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6 Download: 0

초등학교 교사 지도력 수준에 대한 교사와 교감의 인식

Title
초등학교 교사 지도력 수준에 대한 교사와 교감의 인식
Other Titles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Vice Principals on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Leadership
Authors
장윤숙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er leadership by gathering the opinions of teachers and vice principals, to spread awareness about a teacher as a leader, and ultimately to facilitate the professional growth of teachers. It's planned to define teacher leadership and its constituents and to grasp the leadership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looking into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vice principals about it. Investigating the only views of teachers on their own leadership might possibly lead to deteriorate the objective accuracy of information on that, and gathering extensive opinions from vice principals seemed to be a better way for tha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What is teacher leadership and its constituents? 2. What is the leadership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1) What is the view of teachers about their own leadership? 2) What is the view of vice principals about teacher leadership? 3.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outlook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vice principals on teacher leadership?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relevant literature and earlier studies were reviewed, and three categories and eight components were selected as the components of teacher leadership. The selected three categories were an in-classroom category, out-of-classroom category and common category. The first was composed of vision presenting, instructional leadership, curriculum building and guidance ability. The second consisted of executive skills, decision-making involvement and influence on colleagues. The third included only one component, which was a personal develop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23 teachers from Gyeonggi province and 191 vice principals from every region across the nation except Seoul.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1.5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estigated got a mean of 3.55 (SD=0.45) out of possible five points in leadership. Among the categories, they scored higher in personal development(M=3.76) that belonged to the common category, and among the sub-factors, they scored higher in guidance ability(M=4.01). Second, as for the relationship of their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to leadership, their leadership was different according to experience of working as a committee member and as an executive and to meeting participation. Those who were more experienced, who had ever served as a committee members or as an executive and who took part in more meetings, had a better leadership outside classroom. In contrast, their gender, positi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school size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overall leadership level. Yet the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leadership sub-factors according to position, educational level and school size. Third, their leadership varied significantly with their experience of taking education about leadership and their understanding of it. Those who had ever participated in teacher leadership programs and who were better aware of leadership excelled the others. On the other hand, their view of the necessity of teacher leadership made no difference to their leadership, though the vast majority of the teachers, 93.2 percent, felt the need for that. The vice principals investigated had the following opinions about teacher leadership of the elementary school : First, they gave a mean of 3.55(SD=0.63) marks to the entire leadership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category and sub-factor, they prized their out-of-classroom leadership(M=3.72) and their influence on colleagues(M=3.81). Second, concerning connections between the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of the vice principals and their perception of teacher leadership, their view of the curriculum building and guidance ability of teachers, which belonged to the in-classroom category, differed significantly with their gender. Their career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opinion on the executive skills and decision-making involvement of teachers and on their influence on colleagues, which were all in the out-of-classroom category. Third,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about teacher leadership and their understanding of it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outlook on teacher leadership. In contrast, they took a significantly different view of the necessity of teacher leadership.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opinions of the teachers and vice principals on teacher leadership of the elementary school was checked, and it's found that the two groups set the same value on it. The teachers got a mean of 3.55 out of possible five points, and the vice principals gave an average of 3.55 marks to the leadership of teachers as well. Given the finding, the teachers seemed to come up to the expectations of the vice principals in terms of teacher leadership.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views of the two groups about the sub-factors of teacher leadership. The teachers rated their own vision presenting, guidance ability and personal development higher than the vice principals did, and the vice principals valued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decision-making involvement of teachers and their entire out-of-classroom leadership better than the teachers did.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erted their leadership in school both in a formal and informal manner, and it's also found that they lived up to the expectations of the vice principals, since the two groups had the same opinion on teacher leadership. Besides, both groups felt the need for teacher leadership as a way to improve school performance and to expedite educational reform. Hence, teachers should be urged to deploy their leadership in order to enhance school performance and to make educational reform successful. To make it happen, the way people look at teachers should be changed. They should be viewed as a leader, and that will contribute to accelerating their professional growth as well. Besides, they should be assisted to take their expertise, especially teaching ability, to another level, as it is the integral element of their leadership, and they also should be encouraged to be more involved in decision-making process. Moreover, teacher leadership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let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it. A series of those efforts are expected to encourage teachers to bring a favorable change to school performance as a leader.;본 연구는 교사와 교감의 인식을 기초로 학교 내 교사 지도력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지도자로서 교사들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촉구하여, 교사 자신의 전문적 성장을 도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교사 지도력의 개념과 구성요인을 규명하고,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의 지도력 수준을 교사와 교감의 인식을 통해 파악하였다. 이는 교사 지도력 수준을 교사 자신의 인식에만 기초할 경우 실제로 행하는 바와 옹호하는 수준의 차이를 극복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하여 교감의 인식을 통해 보다 객관적인 입장에서 교사의 지도력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 지도력의 개념과 구성요인은 무엇인가? 2.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사 지도력 수준은 어떠한가? 1) 교사가 인식하는 교사 지도력 수준은 어떠한가? 1-1) 교사 지도력의 전반적인 수준은 어떠한가? 1-2) 교사의 개인 배경 변인에 따른 교사 지도력에는 차이가 있는가? 1-3) 교사들의 교사 지도력에 대한 교육 참여와 이해정도 및 필요성에 따라 교사 지도력에 차이가 있는가? 2) 교감이 인식하는 교사 지도력 수준은 어떠한가? 2-1) 교사 지도력에 대한 교감의 전반적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2-2) 교감의 배경특성에 따른 인식차이가 있는가? 2-3) 교감의 교사 지도력에 대한 교육과 이해정도 및 필요성에 따라 교사 지도력에 대한 인식차이가 있는가? 3.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사 지도력에 대해 교사와 교감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를 통하여 교사 지도력의 하위요인으로 교실 교사 영역(비전제시, 수업지도력, 교육과정 구성능력, 생활지도능력), 교실 밖 교사 영역(조직업무능력, 의사결정 참여, 동료교사에 대한 영향력), 공통 영역인 개인적 발달의 세 개 영역 여덟 개 요인을 선정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교사와 교감은 경기도 지역 교사 323명, 서울을 제외한 전국 초등학교 교감 191명이었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SPSS 11.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그리고 One-way ANOVA를 통해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교사 지도력 수준을 파악하였는데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지도력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55 (SD=0.45)였으며 영역별로는 공통영역의 개인적 발달(M=3.76), 하위요인 가운데 생활지도능력(M=4.01)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개인 배경 변인에 따른 교사의 지도력 차이를 살펴본 결과 경력, 교원위원 활동경험, 임원경험 및 모임참여에 따라 교사 지도력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경력이 많은 교사, 교원위원 활동 경험이 있는 교사, 임원경험이 있거나 모임참여에 적극적인 교사는 전체적인 교사 지도력 가운데 교실 밖 교사 영역의 지도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별, 직위, 학력, 근무하는 학교규모별로는 전체적인 교사지도력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지, 이들 변인 중 직위, 학력, 학교 규모에 따라 교사 지도력의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교사의 ‘교사 지도력에 대한 교육과 이해’에 따른 교사 지도력 수준에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 지도력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와 교사 지도력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있는’ 교사가 지도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사 지도력의 필요성’에 따른 교사 지도력 수준은 차이가 없었으나 대다수 교사인 93.2%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교감이 인식하는 초등학교 교사 지도력 수준을 조사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감이 인식하는 초등학교 교사의 전반적 지도력 수준의 평균값은 3.55 (SD=0.63)로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교실 밖 교사 영역(M=3.72)의 지도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으로는 동료교사에 대한 영향력(M=3.81)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교감의 개인 배경 변인별 특성에 따른 교사 지도력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감의 성별에 따라 교실교사 영역의 교육과정 구성능력과 생활지도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차이는 교실 밖 교사 영역의 조직업무능력, 의사결정 참여, 동료교사에 대한 영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교감의 ‘교사 지도력에 대한 교육과 이해’에 따른 교사 지도력 인식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교감의 ‘교사 지도력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지도력 인식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초등학교 교사 지도력에 대한 교사와 교감의 인식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사들의 지도력 수준은 5점 만점 중 평균이 3.55로 나타났고 교감이 인식하는 교사 지도력 수준도 3.55의 평균으로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 지도력의 하위요인에서는 교사와 교감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교사는 비전제시와 생활지도능력, 개인적 발달에 관해 교감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고, 교감은 교사의 수업지도력과 의사결정 참여, 그리고 교실 밖 교사 영역 전체에 대해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교 교사들은 직위에 기초한 공식적 경로이든 비공식적 경로이든 학교 현장에서 실제 지도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 지도력 수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감의 인식이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와 교감 모두 학교 개선과 교육개혁에 있어 교사 지도력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학교 개선과 교육개혁의 동인으로서 교사 지도력의 학교 내 정착과 교사의 전문적 성장을 위해, ‘지도자로서 교사’에 대한 인식을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 지도력의 기저가 되는 교육활동의 전문적 능력 특히, 수업지도력 향상과 학교 의사결정 과정에 실질적인 교사의 참여를 가능케 하는 방안 등 현장차원의 노력이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교사 지도력에 대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 이에 대한 교사와 학교 행정가의 참여와 이해를 돕는 정책적인 방안도 모색해야겠다. 이러한 일련의 노력을 통해 또 하나의 지도자로 활동하는 교사는 학교 전반의 향상을 위한 실제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