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4 Download: 0

중학교 1학년 기초 음악이론 학습에서 CAI의 효율도 연구

Title
중학교 1학년 기초 음악이론 학습에서 CAI의 효율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CAI for the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Learning Basic Music Theory
Authors
김마리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중학교음악이론CAI효율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기범
Abstract
The computer is situated as a modern convenience in our everyday-life and utilized very effectively in all the areas from technology to education. CAI is now reckoned to be the advanced educational device for the efficient achievement of educational targets.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CAI for the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ho is learning basic music theory with a computer program of basic music theory, 'Computerized Music Education Ver. 1.1'. For the purpose of this, 100 feamale students, who are the members of two classes of the 1st grade of a middle school in Seoul,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 one for the 'experiment' and the other for the 'control'. For the 'experiment' group, CAI was carried out in lunch time and after school with the planned schedule, and for the 'control' group, the same contents of basic music theory were carried out in regular classes without CAI. The learning points were limited to 'staffs and scales', 'the keyboard and scales', 'key- signature', 'scales', 'rhythms' and 'chords', which are the parts of total contents of basic music theory that should be mastered in the 1st year course of middle school. The degree of achievement was measured by 20 questions. As a result of the test, the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sparity; the experiment group got 29.08 mean score, the control group 16.58, thus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as 12.5. The T- value was 10.94, which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a level of P(0.000)< 0.05 between thos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e test shows clealy that the utilization of CAI provides audiovisual education and enables the immediate, repeatable learning of basic music theory through feedback, and so stimulate the formation of theoretical concepts in students. In conclusion,, since the utilization of CAI in music education meets the introduction of a new efficient teaching method, more efforts should be given to the activation of such kind of utilization of CAI.;컴퓨터는 우리의 생활속에 편리한 문명의 이기로 자리잡았고, 최첨단 과학기술 분야에서부터 교육의 제 영역에 이르기까지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CAI는 이러한 시대적 요청과 교육 목표의 효율적 달성을 위한 진보된 교육 환경으로 꼽히고 있다. 본 논문은 많은 CAI 음악 프로그램 가운데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음악 기초 이론 프로그램 '컴퓨터 음악교육 Ver. 1.1'을 이용하여 중학교 1학년 기초 음악이론 교육에 있어서 CAI 효율도의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음악교육에 있어서 컴퓨터 보조학습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우리나라 음악교육에 있어서 CAI의 도입과 활용 및 관련 음악교육용 CAI 프로그램들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기초 음악이론 교육에 있어서 CAI의 활용이 기존의 이론 학습보다 효율적인 지를 실제 중학교 교육현장에서 CAI를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의 공립 중학교 1학년 여학생 2학급 100명을 정하여 그중 50명을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50명을 통제집단으로 삼았다. 실험집단은 정규수업을 병행하면서 별도로 정한 학습 시간표에 의하여 점심시간과 방과후 시간을 이용하여 CAI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정규 수업시간에 전통적인 교수법으로 CAI의 내용과 동일한 기초 음악이론을 수업을 받도록 하였다. 그러나 통제집단은 실험집단에 대하여 실시된 CAI를 대신할 별도의 다른 실험을 병행하지는 못했다. CAI의 내용은 중학교 1학년 과정에서 습득하여야 할 기초 음악이론 학습 내용 가운데 '오선과 계이름', '건반과 계이름', '조표', '음계', '리듬', '화음' 영역으로 국한하여 실시하였다. CAI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가 자체 제작한 평가 문항을 가지고 기초 음악이론 학습에 대한 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총 35점의 20개 평가 문항에서 평균점이 각각 29.08점, 16.58점으로 나타나,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평균점이 12.5점이 높았고 t-값은 10.94로 P(=0.000) , <0.05 수준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치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동일한 실험조건을 갖지 못한 상태에서 얻어진 결과임을 감안해야 한다. 통제집단의 학생들은 '조표'와 '음계'의 영역에서 성취도의 변화를 보였고,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건반과 계이름', '조표', '음계', '화음', '리듬' 영역에서 실험전과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또한 CAI의 활용에 대한 실험집단의 태도 조사에서 학생들의 반응은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실험 결과를 놓고 볼 때, 중학교 1학년 기초 음악이론 수업에 있어서 CAI의 활용은 학생들에게 시청각 교육의 제공과 함께 feedback을 통한 즉각적인 반복 학습을 가능하게 하여 기초 음악이론의 개념 형성에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음악교육에 있어서 CAI의 활용은 포괄적인 음악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교수법의 도입과 효율적인 교육 환경을 구축하려는 현대 음악교육의 동향에 일치되고 있어서 이의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