인 응답을 한 자들의 19.2%가 최소 ‘6개월 이상’으로 연수기간을 늘려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연수과정에 있어서 교육내용을 구성할 때에 강조해야 할 지식기반으로는 ‘리더십 지식기반’, ‘인간관계적 지식기반’, ‘교육적 지식기반’, ‘행정적 지식기반’의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교장자격연수의 운영체제에 대한 항목별 만족도는 모든 측면에서 보통 이상의 만족을 나타냈고, ‘반편성 방법’ 및 ‘시설·환경’에 비해 ‘연수과목 시수’와 ‘평가방법’, ‘학습방법’, ‘연수교재’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다. 가장 만족도가 높았던 항목은 ‘시설·환경’ 측면이고, ‘연수과목 시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 밖에 ‘평가방법’에 대해선 교육경력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경력이 가장 짧은 25년 미만의 교장들이 다른 집단에 비해 만족도가 낮았다. ‘학습방법’에 대해서는 성별, 현재근무처, 교육경력, 출신별로 만족도의 차이가 있었으며, 그 밖에도 교장자격연수의 운영체제를 구성하는 여러 항목에서 다양한 배경변인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들 중 가장 자주 유의미한 차이를 만들어낸 배경변인은 교육경력, 현재근무처, 출신이고, 전혀 상관이 없었던 변인은 최종학력, 교장자격연수를 받은 연도, 교장자격연수의 종류(초등, 중등), 자격증 표시과목이었다. 셋째, 교장자격연수가 학교행정가의 직무수행능력 내지는 핵심역량을 기르는 데에 있어 어느 정도의 성과가 있었는지에 대한 분석결과로 응답자들은 9가지 영역의 핵심역량 중 학교경영능력, 교육철학의 확립, 학교조직에 대한 이해 및 학교계획 수립능력 순으로 능력이 함양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교육법 및 국가교육정책, 학교회계제도 부분의 성과는 비교적 낮게 인식했으며, 특히 학교경영능력이 가장 많이 함양되었다고 응답하였고, 가장 성과가 낮았다고 인식한 부분은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이었다. 배경변인별 상관성은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과 학교회계제도, 교육법·국가교육정책, 대외관리능력 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반면, 9가지 핵심역량 중 유일하게 교직원 인사관리능력은 어떠한 배경변인별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거의 모든 부분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만들어 낸 변인은 근무처별인데, 전체적으로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교장자격연수에 대한 성과의 인식이 평균보다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장자격연수의 개선을 위한 요구들로는 ‘인간관계 및 조직 관리능력을 키우기 위한 방법’으로 ‘모범적인 교육현장 사례를 활용하는 사례 중심 학습경영’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고 답하였으며, ‘학교 교육과정의 운영능력’에 있어서는 ‘학생, 교사, 학부모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렴하여 단위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하는 능력’을 가장 중시하였다. ‘학교장의 수업 리더십 향상을 위해 필요한 연수내용’으론 ‘교사들의 교수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다양한 조력기법 및 전략’이 가장 유용할 것으로 응답하였다. ‘현행 교장자격연수의 가장 시급한 문제점’에 대해선 ‘교육현장과 괴리된 서적과 이론 위주의 교육프로그램’, ‘연수생들의 성적을 서열화하는 상대평가 방식의 평가체제’, ‘연수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각종 학습 자료와 정보 자원의 부족’, ‘강사의 비효율적인 전달방법과 교수법 및 매체활용의 부족’ 순으로 응답했다. 제안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응답자들이 자유기입 한 것을 범주화 하여 빈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지적한 사항으로는 ‘연수기간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과 ‘선진국의 우수학교나 교육기관 등을 직접 방문하여 국제화 감각을 키워야 한다.’라는 의견이었고, 연수프로그램의 현장적합성 문제는 두 번째로 많이 지적한 사항이었다. 또 다른 제안 및 개선방안으로는 강사진, 연수시수, 평가방식, 연수환경 등에 관한 의견들과 연수기관의 다양화 방안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학교행정가의 직무수행능력증진을 위한 교장자격연수의 개선방향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장자격연수의 교육과정 편성은 학교행정가의 직무수행기준에 따라야 한다. 이를 위해선 타당하고 신뢰로운 직무기준개발이 선행되어야 하며, 학교행정가로서의 직무수행에 직결된 내용을 엄선하고 충분한 이수시간을 확보하여 이를 심도 있게 다룰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교장자격연수 기관을 독립화, 다원화하여 연수원 간의 경쟁과 협동을 유도함으로써 연수의 질적 향상과 운영체제의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연수전담기관으로서의 교장자격연수기관을 확대 운영하되 기업이나 대학과 연계하여 다양하고 내실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힘써야 하며, 세분화되고 탄력적인 운영체제에 있어 연수생들의 개인 변인(학교소재지, 설립구분, 교육경력, 출신 등)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셋째, 다른 분야에 비해 연수성과를 비교적 미흡하게 인식한 학교회계제도 및 예산편성·재정에 관한 능력과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 교육법 및 국가교육정책에 대한 이해와 집행능력 부분은 이 분야와 관련된 또는 이를 활용하는 직무수행능력의 함양을 위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교장자격연수는 교장으로서의 자격을 획득하기 위한 형식적인 절차가 아니라, 학교행정가로서의 직무수행능력을 개발하고 실용성을 체득하는 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며, 모든 운영체제 역시 이 같은 목표 하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함께 개선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육행정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관련된 신개념의 기술을 연수 프로그램에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교장자격연수과정에서도 전통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져오던 수업개선, 교육과정 운영, 학교평가 등의 영역 이외 비전설정과 학교문화의 개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학교행정가 집단에 있어서의 성비를 극복하고 학교행정가 임용 시 여성이 학교행정직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 등의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urrent principal- training programs geared toward producing certified principals contributed to fostering the competence and qualifications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It's meant to find out about the expectations of trainees for principal- training programs, their view of the management and outcome of those programs after being trained, the relationship of their background variables to their expectations and opinions, and their needs for better programs. The selected background variables included gender, depart- ment, type of school foundation, location, teacher career, former post, education, years of taking the training courses, subject for which they were certified, and institution where they took the training courses. A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expectations do trainees have for principal-training programs and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rainee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expectations for principal-training programs? 2.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rainee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view of the management of principal-training programs? 3. What is the effect of principal-training programs on the core capability of trainees as a school administrator, namely their leadership and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rainees concern the outcome of principal-training programs? 4. What improvements do they think should be made about current principal-training program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0 people who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from 1,094 teachers and newly-appointed principals. The teachers completed training courses at a general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to be qualified for the position of principal, and included 477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520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principals who involved 62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and 35 secondary school principals were appointed to that post in Seoul as of March 1, 2006.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281 participants(70.3%) were analyzed except 17 incomplete ones. For data handl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2.0 program was employed, and different statistical methods were utiliz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acquire descriptive statistical data and to look for any possible intergroup gap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 trainees just viewed taking existing principal-training courses as one of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enhancement of job performance, not as a sufficient condition. Instead, they singled out diverse and ample experience based on longtime teacher career, individual ability and efforts for self-development as the elements that had the most impact on the qualification and competence of principals. The type of school foundation, their teacher career and school location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opinion on the meaning and influence of principal-training programs and to their relevant expectations. Second, as for their perception of the management of principal-training programs, the rates of those who looked at training term in a positive and negative way were similar. 19.2 percent of the trainees who saw it negatively thought that training term should be extended. As to what knowledge base should be accentuated in preparing training courses, leadership knowledge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followed by inter- personal knowledge, educational knowledge and administrative knowledge.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the management of principal-training programs was above the average in every regard. They were quite pleased with grouping, training facilities and environments, but they found the number of class by subject, evaluation, learning method and textbooks less satisfactory. Third, regarding the effect of principal-training programs on the job performance of school administrators, those programs were considered to be most effective in elevating the managerial competence of principals and in having them build their educational philosophy, followed by understanding of school organization and planning competence. Yet those programs had a relatively less effect on their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law, national policies and school accounting system. Those programs made the greatest contribution to fostering their managerial ability, and had the least impact on their information literacy. Finally, concerning their needs for principal-training programs, they found case-centered learning, which referred to introducing exemplary teaching cases, to work the best on furthering the interpersonal and managerial skills of aspiring principals. As to principal's management competence of school curriculum, they put the most stress on compiling school curriculum in response to the extensive needs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In regard to the improvement of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they found it most advisable for aspiring principals to acquire a wide variety of supportive techniques and strategies that could foster the expertise of teachers. As for the most pressing problem with current principal-training programs, theory- centered education that was a far cry from educational practice was most widely pointed out, followed by relative evaluation, a shortage of learning materials and information resources available, inefficient teaching methods of lecturers and their inadequate use of teaching media. When they were asked to make a suggestion or to present workable reform measures, they considered it most necessary to extend training term. The second most common suggestion was that trainees should pay a visit to excellent schools in advanced countries to stay abreast with pervasive global trend, and the third largest group mentioned the field applicability of training programs. Give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the improvement of principal-training programs in associ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job performance of school administrators: First, training curriculum should be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d job performance standard of school administrators. Second, multiple independent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stir up mutual competition and collaboration among the institutions in order to raise the quality of training programs and of their management. Third, existing training courses were thought to be less effective in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aspiring principals on school accounting system, budget compilation and finance, their information literacy, and their knowledge and execution of educational law and national policies. To turn around the situation, well-structured programs should be mapped out. Fourth, principal-training programs shouldn't exist just for form's sake. Instead, those programs should actually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job performance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they should be managed in an organic way in order to make it happen. Fifth, new technology that could keep up with changing educational administration practices should be applied into drawing up training programs. Finally, female teachers should officially be urged and assisted to work as a school administrator so as to remedy the gender inequality of the school administrator commun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